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 헤더 정리
본 내용은
"
컴퓨터네트워크_TCP헤더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1
문서 내 토픽
  • 1. 소스 포트
    소스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필드는 패킷이 어느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되었는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 2. 목적지 포트
    목적지 포트는 데이터를 받는 장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수신 측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받을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3. 순서 번호
    순서 번호는 TCP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있음을 보장하는 필드이다. TCP는 데이터를 작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전송하는데, 이때 각 세그먼트에는 순서 번호가 붙는다.
  • 4. 확인 응답 번호
    확인 응답 번호는 수신 측이 송신 측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착했음을 알리는 필드이다. 수신 측이 특정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받으면, 다음으로 기대하는 데이터의 순서 번호를 확인 응답 번호 필드에 기록하여 송신 측에 보내준다.
  • 5. 데이터 오프셋
    데이터 오프셋 필드는 TCP 헤더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TCP 헤더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필드의 길이에 따라 데이터가 어디에서 시작하는지를 알려준다.
  • 6. 제어 플래그
    제어 플래그는 TCP 연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이 필드에는 여러 가지 제어 비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비트는 TCP 연결의 상태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7. 윈도우 크기
    윈도우 크기 필드는 송신 측이 수신 측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TCP는 흐름 제어(flow control)를 통해 송신 속도를 조절하는데, 윈도우 크기는 송신 측이 수신 측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8. 체크섬
    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필드이다.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전송된 데이터와 헤더에 대한 오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 9. 긴급 포인터
    긴급 포인터는 긴급 데이터가 TCP 세그먼트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필드는 URG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만 유효하며, 긴급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데이터의 어느 부분부터 긴급한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10. 옵션과 패딩
    옵션 필드는 TCP 연결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필드이다. 이 필드는 고정된 길이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패딩은 TCP 헤더의 길이가 32비트 단위로 정렬되도록 맞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소스 포트
    소스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의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이 포트 번호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소스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포트 번호로 지정되며,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와 연결된 고유한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소스 포트 번호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목적지 포트
    목적지 포트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의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이 포트 번호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목적지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미리 정의된 포트 번호로 지정되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와 연결된 고유한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목적지 포트 번호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순서 번호
    순서 번호는 데이터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번호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순서를 나타내며, 수신 측에서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순서로 재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순서 번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패킷의 순서를 유지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확인 응답 번호
    확인 응답 번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수신 측이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식별자입니다. 이 번호는 송신 측에 전송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확인 응답 번호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데이터 오프셋
    데이터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 내에서 실제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 부분을 가리킵니다. 데이터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제어 플래그
    제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특정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제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7. 윈도우 크기
    윈도우 크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크기는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협상을 통해 결정되며,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윈도우 크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잡을 방지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8. 체크섬
    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식별자입니다. 이 체크섬은 데이터 패킷의 내용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수신 측에서 이 체크섬을 검증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탐지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긴급 포인터
    긴급 포인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긴급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포인터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순서를 벗어나 긴급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긴급 포인터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나 긴급 상황에서 데이터의 신속한 전달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0. 옵션과 패딩
    옵션과 패딩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거나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식별자입니다. 옵션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패딩은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맞추는 데 사용됩니다. 옵션과 패딩은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