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미희곡 공통과제
본 내용은
"
영미희곡 <Riders to the Sea> 공통과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5
문서 내 토픽
-
1. 모리아(Maurya)외딴 섬에서 가난하게 살며 남편과 여섯 아들, 두 딸을 둔 늙은 여인. 남편과 네 아들은 바다로 나갔다가 이미 사망했고, 소식이 없는 아들 마이클을 기다리고 있으나 이미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며 남은 아들 바틀리마저 뭍으로 나가려 하는 것을 만류한다. 배우 윤여정을 캐스팅하고 싶다.
-
2. 바틀리(Bartley)모리아에게 남은 아들. 어머니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말과 당나귀를 몰고 뭍으로 나갔다가 바다에 빠져 사망하게 된다. 배우 변요한을 캐스팅하고 싶다.
-
3. 캐트린(Cathleen)과 노라(Nora)모리아의 두 딸. 어머니 옆을 지키며 어머니가 죽은 마이클의 소식을 알게 될까 봐 전전긍긍한다. 캐트린은 배우 고아성을, 노라는 배우 김유정을 캐스팅하고 싶다.
-
4. 돼지바트리가 바다에 나가려고 밧줄을 찾자 캐트린은 아침에 검은 발을 가진 돼지가 그 밧줄을 씹어 먹고 있어서 하얀 널빤지 옆의 못에 걸어 두었다고 말한다. 이 돼지는 곧 팔려가 죽게 되어 있으므로 죽음을 연상시키는 존재이다.
-
5. 주제바다와 싸우며 살아가는 아란 섬사람들의 투쟁과 이러한 투쟁 속에서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의 운명이 이 극의 주제이다. 모리아가 체념을 통해 도달하는 것은 개인적인 슬픔을 넘어 인류 전체에게 자비로운 축복의 기도를 올릴 수 있는 고양된 정서 상태이며 자신의 운명에 대한 깨달음이다.
-
1. 모리아(Maurya)모리아는 아일랜드 드라마 '리더'에 등장하는 인물로, 가족을 위해 헌신적으로 살아가는 어머니의 모습을 보여줍니다. 그녀는 가족들의 삶에 깊이 개입하며, 때로는 강압적이고 독단적인 모습을 보이지만, 결국 가족을 지키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모리아의 캐릭터는 아일랜드 가정의 전통적인 가치관과 역할을 잘 보여주며,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유효한 어머니상을 제시합니다. 그녀의 고민과 갈등은 가족 간의 관계와 역할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이끌어냅니다.
-
2. 바틀리(Bartley)바틀리는 '리더'에 등장하는 모리아의 아들로, 가족들과 갈등을 겪으며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인물입니다. 그는 가족의 기대와 자신의 꿈 사이에서 고민하며, 때로는 반항적이고 충동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하지만 결국 가족에 대한 애착과 책임감을 깨닫게 되면서 성장해 나가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바틀리의 캐릭터는 젊은이들이 겪는 정체성 혼란과 가족 간의 갈등을 잘 보여주며, 이를 통해 가족 관계와 개인의 성장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
-
3. 캐트린(Cathleen)과 노라(Nora)캐트린과 노라는 '리더'에 등장하는 모리아의 딸들로, 서로 다른 성향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캐트린은 전통적인 가치관을 지키며 가족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을 보이는 반면, 노라는 자신의 꿈을 추구하며 가족과 갈등을 겪습니다. 두 자매의 대립과 화해 과정은 가족 내에서 개인의 자아 실현과 가족 간의 관계 유지 사이의 균형을 잡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지를 보여줍니다. 이를 통해 현대 사회에서 가족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이끌어냅니다.
-
4. 돼지돼지는 '리더'에서 중요한 상징적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돼지는 가족들의 생계를 위해 키워지는 가축이지만, 동시에 가족 구성원들 간의 갈등과 긴장을 야기하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돼지는 가족 구성원들의 욕망과 이해관계가 충돌하는 지점을 보여주며, 이를 통해 가족 내부의 복잡한 역학관계와 개인의 이기심이 가족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잘 드러냅니다. 돼지라는 소재를 통해 작품은 가족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제공합니다.
-
5. 주제이 작품의 주요 주제는 가족과 개인의 관계, 전통과 변화, 그리고 정체성 찾기 등입니다. 작품 속 인물들은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으로서의 욕망 사이에서 갈등을 겪으며, 이를 통해 가족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이끌어냅니다. 또한 전통적인 가치관과 현대 사회의 변화 사이에서 인물들이 겪는 고민과 갈등은 개인의 정체성 찾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주제들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과 가족의 관계, 그리고 정체성 형성 과정에 대한 통찰을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