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대학교 영문학개론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 정리
본 내용은
"
조선대학교 영문학개론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8
문서 내 토픽
  • 1.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
    1649년 찰스 1세의 처형과 1660년 찰스 2세의 왕정복고 기간을 Commonwealth(공화정)이라고 한다. 이 시기에는 강력한 정부와 개인의 사리사욕이 중요한 주제였다. 대표적인 시인으로는 Andrew Marvell과 John Milton이 있다. Milton은 고전적이고 기독교적인 성향의 시를 썼으며, 대표작으로 Paradise Lost가 있다. 왕정복고 이후에는 satire(풍자)가 중요한 시의 장르였으며, John Dryden이 대표적인 작가였다. 희극 분야에서는 Dryden, Etherege, Wycherley, Congreve 등이 활약했으며, 비극 분야에서는 Thomas Otway의 Venice Preserv'd가 대표작이다.
  • 2. John Milton
    John Milton(1608-1674)은 17세기의 모든 위대한 투쟁을 보았다. 그는 초기에 라틴 작가와 전통에 영향을 받은 classical sense(고전적인 감각)를 보여주었으나, 이후 Chauser를 잇는 가장 위대한 시인이 되고 싶은 야망이 있었다. 그의 글은 또한 매우 기독교적이다. 밀턴은 시보다는 당시 논란이 되는 주제(이혼, 정치, 교육, 언론의 자유, 종교의 자유)로 산문책(prose pamphlet)을 많이 썼다. 그의 대표작으로는 Paradise Lost, Paradise Regained, Samson Agonistes 등이 있다.
  • 3. 왕정복고 희극
    왕정복고 이후, 희극과 극장은 르네상스 때와는 약간 달라진 양상을 보였다. 허가를 받은 극장은 Theatre Royal, Drury Land and the Lincoln's Inn Fields Theatre 단 두 개뿐이었고, 청중은 상류층 또는 중산층이었다. 당시의 연극은 프랑스에서 왕과 함께 돌아온 남녀의 풍속과 예의(manner)를 반영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Dryden, Etherege, Wycherley, Congreve 등이 있으며, 그들의 작품은 섹스와 상류층 매너를 주된 주제로 다루었다. 하지만 점차 도덕적인 반대가 커지면서 1698년 Jeremy Collier가 A Short View of the Profaneness and Immorality of the English Stage라는 책을 출간하기도 했다.
  • 4. 왕정복고 비극
    왕정복고 시대의 주요한 비극 형태는 영웅적 비극이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Thomas Otway의 Venive Preserv'd(1682)가 있다. 이 작품은 죽음과 재난이 사회 전체를 파괴할 수 있는 Jacobean 비극과는 달리, 사회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만드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시기에는 극장이 말할 수 있는 것을 제한해야 한다는 압력이 커지고 있었으며, 1737년에는 스테이지 라이센스 법이 출현하여 극작가들의 정치적 풍자를 예방했다.
  • 5. 소설의 부상
    왕정복고 시대 이후 극장과 드라마는 더 이상 문학의 중심이 되지 못했고, 소설이 가장 중요한 장르가 되었다. 1770년대에 Richard Brinsley Sheridan의 연극만이 왕정복고의 수준의 희극에 다시 도달했다. 그의 작품에서는 malapropism이라는 익살스러운 단어 사용이 등장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는 영국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시기였습니다. 1649년 찰스 1세의 처형 이후 수립된 공화정 체제는 올리버 크롬웰의 강력한 통치 아래 있었지만, 그의 사망 후 혼란에 빠졌습니다. 이후 찰스 2세의 왕정 복고로 이어지면서 영국은 다시 안정을 되찾았습니다. 이 시기는 정치적 격변과 함께 문화적 부흥도 있었는데, 특히 존 밀턴의 작품들이 대표적입니다. 공화정과 왕정복고 시대는 영국 역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이었으며, 정치, 문화,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2. John Milton
    존 밀턴은 영국 문학사에서 가장 위대한 시인 중 한 명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그의 대표작 '실낙원'은 인간의 타락과 구원에 관한 서사시로, 당대의 정치적 격변과 종교적 갈등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밀턴은 공화정 시대에 활동하며 정치적으로 크롬웰을 지지했지만, 왕정복고 이후에도 자신의 신념을 지켜나갔습니다. 그의 작품들은 인간의 자유와 신의 섭리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을 담고 있으며, 영국 문학사에 큰 족적을 남겼습니다.
  • 3. 왕정복고 희극
    왕정복고 시대의 희극은 공화정 시대의 엄숙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보다 경쾌하고 유희적인 성격을 띠었습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윌리엄 콘그리브, 조지 에서레이, 윌리엄 와이처리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귀족 사회의 사치와 향락, 정치적 부패 등을 풍자하며 당대 사회의 모순을 비판적으로 바라보았습니다. 동시에 복잡한 플롯과 재치 있는 대사로 관객들의 흥미를 끌어냈습니다. 왕정복고 희극은 영국 연극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왕정복고 비극
    왕정복고 시대의 비극은 공화정 시대의 엄숙한 분위기에서 벗어나 보다 감정적이고 극적인 성격을 띠었습니다. 대표적인 작가로는 존 드라이든, 토마스 오트웨이, 윌리엄 콘그리브 등이 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정치적 음모, 가족 갈등, 비극적 운명 등을 다루며 당대 사회의 불안과 혼란을 반영했습니다. 동시에 극적 긴장감과 감정의 고조를 통해 관객들의 흥미를 끌어냈습니다. 왕정복고 비극은 영국 연극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5. 소설의 부상
    왕정복고 시대는 영국 소설의 부상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시기에 다니엘 디포, 존 번연, 조나단 스위프트 등의 작가들이 등장하면서 소설 장르가 크게 발전했습니다. 이들의 작품은 사회적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개인의 내면 세계를 심도 있게 탐구했습니다. 특히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와 스위프트의 '걸리버 여행기'는 당대 독자들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왕정복고 시대의 소설은 영국 문학사에 있어 중요한 전환점을 마련했으며, 이후 근대 소설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