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중요 사일리지 작물과 고간류의 특성 및 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 방안
본 내용은
"
조사료(粗飼料) 중 국내에서 중요성이 높은 사일리지 작물과 고간류를 분류하고 그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4
문서 내 토픽
-
1. 사일리지 작물사일리지는 수분이 많은 생초나 옥수수, 고구마 덩굴, 감자, 고구마 등과 여러 가지 제조박을 사일로 또는 어떤 용기에 저장하여 혐기성 젖산발효를 시켜 젖산의 농도를 높여 만든 저장성 높은 다즙질 사료를 의미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사일리지 작물은 옥수수와 수단그라스이다. 옥수수는 가축의 기호성이 좋고 사료가치가 우수하며 기계화 작업이 쉬워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다. 수단그라스는 수수에 속하는 일년생 목초로 키가 크고 잎이 많으며 더위에 강하고 재생력이 좋아 여름철 사료작물로 중요하다.
-
2. 고간류볏짚, 보릿짚, 밀짚 그리고 옥수숫대 등을 총칭하는 고간류는 우리나라에서 연간 약 850만 톤 정도 생산되고 있다. 볏짚은 축산 농가에서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고간류로, 단백질 함량이 낮고 소화율과 기호성이 낮아 가성소다,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등의 화학물질 처리를 통해 사료 섭취량과 소화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또한 볏짚의 사일리지화 연구를 통해 건물 및 유기영양소의 소화율을 20~30% 정도 증진시킬 수 있다.
-
3. 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 방안국내 조사료 생산기반은 감소 추세이며, 자급 조사료의 대부분이 볏짚으로 양질의 목초 및 사료작물 비중이 낮다. 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을 위해서는 국내 기후에 적합한 고품질 신품종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수입 조사료에 대한 검역 강화와 국내 조사료 수매 정책 등의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
1. 사일리지 작물사일리지 작물은 가축 사료 생산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사일리지 작물은 수분 함량이 높아 가축에게 양질의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으며, 연중 안정적인 사료 공급이 가능합니다. 또한 사일리지 작물은 토양 유기물 함량 증진, 토양 침식 방지 등 환경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사일리지 작물 재배 기술 향상, 품종 개발, 저장 및 급여 기술 개선 등을 통해 사일리지 작물의 생산성과 이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축산 농가의 사료 자급률 제고와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고간류고간류는 가축 사료로 활용도가 높은 작물입니다. 고간류는 단백질, 섬유소, 미네랄 등 가축에게 필요한 영양분이 풍부하며, 생산성이 높고 재배가 용이한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고간류는 토양 유기물 함량 증진, 토양 침식 방지 등 환경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고간류 품종 개발, 재배 기술 향상, 수확 및 저장 기술 개선 등을 통해 고간류의 생산성과 이용성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축산 농가의 사료 자급률 제고와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 방안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은 축산업의 지속가능성 제고를 위해 매우 중요한 과제입니다. 자급 조사료 이용 향상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안이 필요합니다. 첫째, 사일리지 작물, 고간류 등 자급 조사료 생산성 향상을 위한 품종 개발과 재배 기술 개선이 필요합니다. 둘째, 수확, 저장, 급여 기술 향상을 통해 자급 조사료의 이용성을 높여야 합니다. 셋째, 축산 농가의 자급 조사료 생산 및 이용에 대한 교육과 컨설팅 지원이 필요합니다. 넷째, 정부의 자급 조사료 생산 및 이용 지원 정책 강화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노력을 통해 축산 농가의 사료 자급률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축산업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