
세계기록유산
본 내용은
"
세계기록유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8
문서 내 토픽
-
1.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모두 18건입니다. 1997년에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이 가장 먼저 세계기록유사에 등재가 되었고요 이어서 직지심체요절 (2001년) 승정원일기 (2001년) 조선왕조 의궤 (2007년)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2007년)이 등재가 되었습니다. 이외에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에는 조선 광해군 시기에 허준이 지은 의학서적인 동의보감과 일성록(日省錄)이 있습니다. 이외에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난중일기(亂中日記) 새마을운동 기록물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한국의 유교책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있습니다.
-
2. 국채보상운동 기록물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국가가 진 빚을 국민이 갚기 위해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입다. 우리나라는 1900년대에 들어와 일본의 외채로 망국의 위기에 처해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 국민은 외채로 인한 망국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국채보상운동을 일으켰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날 당시 남성은 술과 담배를 끊고, 여성은 반지와 비녀를 내어놓았습니다. 이외에 기생과 걸인, 심지어 도적까지도 의연금을 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
3.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모두 15건인데요 우리나라 보다 오히려 적습니다.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중국 전통 음악 녹음 자료와 청 왕조 내각 문서가 있고요 이외에 고대 나시족 둥바 문헌 필사본, 청 왕조 금방(金榜), 청 왕조의 양시 레이 기록물, 본초강목, 황제내경, 원 후기의 티베트 관련 문서, 화교 관련 자료, 난징대학살 기록물, 근현대 소주 비단산업 기록물, 갑골문, 샤파 시니카스, 청 왕조의 마카오 공식 문서, 사부의전 <四部醫典>, 마카오 콩 탁 람 사원의 원고와 기록물 등이 등재되었습니다.
-
4. 본초강목명나라의 본초학자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초고를 완성한 후 27년이 지나서야 52권을 간행한 서적입니다.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약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을 분류했는데요 총 1892종의 약재를 소개하여 동양최대의 의학서로 꼽힙니다.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조선시대 허준이 지은 의학서인 동의보감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저술할때에도 많이 인용을 하였습니다.
-
5. 난징 대학살 기록물난징 대학살은 1937년에 일어난 중일 전쟁 때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한 일본 제국이 군대를 동원해 중국인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인데요 난징 대도살이라고도 합니다. 난징 대학살과 관련한 기록물들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가 되어 있습니다. 난징 대학살로 인하여 약 20만명의 중국인들이 학살되었는데요 당시 많은 중국 한족 여성들이 강간이 되었습니다. 난징 대학살은 1937년 12월 13일부터 시작이 되어 이듬해인 1938년 2월까지 계속이 되었습니다.
-
6.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총 22점으로 되어 이씁니다. 대원제국의 황제들이 반포한 칙령을 비롯하여 황제의 도독이 반포한 종교 칙령, 티베트어와 희귀한 파스파 문자로 쓰여 있는 티베트 정치 지도자들의 명령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로 인하여 고대 티베트의 정치·종교·경제·문화적 측면을 잘 이해할수있게 되었습니다. 세계 기록유산에 선정된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대원제국의 황자들이 티베트를 관리하기 위해 티베트 불교의 한 종파인 사캬파를 지지했음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
7. 갑골문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된 갑골문은 동북아시아의 고대 상형 문자인데요 주로 거북이의 배딱지인 구갑이나 짐승의 견갑골에 새겼습니다. 거북이 배딱지를 나타내는 갑(甲)자와 짐승의 견갑골을 표현한 골(骨)자를 합하여 갑골문(甲骨文)이라고 하였는데요 청조 말엽인 1899년에 안양현 소둔촌, 상의 수도였던 은허(殷墟)에서 왕의영(王懿榮)이 최초로 발견하였습니다. 갑골문은 중국 도처에서 대량으로 발견되어 은나라 시대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
1.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기록물들입니다. 이들 기록물은 한국의 독특한 전통과 가치를 보여주며, 세계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음으로써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후대에 전해줄 소중한 유산이 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나아가 인류 문화유산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국채보상운동 기록물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들은 일본의 경제 침략에 맞서 민족의 자주성을 지키고자 했던 우리 선조들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민족의 자긍심과 독립 정신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록물들은 근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의 보존과 활용은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민족 정신을 계승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3.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기록물들입니다. 이들 기록물은 중국 문명의 발전 과정과 그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며, 인류 문화유산의 일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중국 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은 중국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중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본초강목본초강목은 중국 전통 의학의 대표적인 고전 문헌으로, 약 1,800여 종의 약재와 그 효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은 중국 전통 의학의 발전 과정과 그 지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본초강목은 단순히 약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와 사상, 자연관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헌입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연구는 중국 전통 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나아가 인류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난징 대학살 기록물난징 대학살 기록물은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들은 일본군의 잔학한 행위와 그로 인한 수많은 희생자들의 고통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쟁의 참혹함과 인권 침해의 심각성을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은 과거의 비극을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유사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6.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원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몽골 제국과 티베트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 자료입니다. 이 기록물들은 당시 티베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몽골 제국의 영향력 아래에서 티베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연구는 몽골 제국과 티베트의 관계, 그리고 티베트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문명의 교류와 융합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7. 갑골문갑골문은 중국 최고(最古)의 문자 체계로, 중국 문명의 기원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물입니다. 이 기록물들은 상(商)왕조 시대의 역사,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중국 문자 발전의 초기 단계를 보여줍니다. 갑골문의 보존과 연구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인류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세계 문화유산 보호와 인류 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
세계기록유산 - 훈민정음1. 훈민정음 세종대왕이 백성을 위해 만든 훈민정음은 세계에서 가장 쉽고 과학적이며 따뜻한 문자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훈민정음 해례본에는 새로운 문자를 만든 원리와 글자의 소리값 및 운용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발음기관의 모양을 본떠 만든 훈민정음은 자음과 모음의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소리와 발음기관의 완벽한 연관성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과학성 ...2025.05.02 · 문화/관광
-
세계기록유산1.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에 등재된 한국의 세계 기록유산에는 불조직지심체요절, 조선통신사 기록,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 동의보감,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훈민정음 해례본,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한국의 유교책판, 새마을운동 기록물, 승정원 일기, 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KBS 이산가족 찾기 기록물,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일성록 등이 포함...2025.04.27 · 문화/관광
-
세계기록유산 아태 지역 목록에 등재된 내방가사와 삼국유사1. 내방가사 내방가사는 조선 중기 이후 여성들의 삶과 그들만의 애환이 서린 한글문학입니다. 세계기록유산 아태 지역 목록에 등재된 내방가사에서는 남성 중심의 사회 분위기 속에서 여성들이 가졌던 인식을 잘 표현하였습니다. 내방가사는 조선 말기 영남 지방의 부녀자 사이에 유행한 가사로, 주로 시집가는 딸에게 어머니가 시댁에서 행할 예의 범절을 가사체로 옮긴 것...2025.04.27 · 문화/관광
-
우리나라의 기록유산1. 기록유산 기록유산은 문자로 기록된 것뿐만 아니라 지도, 악보, 설계도면 등 이미지나 기호로 기록된 것도 포함됩니다. 문자로 기록된 서적 외에 영화나 사진과 같은 시청각 자료도 기록유산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현대에 만들어진 시청각 자료의 세계기록유산 등재 빈도가 늘어날 것으로 보입니다. 2.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유네스코에서는 2년마다 세계적 가치가 있...2025.04.25 · 문화/관광
-
조선왕조실록 레포트1. 조선왕조실록의 발간 경위와 편찬과정 조선왕조실록은 후계한 왕이 선왕대의 역사를 정리하기 위하여 조선 전시기에 걸쳐 국책사업으로 편찬되었다. 건국 이후 고려시대사의 정리와 단군부터 고려까지의 통사 정리를 통하여 왕조의 정통성 확보를 도모하고자 하였던 지배층들은, 실록을 편찬하여 각 왕대의 역사와 문화, 정치와 경제, 사회, 군사 등 일체의 국정운영 사항...2025.05.06 · 인문/어학
-
레너드 번스타인과 베토벤 9번 교향곡1. 베토벤 9번 교향곡 베토벤 9번 교향곡은 베토벤이 청력을 완전히 잃을 무렵에 작곡한 그의 마지막 교향곡으로, 1824년 완성되었다. 환희와 인류애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이 작품은 모든 교향곡들 중에서도 가장 뛰어난 작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유네스코 세계 기록 유산에도 등재되어 있다. 이 교향곡은 4개의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악장의 특징이 잘...2025.04.25 · 예체능
-
세계기록유산 조사 6페이지
목차1. 들어가는 글2. 유네스코, 세계유산, 세계기록유산3. 청주 국제기록유산센터4. 조선시대의 기록유산과 한국의 세계기록유산5. 느낀점1. 들어가는 글어렸을 때부터 우리나라의 어떤 문화재는 유네스코 세계유산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어렸을 때에는 그게 무엇인지도 정확히 모른채로 대단한 것이라고만 생각했지만 자라면서 세계유산, 무형문화유산, 세계기록유산이 중요하다는 것을 점점 깨닫게 되었다. 그러다 이번 수업을 통해 세계기록유산에 대한 동영상을 보게 되었다. 동영상을 통해 우리나라의 기록관리가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더...2022.03.02· 6페이지 -
세계기록유산 3페이지
세계기록유산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린라의 세계 기록유산에는 불조직지심체요절을 비롯하여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 동의보감,국채보상운동 기록물, 훈민정음 해례본,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한국의 유교책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5.18 광주민주화운동 기록물, 동의보감, 새마을운동 기록물, 새마을운동 기록물, 승정원 일기, 조선왕조 의궤, 조선왕조실록, 난중일기, KBS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일성록, 승정원 일기, 조선왕조 의궤,조선왕조실록, 고...2023.01.23· 3페이지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의 가치 10페이지
한국의 세계기록유산의 가치목 차Ⅰ. 서 론Ⅱ.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준Ⅲ. 한국의 세계기록유산1.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2.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3. 『불조직지심체요절佛祖直指心體要節』- 하권下卷4.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5. 고려대장경판高麗大藏經板 및 제경판諸經板6. 조선왕조 『의궤儀軌』7. 『동의보감東醫寶鑑』8. 『일성록日省錄』9. 1980년 인권기록유산 5·18광주민주화운동기록물10. 『난중일기亂中日記』11. 새마을운동 기록물12. 한국방송 특별생방송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13. 한국의 유교책판儒敎冊版14...2021.05.26· 10페이지 -
한국의 세계기록유산 8페이지
한국의 세계기록문화유산이번 과제의 주제로 한국의 정보문화유산과 자원, 이와 관련된 인물을 세 개 제시하라고 하셨다. 이에 내가 중점으로 찾은 것은 한국에서도 서양 못지않은 사료들이 있다는 걸 찾아보고 싶었고 이를 주제로 삼게 되었다.1. 훈민정음내가 훈민정음을 선택한 이유는 우선 우리나라에서 조선왕조실록과 같이 첫 번째로 1977년에 등록된 문화유산이기 때문이며 이 정보문화사를 들으면서 문자의 중요성을 알게 되었는데 이 문자의 생성과정과 철학을 알 수 있는 유일한 문자이기 때문이다.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 조선시대 1446년(세종...2021.03.25· 8페이지 -
세계기록유산 - 훈민정음 1페이지
세계기록유산 [훈민정음]조선 역사상 가장 많은 업적을 남긴 세종대왕은 경복궁을 등지고 광화문 광장을 바라보고 앉아있다. 그의 손에는 훈민정음 해례본이 들려있다. 광화문 세종대왕 동상 지하에 위치한 세종이야기 전시관에서 세종대왕이 남긴 다양한 업적을 찾아볼 수 있다.세종대왕은 백성을 위한 마음을 담아 스물여덟 글자 훈민정음을 만들었다.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글자가 간단하고 쉬우나 변화가 무궁하여 훈민정음이라 불린다.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해례본 간행과 함께 훈민정음을 반포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백성을 생각하는 ...2023.03.02· 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