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BOM관리규정(표준)
본 내용은
"
05-359-Q, BOM관리규정(표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3
문서 내 토픽
-
1. BOM (Bill of Material)제품의 상하 관계를 유지한 표로서 계획 시스템과 COST시스템의 근간이 되는 제품의 기초 자료를 말한다.
-
2. 코드번호회사 내에서 전산 관리를 위해 자재와 물품에 부여한 고유번호로 제품코드, 금형코드, 자재코드, 공정코드가 있다.
-
3. 소요량제품 하나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자재의 양을 말하며 단위로는 사용자재에 따라 SHT(SHEET), KG(무게), M(길이)등이 있다. (구매단위와 사용단위는 일치한다.)
-
4. BOM 등록 및 변경시험시작부서는 제품개발 시 금형제작과 함께 설계도면을 기반으로 자재 소요량을 산출하고, 구입필요 시 구매부서에 구매 요청한다. 변경사항 발생시 부품구성변경의뢰서를 작성하고 전산에 변경등록요청 관리한다.
-
5. 기록관리본 지침에서 발생된 문서 및 기록은 적용 가능한 고객지정요구사항 및 관련 법규정에 정한 기한이 있는 경우 그에 따른다.
-
1. BOM (Bill of Material)BOM(Bill of Material)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부품, 자재, 구성품 등의 목록을 의미합니다. BOM은 제품 개발 및 생산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OM을 통해 제품 구성, 부품 정보, 소요량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산 계획 수립, 자재 구매, 재고 관리 등이 이루어집니다. 또한 BOM은 제품 변경 관리, 원가 관리, 품질 관리 등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BOM의 정확성과 최신성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
2. 코드번호코드번호는 제품, 부품, 자재 등을 식별하고 관리하기 위해 부여되는 고유한 번호입니다. 코드번호는 제품 정보, 구매 정보, 재고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코드번호를 통해 제품 및 부품의 정보를 신속하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산 계획 수립, 자재 구매, 재고 관리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코드번호는 제품 추적성 확보, 품질 관리, 원가 관리 등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코드번호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소요량소요량은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품, 자재, 구성품 등의 수량을 의미합니다. 소요량 관리는 제품 생산 계획 수립, 자재 구매, 재고 관리 등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정확한 소요량 산출을 통해 적정 수준의 자재를 구매하고 재고를 관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생산 효율성 및 비용 절감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요량 관리는 제품 변경 관리, 원가 관리, 품질 관리 등에도 활용됩니다. 따라서 BOM 정보와 생산 계획을 바탕으로 정확한 소요량을 산출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4. BOM 등록 및 변경BOM(Bill of Material)의 등록 및 변경 관리는 제품 생산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BOM은 제품 개발 단계에서 정의되며, 이후 제품 생산 및 변경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BOM 등록 및 변경 관리를 통해 제품 정보의 정확성과 최신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산 계획 수립, 자재 구매, 재고 관리 등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또한 BOM 변경 이력 관리를 통해 제품 변경 사항을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BOM 등록 및 변경 관리 프로세스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5. 기록관리기록관리는 제품 생산 및 품질 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와 정보를 체계적으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것은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확보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합니다. 또한 기록관리를 통해 제품 개선, 공정 개선, 원가 관리 등에 필요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제품 생산 및 품질 관리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와 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집, 저장, 관리할 수 있는 기록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기록관리 프로세스와 절차를 명확히 정의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관세환급제도의 이해와 실무적용 18페이지
ndex 1. 관세 제도 개념 이해 3. 관세환급 실무 4. 관세환급 진행 사항 REVIEW 관세 주요 용어의 정의 관세행정에서의 절세 방안 관세환급의 정의 및 환급특례법 상 환급 기본 절차 요건 및 세부설명 , 환급신청자의 의무 2. 관세 및 관세율 등에 관한 설명 관세의 과세요건 및 관세평가 기준 관세율 적용 순위 및 주요 관세 , 내국세 종류와 세액 산출 방법1. 관세 제도 개념 이해 통관 통관 ( 通關 ) 이란 관세법의 규정에 의한 절차를 이행하여 물품을 수입 , 수출 또는 반송하는 것 . 즉 , 물품이 국경관문을 통과하는 ...2021.05.25· 18페이지 -
기업실사ABC(Due Diligence) 14페이지
::기업실사_ABCDue Diligence:: ktboom::: 목 차 :::: TOC \o "1-3" \h \z \u Hyperlink \l "_Toc193496151" Ⅰ. 실사( Due Diligence) PAGEREF _Toc193496151 \h 3 Hyperlink \l "_Toc193496152" 1.개념 PAGEREF _Toc193496152 \h 3 Hyperlink \l "_Toc193496153" 2.실사의 목적 PAGEREF _Toc193496153 \h 3 Hyperlink \l "_Toc193496154" ...2025.03.22· 14페이지 -
한국무역론,FTA 비즈니스 모델,한 미 FTA,미소기준적용,FTA 활용,미소기준적용 사례 21페이지
한국무역론과제 FTA 를 활용한 비즈니스 모델1-1 미소기준 1-2 미소기준적용 사례 1. 한 - 미 FTA 활용 2 . 한 - 아세안 FTA 활용 1-1 상품 및 국가선정 1-2 현황 1-3 활용 및 분석1. 한 - 미 FTA 활용1-1 미소기준 ∙ 미소기준이란 ? 어떤 상품에 원산지요건을 충족하지 못한 재료가 포함된 경우 , 해당재료의 비중이 협정에서 허용하고 있는 수준이내인 경우 그 재료의 세번변경 여부를 고려하지 않는 것 을 이용한 모델 ∙ 미소기준 활용 비즈니스 모델 ㆍ 산업구조가 복잡해지고 분업화되어 모든 원재료가 세번변...2020.12.03· 21페이지 -
품질기본용어 및 해설(ISO 용어 및 해설) 20페이지
Saebyeol’s PowerPoint 품질 기본용어 및 해설04 ISO 용어 및 해설 No 용어 (Index) 해설 내용 (Description) 비 고 (Note) 1 이상발생 원인 (Assignable Cause) 품질특성치의 변동원인 중 우연원인 이외의 원인으로 생산설비의 이상 , 미숙련 작업자의 투입 또는 불량자재의 사용 등과 같이 , 만성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산발적으로 발생하여 공정이 관리상태를 이탈하게 하는 원인 . Spec out, 관리선 이탈 , 유통 / 유효기간 초과 , 용기 포장불량 , 제조 / 공정 pa...2020.03.01· 20페이지 -
개발 프로세서.(자동차 업계) 12페이지
제품 개발 PROCESS(M-4)M+7(M+5)품질확보개발단계부 품 개 발신 차 개 발 일 정구분1차 시작차 제작2차 시작차 제작P-1P-2양산도면M1신기술 신소재 검토,확정상품 구상서설계 구상모델 승인모델 고정도면출도마스터카양산기술사양 협의업체선정시작개발양산 준비 (설비, 재료, 공법, 작업자)중점관리품목 선정 (IRE)P-1 부품지원M2 부품제품 기획제품 설계 및 개발공정 준비 및 확인부품 지원 및 품질확보P-2 부품지원M1 부품MM+17M+20M+24초도품 승인M2M+23T1T2M+15M+18.5M+21부 품 제 조 공 정 승...2020.06.10·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