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마취 회복실 기흉(Pneumothorax)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본 내용은
"
[A+보장]성인간호학실습 마취 회복실 기흉(Pneumothorax) 간호, 간호진단, 간호과정, 컨퍼런스, 케이스스터디 14페이지 자료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0
문서 내 토픽
  • 1. 기흉의 개념
    폐는 정상적으로 두 겹의 흉막에 의해 둘러싸여 있으며, 흉막 사이에는 약 10~15cc의 흉수가 있고 공기는 없는 것이 정상이다.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공기 주머니에 해당되는 기포가 파열되어 구멍이 생겨 공기가 새고 이 공기가 흉막 안으로 들어가 폐의 일부분이 함몰되는 것이 기흉이다.
  • 2. 기흉의 원인
    폐의 일부가 약해지면서 폐 표면에 작은 기포들 즉 폐 기포(Bulla)가 형성되고 그 기포의 파열로 폐 속의 공기가 늑막강내로 유출되어서 생긴다. 기포파열의 원인으로는 폐의 신축, 이완 작용과 신체 활동에 따른 폐-기포-흉막간의 마찰, 이를 보조하는 윤활액, 점액의 부족 등으로 추정된다.
  • 3. 기흉의 분류
    기흉에는 기관, 기관지, 허파꽈리와 같은 호흡기도가 파열되어 가슴막안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폐쇄기흉(자발기흉)과 가슴벽에 생긴 외상성 상처를 통하여 가슴막안으로 공기가 들어가는 개방성 기흉(외상성 기흉)이 있는데 자발기흉이 더 흔하다. 긴장기흉은 손상된 폐조직을 통하여 흡기시 매번 가슴막안으로 공기가 들어가지만 호기시에 나오지 못하는 매우 심한 기흉이다.
  • 4. 기흉의 병태생리
    기흉(pneumothorax)은 흉막강 내에 공기가 있는 상태이며, 이로 인해 완전한 폐 팽창이 억제된다. 폐는 흉벽 쪽의 벽측 흉막과 폐 쪽의 장측 흉막이 흉막강 안을 음압으로 유지할 때 팽창이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의 연속성이 깨어지면 폐는 허탈되고 기흉이 발생된다.
  • 5. 기흉의 증상
    중정도의 기흉에서 임상증상은 빈호흡, 호흡곤란, 환측 흉곽이 움직이거나 호흡 및 기침을 할 때 갑작스러운 찌르는 듯한 통증, 비대칭적인 흉곽 팽창, 환측 호흡음의 감소 또는 소실, 환측 부위 타진시 과공명음(tympany), 안절부절못함, 불안, 빈맥이 나타난다. 심한 기흉의 임상증상은 중정도의 기흉시 임상중상을 포함하여 경정맥 팽대, 심첨점(Point of Maximum mpulse ; PMI) 위치변화, 피하기종, 촉진진탕과 성음진탕 감소, 침범되지 않은 쪽으로 기관의 편위, 진행되는 청색증이 있다.
  • 6. 기흉의 진단
    기흉은 검사상 특별한 소견이 없으며 25% 이상의 폐허탈을 동반한 기흉에서는 호흡이 감소되고 소실된다. 흉부 엑스선 검사에서 특징적인 공기 음영이 나타난다. 흉부 엑스선 사진에서 벽측 흉막과 장측 흉막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기흉의 크기를 계산하기도 한다.
  • 7. 기흉의 치료
    기흉의 1차 치료는 산소를 투여하면서 기다리는 것이다. 하지만 기흉 환자의 대부분은 흉관 삽관을 하게 된다. 흉관 삽관의 장점은 지속적인 공기 누출이 있는 경우에도 폐의 팽창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며 필요한 경우 흡인 장치를 추가하여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공기 누출을 막기 위해 화학적 흉막 유착술을 시행하는 방법이 있으며, 수술을 시행하기도 한다.
  • 8. 기흉의 경과 및 합병증
    보통 안정 상태에서 고농도의 산소를 투여하며 기흉의 흡수를 기다리면 하루에 흉곽 용적의 1.25%씩 자연 흡수된다. 합병증으로는 긴장성 기흉, 혈기흉, 재팽창성 폐수종 등이 있다.
  • 9. 기흉의 예방
    특별한 예방법은 없다. 기흉이 있는 환자가 흡연을 하는 경우 재발 확률이 높기 때문에 금연을 하는 것이 원칙이다. 의인성 기흉을 예방하기 위해 각종 시술 전에 주의사항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 10. 기흉 환자의 간호
    호흡과 심장상태를 주의깊게 사정하고 긴장성 기흉의 증상과 징후를 관찰한다. 개방성 기흉일 때는 상처를 막아주기 위해 폐쇄 드레싱을 하고 호흡을 관찰한다.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하고, 관통상일 경우는 감염 가능성이 있으므로 증상을 관찰하고 흉관 삽입과 개흉술을 위한 준비를 한다.
  • 11. 사례 연구
    19세 남자 환자가 우측 폐 기흉으로 비디오 흉강경 수술(VATS)을 받았다. 수술 전 간호, 수술 중 간호, 수술 후 회복실 간호 과정이 자세히 기술되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기흉의 개념
    기흉은 폐 내부와 흉강 사이에 공기가 차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로 인해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게 되어 호흡 곤란, 흉통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기흉은 외상, 폐 질환, 기저 질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응급 상황이 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흉의 개념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대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기흉의 원인
    기흉의 주요 원인으로는 외상, 폐 질환, 기저 질환 등이 있습니다. 외상의 경우 흉부 외상, 폐 수술, 기관지 내시경 검사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폐 질환으로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 농양, 폐 결핵 등이 있으며, 기저 질환으로는 결체 조직 질환, 면역 결핍 질환 등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자발성 기흉, 특발성 기흉 등 명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기흉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적절한 치료를 위해 중요합니다.
  • 3. 기흉의 분류
    기흉은 발생 원인에 따라 자발성 기흉, 외상성 기흉, 특발성 기흉 등으로 분류됩니다. 자발성 기흉은 폐 질환이나 기저 질환 없이 발생하는 경우이며, 외상성 기흉은 외부 외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입니다. 특발성 기흉은 명확한 원인을 찾기 어려운 경우를 말합니다. 또한 기흉의 정도에 따라 완전 기흉, 부분 기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흉의 분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 4. 기흉의 병태생리
    기흉이 발생하면 폐가 정상적으로 팽창하지 못하게 되어 호흡 기능이 저하됩니다. 이로 인해 폐 용적이 감소하고 환기-관류 불균형이 발생하여 저산소혈증과 고이산화탄소혈증이 나타납니다. 또한 종격동 구조물의 이동으로 인해 심장 기능 저하, 혈압 저하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흉의 정도가 심해질수록 이러한 병태생리적 변화가 더욱 심각해지므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5. 기흉의 증상
    기흉의 주요 증상으로는 호흡 곤란, 흉통, 청색증 등이 있습니다. 호흡 곤란은 폐 팽창 저하로 인한 증상이며, 흉통은 흉강 내 공기 축적으로 인한 통증입니다. 청색증은 저산소혈증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이 외에도 기침, 객혈,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기흉의 크기와 진행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증상 발현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 6. 기흉의 진단
    기흉의 진단을 위해서는 병력 청취, 신체 검진, 영상 검사 등이 필요합니다. 병력 청취를 통해 발생 원인을 파악하고, 신체 검진에서 호흡 곤란, 청색증, 피부 긴장도 저하 등의 소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영상 검사로는 흉부 X선 검사, 흉부 CT 검사 등이 활용되며, 이를 통해 기흉의 유무, 크기, 위치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필요 시 추가적인 검사를 시행하여 기흉의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7. 기흉의 치료
    기흉의 치료는 기흉의 크기와 증상의 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경증 기흉의 경우 산소 공급, 안정 등의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중등도 이상의 기흉에서는 흉관 삽입을 통한 배액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흉강경 수술, 개흉술 등의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기흉의 재발 위험이 높은 경우 예방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기흉의 치료 방법은 환자의 상태와 기흉의 특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합니다.
  • 8. 기흉의 경과 및 합병증
    기흉의 경과는 기흉의 크기, 원인, 치료 방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경증 기흉의 경우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지만, 중증 기흉이나 재발성 기흉의 경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습니다. 주요 합병증으로는 긴장성 기흉, 폐 허탈, 폐 감염, 심장 기능 저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합병증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어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기흉 환자의 경과 관찰과 합병증 예방을 위한 노력이 중요합니다.
  • 9. 기흉의 예방
    기흉의 예방을 위해서는 기저 질환 관리, 외상 예방, 금연 등이 중요합니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결체 조직 질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교통사고, 스포츠 활동 등에 의한 외상을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흡연은 기흉 발생 위험을 높이므로 금연이 필요합니다. 이 외에도 기흉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10. 기흉 환자의 간호
    기흉 환자의 간호에서는 호흡 관리, 통증 관리, 합병증 예방 등이 중요합니다. 호흡 곤란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산소 공급, 흉관 관리 등의 간호 중재가 필요합니다. 통증 관리를 위해 진통제 투여, 체위 변경 등의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긴장성 기흉, 폐 감염 등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활력 징후 모니터링, 흉관 관리, 감염 관리 등의 간호 활동이 중요합니다. 기흉 환자의 상태 변화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과 신속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 11. 사례 연구
    기흉 환자의 사례 연구를 통해 다양한 원인, 증상, 진단 및 치료 과정, 경과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흉의 특성과 관리 방법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습니다. 사례 연구에서는 환자의 병력, 진단 과정, 치료 방법, 경과 등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습니다. 특히 드문 원인으로 발생한 기흉, 합병증이 동반된 기흉, 재발성 기흉 등의 사례 연구는 기흉 관리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흉 환자 관리에 대한 지식과 경험을 축적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