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실습, 호흡기 내과, 소아청소년, 아동실습일지, 실습 성찰일지, 일과요약, 학습한 핵심간호 혹은 임상상황, 이론의 실천적 적용(간호사역할,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성찰내용(강점,약점)
문서 내 토픽
-
1. 환아 TPR 측정소아의 경우 BP가 오류를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주로 T-체온, P-맥박, R-호흡수를 주로 측정하였다. 3세 이하의 아동은 귓바퀴를 후하방으로 당겨 고막체온을 측정하고 맥박과 호흡은 청진기를 이용하여 소리를 듣고 맥박은 심첨맥박으로 측정하였다. 2~9세 아동은 말을 알아 듣는 경우가 많아 열을재거나, 심장소리를 듣는다고 하면 이해하는 반응을 보이며 TPR을 측정할 수 있었지만, 0~1세 정도의 아기들은 간호사, 청진기를 보기만 해도 울며 몸부림을 쳐서 체온 말고는 청진기로 아무것도 들을 수 없어 진땀 흘렸다. 깨어있을 때는 청진기나 체온계를 보고 울고 자고있을 때 측정하려고 해도 쉽게 꺠어나 버려서 측정이 어려웠다. 병동에 새롭게 입원하는 환아나 진단과 증상에 따라 SPO2측정이 필요한 환아가 있었는데 성인에 비해 손발톱의 크기가 1/4정도이고 두려움에 저항하는 소아의 경우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측정결과에서 오류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성인병동에서 v/s 측정에 비교하면 측정이 쉽지 않았다.
-
2. 네뷸라이저 약물 및 기기사용방법네뷸라이저를 사용하는 환아 보호자에게 네뷸라이저 기기에 마스크 연결 및 사용법을 안내하였다. 네뷸라이저 약물로는 살부톨(V),풀미칸(P), 뮤코나액(M), 보스민(B) 이렇게 있으며 주로 살부톨과 풀미칸을 mix하여 약물을 준비한다. 3cc주사기에 [ V 0.5, P 1 ]이렇게 mix하여 약물을 준비하고 주사기 바늘을 제거하고 네뷸라이저 캡을 끼워준비한다. 준비해둔 약물은 아이에게 네뷸라이저 약물이 들어간 시간 4시간 간격으로 간호사가 병동마다 방문하여 네뷸라이저 마스크 밑 약물통에 약물을 짜넣어 준다.
-
3. 주사약물 준비환아 수액에 IV side 라인에 주입하기 위한 약물을 준비함. 처방된 inj약물을 앰플과 바이알 각각 처방된 양에 맞춰 계산하여 필터주사기에 준비하고 환아 이름과 약물을 확인하여 라벨을 붙인다. inj약물로는 앰플로는 뮤코나액, 티램, 덱사, 겐타마이신을 주로 준비하고 바이알은 유박탐, 박타신, 세포탁심, 케이탁심을 주로 준비하였다.
-
4. 환아 체온측정20:00 병동 환아 체온을 측정하였다. 병실에 갔을 때 환아들이 대부분 잠들었거나 잠드는 중이어서 체온을 측정하기 위해 다가가거나 체온계를 적용 했을 때 환아의 잠을 깨울 수 있어 숨죽이고 조심스럽게 측정을 했다. 측정을 진행하면서 환아 보호자의 아이를 대하는 각자만의 아이를 대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자장가를 부르거나 체온계를 '전화받아 볼까요'라고 하며 표현하거나, 측정 시 발생하는 소리를 대비하여 준비된 개인용 체온계라던지 다양한 아기대하는 기술들을 볼 수 있었다.
-
1. 환아 TPR 측정환아의 체온, 맥박, 호흡 등 생체징후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은 환아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체온계, 맥박계, 호흡 관찰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TPR을 측정하고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측정 시 환아의 연령, 활동 상태, 투약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아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2. 네뷸라이저 약물 및 기기사용방법네뷸라이저는 천식, 만성폐쇄성폐질환 등 호흡기 질환 환자에게 약물을 효과적으로 투여할 수 있는 중요한 의료기기입니다. 네뷸라이저 사용 시 약물의 입자 크기, 투여량, 투여 시간 등을 정확히 조절하여 약물이 폐 깊숙이 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또한 기기 사용 방법을 정확히 숙지하고 환자에게 교육하여 올바르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약물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3. 주사약물 준비주사약물 준비 시 무균술을 철저히 지켜 감염 위험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약물의 종류, 용량, 유효기간 등을 정확히 확인하고 주사기와 주사액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주사 부위를 소독하고 주사 시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안전과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4. 환아 체온측정환아의 체온 측정은 건강 상태를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체온계를 사용하여 정확히 체온을 측정하고, 연령, 활동 상태, 투약 여부 등을 고려하여 정상 범위 내에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또한 체온 측정 시 환아의 불편감을 최소화하고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환아의 건강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간호 중재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A+자료] 아동간호학실습, 소아병동실습, 호흡기 내과, 소아청소년, 아동실습일지, 실습 성찰일지, 일과요약, 학습한 핵십간호 혹은 임상상황, 이론의 실천적 적용(간호사역할, 근거기반간호, 간호과정), 성찰내용(강점,약점)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