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만대사수술 위소매절제술
본 내용은
"
비만대사수술 위소매절제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4
문서 내 토픽
-
1. 비만의 정의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비만을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 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축적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체질량지수(BMI)가 25kg/m2 이상이면 성인 비만으로 정의되며, 30-35kg/m2 이상이면 병적비만(고도비만)으로 간주된다.
-
2. 비만의 원인비만의 원인은 일차성 비만과 이차성 비만으로 구분된다. 일차성 비만은 에너지 섭취량과 에너지 소비량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식습관, 생활습관, 유전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이차성 비만은 유전 질환, 신경내분비계 질환, 약물 등의 특정한 선행 원인에 따른 결과로 발생한다.
-
3. 비만의 동반질환비만 환자에게는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수면 무호흡 등의 동반질환이 흔히 나타난다.
-
4. 비만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비만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로는 총 열량 섭취 제한, 운동 치료, 약물 치료 등이 있다. 식사 및 운동 치료에도 불구하고 체중 감량이 어려운 경우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
5. 비만대사수술 대상자병적비만 환자에서 수술 치료는 체중 감량 및 감량된 체중 유지에 유일한 치료법이며,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비만 동반질환 개선에 효과적이다. 2019년 1월부터 비만대사수술이 국민건강보험 요양급여로 적용되고 있다.
-
6. 비만대사수술 방법비만대사수술 방법에는 위소매절제술(Sleeve gastrectomy)과 루와이 위우회술(Roux-en Y gastric bypass)이 있다. 위소매절제술은 위의 용적을 줄이는 술식이며, 루와이 위우회술은 위의 용적을 줄이고 음식이 내려가는 길을 바꾸는 술식이다.
-
7. 비만대사수술 준비비만대사수술을 받기 위해서는 현재의 영양 상태 확인, 금연, 간 용적 감소를 위한 식이 조절, 과거력 및 신체검사, 심폐기능검사 등의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와 Helicobacter pylori 검사가 필수적이다.
-
8. 비만대사수술 후 합병증비만대사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주요 합병증으로는 출혈, 문합부 누출, 위 배출 장애, 덤핑증후군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에 대한 적절한 관리와 대처가 필요하다.
-
9. 비만대사수술 후 식사 및 영양관리수술 후 초기에는 유동식 섭취, 이후 점차 고형식으로 전환하며, 단백질 섭취와 비타민/무기질 보충제 복용이 중요하다. 영양 결핍 예방을 위해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
10. 비만대사수술 인증제도대한비만대사외과학회에서는 비만수술 인증제도를 마련하여 기관 인증과 개인 인증을 시행하고 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이 최상의 진료와 수술을 받으면서도 안전성을 보장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
1. 주제2: 비만의 원인비만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유전적 요인, 생활 습관, 스트레스, 호르몬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특히 과도한 열량 섭취와 신체 활동 부족이 가장 큰 요인이다. 현대 사회의 편리한 생활 환경과 고칼로리 식단 등이 비만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개인의 생활 습관 개선이 비만 예방과 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
2. 주제4: 비만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비만 환자의 비수술적 치료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 수정 요법 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개인의 생활 습관 개선을 통해 점진적인 체중 감량을 목표로 한다. 특히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은 비만 관리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심리적 요인에 대한 상담과 행동 수정 요법도 중요하다. 이를 통해 장기적인 체중 관리가 가능하다.
-
3. 주제6: 비만대사수술 방법비만대사수술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대표적으로 위 밴드술, 위 우회술, sleeve 위 절제술 등이 있다. 각 수술 방법은 수술 범위와 수술 후 체중 감량 효과, 합병증 위험 등이 다르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수술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수술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또한 수술 전후 관리와 지속적인 추적 관찰이 매우 중요하다.
-
4. 주제8: 비만대사수술 후 합병증비만대사수술은 효과적인 치료법이지만 수술 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출혈, 감염, 영양 결핍, 탈장, 담석증 등이 있다. 이러한 합병증은 수술 방법, 환자의 건강 상태, 수술 후 관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수술 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과 관리가 필수적이며, 합병증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중요하다.
-
5. 주제10: 비만대사수술 인증제도비만대사수술의 안전성과 효과성을 보장하기 위해 의료기관 인증제도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수술 시행 기관과 의료진의 전문성, 시설 및 장비, 수술 성과 등을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인증 기준을 충족한 기관에서 수술을 받는 것은 환자의 안전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인증제도는 비만대사수술의 질적 향상과 의료 서비스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병적비만 위소매절제술1. 위의 구조와 기능 위는 소화관의 일부분으로 왼쪽 위편의 복강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해부학적으로 본문부(cardiac region), 위저부(fundus), 몸체(...2025.05.13 · 의학/약학
-
[A++] 최신 성인간호학 위 절제술(gastrectomy)케이스 스터디(수술 전, 중, 후 간호 교육, 합병증, 퇴원 후 관리, 문헌고찰+간호진단, 과정7개)1. 수술 전 간호 수술 전 간호는 수술을 하기로 결정한 때부터 시작하여 대상자가 수술실 침대로 옮겨질 때까지 수행되어집니다. 수술 전 간호는 수술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임상적으로 사정하고 수술과 관련된 잠재적인 합병증을 파악하는 단계, 사정단계에서 수집된 기초자료에 근거한 간호진단을 이끌어 내고, 대상자 개개인에 대해 내려진 간호진단에 따라 수술 전 ...2025.04.26 · 의학/약학
-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 병적비만 위소매절제술 11페이지
Case study위소매 절제술수술실 사례보고서환자 성명: 최○ 연령: 27 성별: F과명: GS의학적 진단명: 병적 비만(morbid obesity)수술명: 위소매 절제술(sleeve gastrectomy)Ⅰ. 수술정보? 문헌고찰1. 위의 구조와 기능위는 소화관의 일부분으로 왼쪽 위편의 복강에 위치하며 위쪽 끝은 식도와 연결되고 아래쪽 끝은 소장과 연결된다. 정상적으로 위의 길이는 약 25cm로 용적은 1,500mL이며 약 4L의 음식과 수분을 보유할 수 있을 만큼 확장 가능한 팽창성 기관이다. 위는 해부학적으로 본문부(cardi...2023.08.09· 11페이지 -
성인간호학 / 수술실 실습 / 실습 전 학습 / 사전학습 13페이지
교과목명실습기관실습기간제출일지도교원학년/반이름(학번)성인간호학 실습실습전 학습1. Scrubbing, Gloving and Gowning의 목적, 방법, 주의점에 대해 학습하시오1) Scrubbing-목적 : 절개 부위와 접촉하는 손가락을 포함한 손과 전박, 팔꿈치까지를 가능하면 깨끗하게 하여 미생물의 수를 감소하기 위함이다.-방법(1) 손톱을 짧게 깎고 손톱 밑을 나무 스틱으로 깨끗이 한다.(2) 브러시나 스펀지에 피부소독제를 묻혀 손가락 끝부터 팔꿈치에서 5cm 위까지 깨끗이 씻는다. 한쪽 팔을 씻은 후 다른 쪽 팔도 똑같이 씻...2025.03.17· 13페이지 -
2022학년도 나인 활동지 - 구사일생 프로젝트 4페이지
2022학년도 나인 활동지(1)( 3 )학년 (7 )반 이름 ( )1. 자신이 관심 있는 신체(장기)와 그 이유(1,2학년 때 생활기록부에 기재된 신체(장기)와 같을 경우 ? 작년과 다르게 더욱 그 중요성이 부각된 이유 추가)(1,2학년 때 생활기록부애 기재된 신체(장기)와 다를 경우 ? 새롭게 관심이 깃든 이유 설명)폐에 대한 새로운 관심이 생겼다. 전년에 암의 작용 원리를 조사해서 발표한 적이 있는데,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국내 사망원인통계에서 사망률이 10만 명 당 35.1 명으로 폐암이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다. ...2023.07.28· 4페이지 -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위우회술 gastric bypas 15페이지
성인간호학 실습(3)Case Study(사례보고서):Roux-en-Y gastric bypass문헌고찰1. 병태생리1) 비만의 정의 및 진단A. 비만의 정의:WHO에 따르면, 비만을 ‘건강을 해칠 정도로 지방조직에 비정상적인 또는 과도한 지방이 축적된 상태’로 정의하고 있다. 즉, “체지방률이 정상치를 초과하면 비만”이라는 뜻이다.B. 비만의 진단:비교적 간단하게 체지방률을 예측하는 방법은 체질량지수(BMI,Body Mass Index)가있다. WHO기준에 따르면, 다음 표와 같다.정상18.5~24.9 kg/ m2비만Class 13...2021.02.24· 15페이지 -
성인간호학 주제학습 [호흡기계/신장계 대상자 간호] 12페이지
성인간호학 주제학습-호흡기계/신장계 대상자 간호-1. 상부기도 (코, 부비동, 인두, 후두)1) 비강과 부비동 (Nasal cavity¶nasal sinus)비강은 비중격에 의해 좌,우로 나뉘며, 비강상부에는 후각신경(제1뇌신경)이 분포되어 있어 냄새를 맡을 수 있다.부비동은 비강을 둘러싼 뼈 속의 빈 공간으로 공기가 가득 차있으며, 발성 시 공명을 하고 두개골의 무게를 가볍게 한다.① 호흡기계/ 신장계 구조와 기능2) 인두 (Pharynx) - (비인두, 구인두, 후인두)구강과 비강 뒤쪽에 위치.? 비인두 - 아데노이드, ...2021.05.17·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