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UP39+5wks, primi GDM 산모 Induction 실패 d/t CPD, 응급 C/S 진행 CASESTUDY
본 내용은
"
여성건강간호학 분만실 케이스스터디. GDM 초산모 유도분만 과정 / CPD로 유도 실패하여 C/S 진행 CASE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9
문서 내 토픽
-
1. 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CPD는 아두와 골반 사이의 크기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것으로, 대부분 분만 중 골반과 태아의 방향이 맞지 않거나 산류가 과도하게 형성된 경우에 발생한다. 지나치게 큰 아두, 4kg 이상의 거대아에서 종종 문제가 된다. 강한 자궁수축에도 분만이 중단되면 자궁파열의 위험이 있고, 선진부가 경관에 잘 밀착되지 않아 경관 개대가 지연되며 비정상적인 수축으로 분만이 지연된다. 또한, 지연분만 후 자궁근 이완으로 인한 산후출혈, 겸자분만이나 질조직 열상으로 인한 산후출혈 등이 발생할 수 있다.
-
2. 태위, 태향태위(lie)는 태아의 장축과 모체의 장축과의 상호관계를 말하며, 종위, 횡위, 사위가 있다. 태향(position)은 선진부와 모체골반의 전후-좌우면과의 관계를 말하며, 각각의 선진부(두정위, 안면위, 둔위)에 6가지 태향을 표시할 수 있다.
-
3. 유도분만유도분만(induction)은 인위적으로 자궁수축을 일으켜 태아 만출을 유도하는 분만 유형으로, 옥시토신 약물 사용, 자궁경부연화법, 인공 파막술이 있다. 유도분만 적응증으로 임신성 고혈압, 모체의 당뇨병, 조기 양막파수, 모체 Rh부적합증, 재태기간 42주 이상 시, 자궁 내 태아사망 등이 있다. 그러나 유도분만의 경우 과거 제왕절개 또는 자궁수술로 자궁반흔 및 손상이 있는 경우, 산도기형, CPD,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헤르페스 2형 감염, 고령이면서 다산력의 산부, 다태임신, 양수과다증 등의 경우 금기된다.
-
4. 임신성 당뇨(GDM)임신성 당뇨(GDM)는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주수 20주 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임부는 인슐린 저항에 대처하고 정상혈당을 유지할 수 있을 만큼 인슐린을 충분히 생산할 수 있다. 그러나 췌장에서의 충분한 인슐린 생산이 어렵거나 인슐린의 효과적 사용이 불가능할 때 GDM이 발생한다. GDM은 태아 기형, 거대아, 신생아 저혈당,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등이 생길 확률이 높다.
-
5. 제왕절개제왕절개분만(C/S)은 산부의 복벽과 자궁벽을 절개하여 태아를 만출시키는 외과적 술법이다. 자궁하부절개와 고전적 절개의 2가지 유형이 있는데, 자궁하부 절개방법이 흔히 사용된다. C/S의 적응증으로 CPD가 가장 흔하며 이 외에도 횡위나 둔위와 같은 태위이상, 비정상적 자궁수축, 자궁경부 개대 불능, 분만지연, 과거 C/S으로 자궁파열 위험 시, 과거 난산에 의한 연조직 손상 시, 유도분만 실패, 생식기 음부포진 감염, 임신성 고혈압, 모체당뇨병 등이 있다.
-
6. 경막외마취(Epidural anesthesia)경막외마취는 부위마취의 한 방법으로 척수를 싸고 있는 경막의 바깥 공간인 경막외강에 약물을 투여하여 마취를 시행하거나 통증 완화에 쓰이는 방법이다. 필요시 도관을 삽입하여 약물을 추가로 더 주입 가능하며, 수술 후 통증 조절, 분만 시 진통 경감의 목적, 하복부 수술 시 등에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1. 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CPD (Cephalopelvic Disproportion)은 태아의 머리 크기와 산모의 골반 크기 사이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산과적 문제입니다. 이는 정상 분만을 어렵게 만들 수 있으며,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CPD 가능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제왕절개 등의 적절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영양 섭취와 운동 등 건강한 생활습관 유지도 CPD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2. 태위, 태향태위와 태향은 태아의 자궁 내 위치와 자세를 나타내는 개념입니다. 태위와 태향은 정상 분만 과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임신 중 정기적인 산전 검진을 통해 태아의 위치와 자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비정상적인 태위나 태향이 발견되면,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분만 과정의 안전성을 높이고,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
3. 유도분만유도분만은 임신 기간 중 자연스럽게 시작되지 않는 분만을 의학적으로 촉발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이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에 시행될 수 있습니다. 유도분만은 분만 과정을 단축시키고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과도한 개입으로 인한 부작용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유도분만 여부는 산모와 태아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결정되어야 합니다.
-
4. 임신성 당뇨(GDM)임신성 당뇨(GDM)는 임신 중 처음 발견되는 당뇨병으로,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임신 중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GDM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발견 시 적절한 관리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GDM 관리를 위해서는 식단 조절, 운동, 약물 치료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습니다. 또한 GDM 관리에는 산모 개인의 노력뿐만 아니라 의료진과의 긴밀한 협력도 중요합니다.
-
5. 제왕절개제왕절개는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 필요한 경우 시행되는 수술적 분만 방법입니다. 제왕절개는 정상 분만이 어려운 경우, 산모나 태아에게 위험이 있는 경우 등에 선택될 수 있습니다. 제왕절개는 분만 과정을 단축시키고 합병증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지만, 수술에 따른 부작용 가능성도 있습니다. 따라서 제왕절개 여부는 산모와 태아의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의사와 충분한 상담 후 결정되어야 합니다.
-
6. 경막외마취(Epidural anesthesia)경막외마취는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경막외마취는 척추 주변에 마취제를 주입하여 통증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산모의 통증을 줄이고 편안한 분만을 도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경막외마취에는 저혈압, 두통, 마비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있으므로, 산모의 상태와 의사의 판단에 따라 적절히 사용되어야 합니다. 또한 경막외마취 시행 여부는 산모와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