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학 ) 크리에이티브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구점 (공포, 유머, 패러디, 온정, 성(性), 비교, 증언, 실연(실증), 생활의 단면) 중에 7개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TV광고를 찾아 설명
본 내용은
"
광고학 ) 크리에이티브에서 많이 사용하는 소구점 (공포, 유머, 패러디, 온정, 성(性), 비교, 증언, 실연(실증), 생활의 단면) 중에 7개를 선택하여 이에 해당하는 TV광고를 찾아 설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2
문서 내 토픽
  • 1. 소구점의 개념
    소구점이란 기업이 소비자로 하여금 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즉 소비자가 상품을 구매해야 하는 이유를 말한다.
  • 2. 소구점의 형식
    소구점의 형식에는 본질, 긍정, 부정, 이성적, 감성적, 차별 등이 있다.
  • 3. 공포 소구
    금연 장려 광고에서 공포감을 조성하는 배경음악과 고통스러워하는 인물들의 모습을 통해 '흡연'이 얼마나 좋지 않은지에 대한 인식과 흡연에 대한 혐오감을 증진시킨다.
  • 4. 유머 소구
    미원 광고에서 '드라마 속 조연'과 유사한 미원의 특징을 잘 살려주었다.
  • 5. 성(性) 소구
    배스킨라빈스 광고에서 만 11세의 키즈 모델을 성적 도구로 사용하여 논란을 일으켰다.
  • 6. 패러디 소구
    KCC창호 광고에서 이미 유명한 광고를 패러디하면서 '보는 즐거움'을 선사하였다.
  • 7. 온정 소구
    KB금융그룹 광고에서 부모들이 자식들에게 영상편지를 보내고 이를 본 40대 가장들이 눈물을 흘리는 모습을 통해 온정적인 감정을 자극하였다.
  • 8. 비교 소구
    삼성전자 광고에서 애플을 우회적으로 비판하며 삼성과 애플의 비교를 보여주었다.
  • 9. 실연(실증) 소구
    카베진 광고에서 속 쓰리고 아플 때 카베진을 먹을 수 있도록 하는 실증적인 장면을 보여주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소구점의 형식
    소구점의 형식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인 소구점 형식으로는 이성적 소구, 감성적 소구, 도덕적 소구 등이 있습니다. 이성적 소구는 제품의 기능, 성능, 가치 등 객관적인 정보에 호소하는 방식입니다. 감성적 소구는 소비자의 감정, 욕구, 가치관 등에 호소하는 방식입니다. 도덕적 소구는 사회적 책임, 윤리성 등 도덕적 가치에 호소하는 방식입니다. 이 외에도 공포, 유머, 성, 패러디, 온정, 비교, 실연 등 다양한 소구점 형식이 활용될 수 있습니다. 광고 목적과 타깃 소비자에 맞는 적절한 소구점 형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주제4: 유머 소구
    유머 소구는 소비자의 긍정적인 감정을 자극하여 제품에 대한 호감을 높이는 방식입니다. 재미있고 웃긴 광고 메시지는 소비자의 주의를 끌고 기억에 남을 수 있습니다. 유머 소구는 제품의 특성이나 브랜드 이미지와 잘 어울리는 경우에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유머 소구가 지나치거나 부적절한 경우에는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타깃 소비자의 특성과 제품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수준의 유머 소구를 활용해야 합니다.
  • 3. 주제6: 패러디 소구
    패러디 소구는 기존의 유명한 광고, 영화, 노래 등을 모방하거나 패러디하여 소비자의 관심을 끌고 제품을 홍보하는 방식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기존 경험과 지식을 활용하여 제품에 대한 호감을 높일 수 있습니다. 패러디 소구는 소비자의 흥미와 재미를 자극할 수 있으며, 제품의 독특한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나치거나 부적절한 패러디는 오히려 부정적인 반응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패러디 소구 활용 시에는 타깃 소비자의 특성과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합니다.
  • 4. 주제8: 비교 소구
    비교 소구는 경쟁 제품과의 비교를 통해 자사 제품의 우수성을 부각시키는 방식입니다. 이는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유도하여 구매 동기를 높일 수 있습니다. 비교 소구는 제품의 기능, 성능, 가격 등 객관적인 정보를 활용하여 경쟁 제품과의 차별성을 강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교 소구 시 경쟁 제품에 대한 부정적인 묘사나 과장된 주장은 윤리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비교 소구 활용 시에는 공정성과 정확성을 확보하고, 타깃 소비자의 합리적 의사결정을 지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