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채류의 단위결과의 정의와 원예 산업에서의 이용에 대해 설명하라
본 내용은
"
과채류의 단위결과의 정의와 원예 산업에서의 이용에 대해 설명하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4
문서 내 토픽
-
1. 단위결과의 정의수정에 의해 종자가 형성되지 않아도 착과하여 과실이 정상적으로 비대하는 현상이다. 이러한 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대부분 염색체의 조성이 복잡하여 정상적인 배우자를 형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단위 결과성 식물들은 특별히 체내에서 옥신함량이 높다. 따라서 옥신은 단위결과를 유기하는 대표적인 물질로 알려져 있으며, 그 외에 지베렐린과 시토키닌 등도 관여하고 있다.
-
2. 과채류의 단위결과 유도오이의 경우 꽃이 피기 전 꽃봉오리 때부터 씨방 내에 옥신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수분 등의 자극이 없어도 옥신의 생성이 이루어져 자방이 비대한다. 따라서 오이의 경우 인공교배나 착과 호르몬제 처리, 방화곤충 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쉽게 착과가 이루어진다. 호박은 오이와는 달리 단위결과가 잘 안되기 때문에 시설 내 재배는 인공수분이나 착과제를 처리하지 않으면 착과율이 떨어진다.
-
3. 착과제 종류와 처리방법토마토톤, 지베렐린, 나프탈렌 초산, 2,4-D, 2,4,5-TP 등이 착과제로 사용된다. 토마토톤과 지베렐린을 섞어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저온기에는 토마토톤 25∼50배 + 지베렐린 50∼100ppm, 고온기에는 농도를 반으로 낮추어 사용한다. 착과제는 스프레이로 뿜어주는 방법과 붓으로 발라주는 방법이 있으며, 개화 당일이 가장 효과적이다.
-
4. 착과제 사용의 주의점약액은 조제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착과 효과가 감소하므로 한꺼번에 많은 양을 만들지 말고 사용하고 남은 것은 시원한 곳에 보관해야 한다. 한 포기에 여러 번 처리하면 처음에 처리한 암꽃은 착과가 잘 되지만 다음에 처리된 것은 착과효과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전착제를 혼용하면 과피에 얼룩이 생기고, 지베렐린을 빨리 녹이기 위해 소주를 희석하는 경우 알코올 농도가 높으면 어린 과실이 열과될 수 있다.
-
1. 단위결과의 정의단위결과는 작물의 수확 단위를 나타내는 개념으로, 작물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과채류의 경우 과실 1개가 단위결과가 될 수 있고, 곡물류의 경우 1개의 이삭이나 1개의 알곡이 단위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단위결과의 정의는 작물의 특성, 수확 방법, 유통 및 소비 형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단위결과의 정의는 작물의 생산성 및 수량 평가, 가격 책정, 유통 관리 등에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
2. 과채류의 단위결과 유도과채류의 단위결과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작물의 특성을 고려한 적절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토마토의 경우 1개의 과실이 단위결과가 될 수 있지만, 방울토마토의 경우 1개의 송이가 단위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박이나 참외와 같은 과일 작물의 경우 1개의 과실이 단위결과가 될 수 있습니다. 단위결과 유도 시 작물의 생육 특성, 수확 방법, 유통 및 소비 형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작물의 생산성 및 수량 평가, 가격 책정, 유통 관리 등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3. 착과제 종류와 처리방법착과제는 작물의 개화 및 결실을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학물질입니다. 주요 착과제로는 NAA, 2,4-D, BA 등이 있으며, 작물의 종류와 생육 단계에 따라 적절한 착과제를 선택하여 처리해야 합니다. 착과제 처리 시 농도, 처리 시기, 처리 방법 등을 고려해야 하며, 과도한 처리는 작물의 생육 및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착과제 사용 시 작물의 특성과 생육 상황을 면밀히 파악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착과제 사용의 주의점착과제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작물의 생육 단계와 환경 조건을 고려하여 적절한 착과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둘째, 착과제 사용 농도와 처리 시기를 준수해야 합니다. 과도한 처리는 작물의 생육 및 품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셋째, 착과제 사용 후 적절한 휴지기간을 두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작물의 생육 및 수확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넷째, 착과제 사용 시 작물의 생육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 시 전문가의 조언을 구해야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을 준수하면 착과제를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