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CP 헤더 정리
본 내용은
"
컴퓨터네트워크_TCP헤더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21
문서 내 토픽
-
1. 소스 포트소스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필드는 패킷이 어느 애플리케이션에서 전송되었는지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된다.
-
2. 목적지 포트목적지 포트는 데이터를 받는 장치의 포트 번호를 나타낸다. 수신 측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데이터를 받을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
3. 순서 번호순서 번호는 TCP의 중요한 기능 중 하나로,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전송되고 있음을 보장하는 필드이다. TCP는 데이터를 작은 세그먼트로 나누어 전송하는데, 이때 각 세그먼트에는 순서 번호가 붙는다.
-
4. 확인 응답 번호확인 응답 번호는 수신 측이 송신 측에 데이터가 정상적으로 도착했음을 알리는 필드이다. 수신 측이 특정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받으면, 다음으로 기대하는 데이터의 순서 번호를 확인 응답 번호 필드에 기록하여 송신 측에 보내준다.
-
5. 데이터 오프셋데이터 오프셋 필드는 TCP 헤더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TCP 헤더의 길이는 가변적일 수 있으며, 필드의 길이에 따라 데이터가 어디에서 시작하는지를 알려준다.
-
6. 제어 플래그제어 플래그는 TCP 연결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이 필드에는 여러 가지 제어 비트가 포함되어 있으며, 각 비트는 TCP 연결의 상태나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
7. 윈도우 크기윈도우 크기 필드는 송신 측이 수신 측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데이터의 양을 나타낸다. TCP는 흐름 제어(flow control)를 통해 송신 속도를 조절하는데, 윈도우 크기는 송신 측이 수신 측에 전송할 수 있는 데이터의 최대 양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
8. 체크섬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중 오류가 발생했는지를 확인하는 필드이다. TCP는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 전송된 데이터와 헤더에 대한 오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
9. 긴급 포인터긴급 포인터는 긴급 데이터가 TCP 세그먼트 내에서 어디에 위치하는지를 나타내는 필드이다. 이 필드는 URG 플래그가 설정된 경우에만 유효하며, 긴급 데이터를 처리해야 할 때 데이터의 어느 부분부터 긴급한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10. 옵션과 패딩옵션 필드는 TCP 연결에서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필드이다. 이 필드는 고정된 길이가 아니라, 필요에 따라 다양한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패딩은 TCP 헤더의 길이가 32비트 단위로 정렬되도록 맞추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
1. 소스 포트소스 포트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세스의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이 포트 번호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소스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임의의 포트 번호로 지정되며,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와 연결된 고유한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소스 포트 번호는 데이터 전송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목적지 포트목적지 포트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의 포트 번호를 나타냅니다. 이 포트 번호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를 식별하는 데 사용됩니다. 목적지 포트 번호는 일반적으로 미리 정의된 포트 번호로 지정되며, 데이터를 수신하는 프로세스와 연결된 고유한 식별자 역할을 합니다. 목적지 포트 번호는 데이터 수신 프로세스를 구분하고 데이터 전송 경로를 식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순서 번호순서 번호는 데이터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번호는 데이터 패킷이 전송되는 순서를 나타내며, 수신 측에서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순서로 재구성하는 데 사용됩니다. 순서 번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패킷의 순서를 유지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확인 응답 번호확인 응답 번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수신 측이 데이터를 성공적으로 수신했음을 알리는 식별자입니다. 이 번호는 송신 측에 전송된 데이터가 성공적으로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데 사용됩니다. 확인 응답 번호는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5. 데이터 오프셋데이터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 내에서 실제 데이터가 시작되는 위치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의 헤더 정보를 제외한 실제 데이터 부분을 가리킵니다. 데이터 오프셋은 데이터 패킷의 구조를 파악하고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6. 제어 플래그제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특정 제어 정보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필요한 제어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제어 플래그는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7. 윈도우 크기윈도우 크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한 번에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크기는 송신 측과 수신 측 간의 협상을 통해 결정되며,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윈도우 크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혼잡을 방지하고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8. 체크섬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데이터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한 식별자입니다. 이 체크섬은 데이터 패킷의 내용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수신 측에서 이 체크섬을 검증하여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크섬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탐지하고 데이터의 신뢰성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9. 긴급 포인터긴급 포인터는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긴급한 데이터를 나타내는 식별자입니다. 이 포인터는 일반적인 데이터 전송 순서를 벗어나 긴급한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사용됩니다. 긴급 포인터는 실시간 데이터 전송이나 긴급 상황에서 데이터의 신속한 전달을 보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10. 옵션과 패딩옵션과 패딩은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거나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식별자입니다. 옵션은 데이터 전송과 관련된 추가적인 정보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며, 패딩은 데이터 패킷의 크기를 일정한 크기로 맞추는 데 사용됩니다. 옵션과 패딩은 데이터 전송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리눅스] C언어 UDP, TCP 통신 프로그램 예제 11페이지
[리눅스 환경 C언어]UDP, TCP 통신 프로그램(클라이언트, 서버 총 4개)1. 프로그램 목록1) UDP 서버 1개2) UDP 클라이언트 1개3) TCP 서버 1개4) TCP 클라이언트 1개총 4개 프로그램(C언어 ? 리눅스 환경)2. 개념 정리UDP(User Datagram Protocol)란?: 인터넷에서 정보를 주고받을 때, 서로 주고받는 형식이 아닌 한쪽에서 일방적으로 보내는 방식의 통신 프로토콜. 비 연결지향 방식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란?: 서로 다른 운영체제를 쓰는 컴퓨터 간에도...2020.12.06· 11페이지 -
명지대_마케팅과ICT융합기술 과목_평점A_수업내용정리과제 16페이지
1. 인류사회의 변천과정인류사회는 농업혁명 - 산업혁명 - 정보혁명 - 유비쿼터스 혁명을 거쳐 발전해왔다. 사회의 구분으로는 수렵사회 - 농업사회 - 산업사회 - 정보화 사회 - 지능 기반 사회가 제시된다. 이 과정들을 차례로 설명하도록 하겠다.먼저 수렵사회에 머무르던 인류가 농업사회로 나아가는 과정에는 토지를 매개로 한 농업혁명이 있었다. 이를 제 1의 물결이라고도 칭한다. 그 이후 산업사회로 나아가면서는 산업혁명이 있었는데, 이는 기술과 자본을 매개로 한다. 제 2의 물결이라고 하며 18세기 말에서 19세기 초에 걸쳐 일어난다....2023.01.25· 16페이지 -
컴퓨터네트워크_OSI 모델과 TCP IP 모델의 각 계층의 기능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설명하라 6페이지
REPORT컴퓨터네트워크OSI 모델과, TCP/IP 모델의 각 계층의 기능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설명하라.제 출 일담당 교수아 이 디학 번이 름- 목 차 -1. OSI 모델2. TCP/IP 모델3. OSI 모델과 TCP/IP의 계층별 비교4. 정리 및 소감5. 참고문헌1. OSI 모델OSI 모델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모델이다. 즉, 상이한 컴퓨터 네트워크 시스템을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변경 없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만...2024.07.01· 6페이지 -
네트워크관리사 자격증 정리 7페이지
네트워크관리사자격증 정리# 프로토콜- 일반적인 기능: 캡슐화, 분할과 재조립, 멀티플렉싱(다중화), 흐름제어- 캡슐화 시 제어정보에 포함되는 것: 프로토콜 제어, 에러 검출 코드, 주소- 기본 요소 : 구문, 의미, 타이밍#IP는 비신뢰성 서비스, 비연결형 서비스, 데이터그램형태로 전송# IPv4(32비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IPv6(128비트)-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애니캐스트: 유니캐스트 1:1로 연결: 멀티캐스트 유니와 브로드의 장점(D클): 브로드캐스트 불특정 다수에게 전송# IPv6의 특징- IP...2024.07.01· 7페이지 -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는 osi 7계층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osi 7계층에서 각 계층에 대해 단계별로 정리하자. 3페이지
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이 단계별로 파악할 수 있는 osi 7계층에 대해서 정리해 보자.osi 7계층에서 각 계층에 대해 단계별로 정리하자.1. 물리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2. 데이터링크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3. 네트워크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4. 전송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5. 세션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6. 표현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7. 응용계층에 대해서 정리하자osi 7계층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장점을 생각해 보자audgus0310_조명현Ⅰ. 서론정보통신 사회는 빠르게 발전되어가며 수많은 기술과 표준 모델이 생겨나며 발...2022.08.13· 3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