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간호학 감염질환 요약정리
본 내용은
"
아동간호학 감염질환 요약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0
문서 내 토픽
  • 1. 홍역
    홍역은 미질스 바이러스(measles 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8~12일(최대 2주)이다. 전파기간은 발진이 나타나기 전 3~5일에서 발진 후 4일까지이며, 비말 직접 접촉에 의한 개인 간 전파와 드물게 공기 전파가 가능하다.
  • 2. 풍진
    풍진은 루벨라 바이러스(rubella 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14~21일(2~3주)이다. 전파기간은 증상이 나타나기 7일 전부터 발진이 나타난 이후 7일까지이며, 선천성 감염일 경우 출생 후부터 최대 1년까지 바이러스 배출이 가능하다. 전파 경로는 비말 감염, 직접 접촉, 임산부 풍진 감염 시 태반을 통한 태아 감염이다.
  • 3. 감염홍반
    감염홍반은 파보바이러스B19(parvovirusB19)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14일~21일이다. 전파 경로는 비말, 혈액, 태반 전파이며, 전파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구기에서 발진 나타날 때까지로 추정된다.
  • 4. 소아장미진
    소아장미진(영아돌발진)은 휴먼헤르페스바이러스6(human herpes virus6)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10일이다. 전파 경로는 분비물 접촉이며, 전파기간은 열성기에서 첫 발진 나타날 때까지이다.
  • 5. 장바이러스감염
    장바이러스감염(수족구병)은 1~6번 B그룹 콕사키바이러스, 10번과 28번을 제외한 1~33번 에코바이러스, 68~71번 장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잠복기는 3~6일이며, 전파기간은 대변 배설물이 첫 감염 후 수주일 동안 계속 감염시킨다. 전파 경로는 대변-구강, 구강-구강이다.
  • 6. 수두-대상포진
    수두-대상포진은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herpes-zoster 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10~21일(2~3주)이다. 전파기간은 발진 발생 1~2일 전부터 수포가 건조될 때까지 보통 5~7일이며, 전파 경로는 직접 접촉이다.
  • 7. 이하선염
    이하선염(볼거리)은 파라믹소바이러스(paramyxovirus)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보통 16~18일이지만 길게는 25일까지이다. 전파기간은 붓기 전 7일~발병 후 9일이며, 전파 경로는 비말, 타액, 소변이다.
  • 8. 감염단핵구증
    감염단핵구증(EBV)은 앱스테인바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EBV)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4~7주이다. 전파 경로는 타액(키스로 전파)이며, 전파기간은 알려져 있지 않다.
  • 9. 일본뇌염
    일본뇌염은 일본뇌염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10일이다. 전파 경로는 일본뇌염 모기 → 바이러스가 많은 중간 숙주(돼지)의 혈액 흡혈 → 사람 물어 흡혈 시 전파된다.
  • 10. 백일해
    백일해는 보르데텔라퍼투시스(그람음성간균)에 의해 발생하며, 잠복기는 2~3주이다. 전파기간은 카타르 단계(1~2주)에서 4주까지이며, 전파 경로는 직접 접촉, 기침 시 비말이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홍역
    홍역은 매우 심각한 전염병으로, 특히 어린 아이들에게 위험할 수 있습니다. 홍역은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하며, 접종률을 높이고 홍역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와 의료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홍역 환자 격리,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관리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입니다.
  • 2. 풍진
    풍진은 대부분 경증의 증상을 보이지만, 임신 초기에 감염될 경우 태아에게 심각한 기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들의 풍진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풍진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격리,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의료계는 풍진 퇴치를 위한 정책과 교육 등 다각도의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 3. 감염홍반
    감염홍반은 주로 아동기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발열과 발진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대부분 경증의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홍반 예방을 위해서는 개인위생 관리와 함께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감염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소아장미진
    소아장미진은 주로 5세 이하 어린이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입니다. 발열, 발진, 림프절 종대 등의 증상을 보이며, 대부분 경증의 경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예방접종을 통해 소아장미진 발생을 예방할 수 있으므로, 정부와 의료계의 적극적인 예방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장바이러스감염
    장바이러스 감염은 주로 오염된 음식이나 물을 통해 전파되며, 설사, 구토, 복통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대부분 경증의 경과를 보이지만, 심각한 탈수와 전해질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개인위생 관리와 함께 식품 위생 관리, 오염된 물 사용 방지 등 예방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장바이러스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대응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수두-대상포진
    수두와 대상포진은 모두 수두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수두는 주로 어린이에게 발생하며, 대상포진은 수두 감염 후 잠복기를 거쳐 성인에게 발생합니다. 두 질환 모두 발열, 발진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수두 예방접종이 중요하며, 대상포진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가 필요합니다. 또한 수두-대상포진 관리를 위한 정부와 의료계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됩니다.
  • 7. 이하선염
    이하선염은 주로 아동기에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이하선의 부종과 통증을 동반합니다. 대부분 경증의 경과를 보이지만,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하선염 예방을 위해서는 예방접종이 중요하며, 감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격리,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대응이 필요합니다. 또한 이하선염 예방을 위한 교육과 홍보 활동도 병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 8. 감염단핵구증
    감염단핵구증은 주로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입니다. 발열, 인후통, 림프절 종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대부분 경증의 경과를 보입니다. 그러나 드물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합니다. 또한 감염단핵구증 예방을 위한 개인위생 관리와 함께 교육 및 홍보 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일본뇌염
    일본뇌염은 모기에 의해 전파되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으로, 발열, 두통, 의식 장애 등의 증상을 동반합니다.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어 치명률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일본뇌염 예방을 위한 백신 접종이 매우 중요하며, 모기 방제 등 예방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일본뇌염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 10. 백일해
    백일해는 기침, 재채기, 구토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심각한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특히 영아의 경우 합병증 발생 위험이 높아 치명률이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백일해 예방접종이 매우 중요하며, 접종률 제고를 위한 정부와 의료계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백일해 발생 시 신속한 진단과 치료, 접촉자 관리 등 체계적인 대응이 요구됩니다. 백일해 예방과 관리를 위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