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축공학과 건축재료실험 레포트 2. 잔골재시험 (A+)
본 내용은
"
건축공학과 건축재료실험 레포트 2. 잔골재시험 (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1
문서 내 토픽
-
1.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입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행한다. 골재의 입도는 체통과율, 잔유율 등으로 표시되는데, 일반적으로 골재의 크기는 체통과율에 따라 구분되며, 골재의 입도 분포 및 최대치수를 조사함으로써 콘크리트에 사용하는 골재로 적합한지 판정할 수 있다. 골재의 입도 분포 및 최대치수에 따라 콘크리트 배합설계를 실시할 때 자료로 이용된다.
-
2. 잔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구하기잔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구하기 시험은 콘크리트의 제조 및 배합설계에 따른 배합의 결정, 골재의 구입과 검사, 골재 품질의 개략적인 평가 등의 필요에서 본 시험을 행한다.
-
3.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구하기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구하기 시험은 잔골재의 일반적인 성질을 판단하고 콘크리트 배합설계에 있어서 잔골재의 절대용적을 알기 위해 행한다. 잔골재 입자의 공극상태를 알고, 콘크리트 배합설계에서 사용수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시험이다.
-
4. 잔골재의 함수율 관리잔골재의 함수율이란 골재가 최대한도로 수분을 흡착한 상태를 말하며, 함수율이란 온도와 습도에 의해 변화하기 쉽다. 균일한 온도와 습도를 가진 장소에 시료를 보관해야 하며, 비나 눈이 오는 경우를 대비하여 방수 덮개나 포대로 시료를 보호해야 한다. 하절기에는 골재의 수분이 증발하는 현상이 발생하므로 골재를 보관하는 장소에 살수장치를 설치하여 골재에 직접적으로 수분을 가하기도 한다.
-
5. 잔골재의 조립율잔골재의 조립율은 잔류 누적백분율의 합을 100으로 나누어 구할 수 있다. 조립율이 크다는 것은 골재의 입자가 크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체눈이 큰 곳에 골재가 많이 걸린다는 것을 말한다.
-
6. 표준사와의 비교표준사의 조립율은 1.99이고 본 실험의 조립율은 3.28로 본 실험에서 사용한 골재는 입자가 큰 골재들이 많이 섞여 있다. 표준사의 단위용적질량은 1.537kg/L이고 본 실험을 통해 얻은 다져진 골재와 다져지지 않은 골재의 단위용적질량은 각각 1.52kg/L, 1.33kg/L로 표준사 골재의 단위용적질량이 더 크다.
-
1. 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잔골재의 체가름 시험은 골재의 입도 분포를 확인하는 중요한 실험입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 다양한 특성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체가름 시험은 KS F 2502 기준에 따라 수행되며, 체 크기별 잔골재의 질량 백분율을 구하여 입도 곡선을 작성합니다. 이를 통해 잔골재의 최대 및 최소 입경, 조립률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가름 시험 결과는 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중요한 기준이 되므로, 정확한 시험 수행과 결과 분석이 필요합니다.
-
2. 잔골재의 단위용적중량 및 공극율 구하기잔골재의 단위용적중량과 공극율은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단위용적중량은 KS F 2504에 따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골재의 밀도와 공극률을 간접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공극율은 KS F 2505에 따라 측정하며, 골재의 입도 분포와 입자 형상에 따라 달라집니다. 단위용적중량과 공극율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측정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잔골재의 경우 입도 변화에 따른 공극율 변화가 크므로, 이를 고려한 배합 설계가 중요합니다.
-
3. 잔골재의 밀도 및 흡수율 구하기잔골재의 밀도와 흡수율은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밀도는 KS F 2503에 따라 측정하며, 이를 통해 골재의 비중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흡수율은 KS F 2503에 따라 측정하며, 골재의 공극 구조와 관련이 있습니다. 밀도와 흡수율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확한 측정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특히 잔골재의 경우 입도 변화에 따른 밀도와 흡수율 변화가 크므로, 이를 고려한 배합 설계가 중요합니다.
-
4. 잔골재의 함수율 관리잔골재의 함수율 관리는 콘크리트 배합 설계에 매우 중요합니다. 함수율은 KS F 2503에 따라 측정하며, 골재의 수분 함량을 나타냅니다. 함수율이 높은 경우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가 낮아져 강도가 증가할 수 있지만,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함수율이 낮은 경우 콘크리트의 물-시멘트비가 높아져 강도가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잔골재의 함수율을 정확히 측정하고, 이를 배합 설계에 반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현장에서 수시로 함수율을 측정하여 배합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
5. 잔골재의 조립율잔골재의 조립율은 콘크리트의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조립율은 KS F 2502에 따라 체가름 시험 결과를 이용하여 계산하며, 골재의 입도 분포를 나타냅니다. 조립율이 낮은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작업성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조립율이 높은 경우 콘크리트의 강도와 내구성은 증가할 수 있지만, 작업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조립율을 유지하기 위해 잔골재의 입도 관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6. 표준사와의 비교표준사와의 비교는 잔골재의 품질을 평가하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표준사는 KS L 5101에 따라 제조되며, 일정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잔골재의 물리적 특성을 표준사와 비교하면 잔골재의 품질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잔골재의 입도, 단위용적중량, 밀도, 흡수율 등을 표준사와 비교하여 잔골재의 적합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콘크리트 배합 설계 시 잔골재의 특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표준사와의 비교 분석은 잔골재 관리에 매우 중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