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본 내용은
"
세계기록유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8
문서 내 토픽
  • 1.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모두 18건입니다. 1997년에 훈민정음과 조선왕조실록이 가장 먼저 세계기록유사에 등재가 되었고요 이어서 직지심체요절 (2001년) 승정원일기 (2001년) 조선왕조 의궤 (2007년) 해인사 대장경판 및 제경판 (2007년)이 등재가 되었습니다. 이외에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에는 조선 광해군 시기에 허준이 지은 의학서적인 동의보감과 일성록(日省錄)이 있습니다. 이외에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난중일기(亂中日記) 새마을운동 기록물이산가족을 찾습니다, 한국의 유교책판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4·19혁명기록물,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이 있습니다.
  • 2.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국가가 진 빚을 국민이 갚기 위해 1907년부터 1910년까지 일어난 국채보상운동의 전 과정을 보여주는 기록물입다. 우리나라는 1900년대에 들어와 일본의 외채로 망국의 위기에 처해 있었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우리 국민은 외채로 인한 망국의 위기를 극복하고자 국채보상운동을 일으켰습니다. 국채보상운동이 일어날 당시 남성은 술과 담배를 끊고, 여성은 반지와 비녀를 내어놓았습니다. 이외에 기생과 걸인, 심지어 도적까지도 의연금을 내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 운동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습니다.
  • 3. 중국의 세계기록유산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모두 15건인데요 우리나라 보다 오히려 적습니다.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중국 전통 음악 녹음 자료와 청 왕조 내각 문서가 있고요 이외에 고대 나시족 둥바 문헌 필사본, 청 왕조 금방(金榜), 청 왕조의 양시 레이 기록물, 본초강목, 황제내경, 원 후기의 티베트 관련 문서, 화교 관련 자료, 난징대학살 기록물, 근현대 소주 비단산업 기록물, 갑골문, 샤파 시니카스, 청 왕조의 마카오 공식 문서, 사부의전 <四部醫典>, 마카오 콩 탁 람 사원의 원고와 기록물 등이 등재되었습니다.
  • 4. 본초강목
    명나라의 본초학자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초고를 완성한 후 27년이 지나서야 52권을 간행한 서적입니다.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약용으로 쓰이는 대부분을 분류했는데요 총 1892종의 약재를 소개하여 동양최대의 의학서로 꼽힙니다. 이시진이 엮은 약학서인 본초강목은 조선시대 허준이 지은 의학서인 동의보감에도 많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조선후기의 실학자인 서유구가 임원경제지를 저술할때에도 많이 인용을 하였습니다.
  • 5. 난징 대학살 기록물
    난징 대학살은 1937년에 일어난 중일 전쟁 때 중화민국의 수도인 난징을 점령한 일본 제국이 군대를 동원해 중국인을 무차별 학살한 사건인데요 난징 대도살이라고도 합니다. 난징 대학살과 관련한 기록물들은 현재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가 되어 있습니다. 난징 대학살로 인하여 약 20만명의 중국인들이 학살되었는데요 당시 많은 중국 한족 여성들이 강간이 되었습니다. 난징 대학살은 1937년 12월 13일부터 시작이 되어 이듬해인 1938년 2월까지 계속이 되었습니다.
  • 6.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총 22점으로 되어 이씁니다. 대원제국의 황제들이 반포한 칙령을 비롯하여 황제의 도독이 반포한 종교 칙령, 티베트어와 희귀한 파스파 문자로 쓰여 있는 티베트 정치 지도자들의 명령서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로 인하여 고대 티베트의 정치·종교·경제·문화적 측면을 잘 이해할수있게 되었습니다. 세계 기록유산에 선정된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대원제국의 황자들이 티베트를 관리하기 위해 티베트 불교의 한 종파인 사캬파를 지지했음을 명백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 7. 갑골문
    세계 기록유산에 등재된 갑골문은 동북아시아의 고대 상형 문자인데요 주로 거북이의 배딱지인 구갑이나 짐승의 견갑골에 새겼습니다. 거북이 배딱지를 나타내는 갑(甲)자와 짐승의 견갑골을 표현한 골(骨)자를 합하여 갑골문(甲骨文)이라고 하였는데요 청조 말엽인 1899년에 안양현 소둔촌, 상의 수도였던 은허(殷墟)에서 왕의영(王懿榮)이 최초로 발견하였습니다. 갑골문은 중국 도처에서 대량으로 발견되어 은나라 시대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
    우리나라의 세계기록유산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기록물들입니다. 이들 기록물은 한국의 독특한 전통과 가치를 보여주며, 세계 문화유산으로 인정받음으로써 한국의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우리 민족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후대에 전해줄 소중한 유산이 되고 있습니다. 이들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을 통해 한국의 역사와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나아가 인류 문화유산 보호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국채보상운동 기록물은 우리나라 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들은 일본의 경제 침략에 맞서 민족의 자주성을 지키고자 했던 우리 선조들의 노력을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민족의 자긍심과 독립 정신을 배울 수 있습니다. 또한 이 기록물들은 근대 한국 사회의 변화와 발전 과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의 보존과 활용은 우리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민족 정신을 계승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3. 중국의 세계기록유산
    중국의 세계기록유산은 중국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중요한 기록물들입니다. 이들 기록물은 중국 문명의 발전 과정과 그 독특한 특성을 보여주며, 인류 문화유산의 일부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록물들은 중국 문화의 가치와 중요성을 세계에 알리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은 중국 문화의 계승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중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본초강목
    본초강목은 중국 전통 의학의 대표적인 고전 문헌으로, 약 1,800여 종의 약재와 그 효능에 대해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은 중국 전통 의학의 발전 과정과 그 지혜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입니다. 본초강목은 단순히 약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중국 문화와 사상, 자연관 등을 엿볼 수 있는 귀중한 문헌입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연구는 중국 전통 의학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나아가 인류 의학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난징 대학살 기록물
    난징 대학살 기록물은 인류 역사상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기록물들은 일본군의 잔학한 행위와 그로 인한 수많은 희생자들의 고통을 생생하게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우리는 전쟁의 참혹함과 인권 침해의 심각성을 깨닫게 됩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활용은 과거의 비극을 기억하고, 평화와 인권 존중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유사한 사건이 재발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높일 수 있을 것입니다.
  • 6. 원(元)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
    원나라 때의 티베트 공식 기록물은 몽골 제국과 티베트의 관계를 보여주는 중요한 역사 자료입니다. 이 기록물들은 당시 티베트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몽골 제국의 영향력 아래에서 티베트가 어떻게 변화했는지를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록물의 보존과 연구는 몽골 제국과 티베트의 관계, 그리고 티베트 역사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다양한 문화와 문명의 교류와 융합 과정을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 7. 갑골문
    갑골문은 중국 최고(最古)의 문자 체계로, 중국 문명의 기원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록물입니다. 이 기록물들은 상(商)왕조 시대의 역사,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중국 문자 발전의 초기 단계를 보여줍니다. 갑골문의 보존과 연구는 중국 문명의 기원과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또한 이를 통해 인류 문화유산의 가치를 재발견하고,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세계 문화유산 보호와 인류 문화 발전에 기여할 것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