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맥과 빈맥의 Rhythm control (약물을 중심으로)
본 내용은
"
서맥과 빈맥의 Rhythm control (약물을 중심으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8
문서 내 토픽
-
1. 동방결절 (SA node)우심방과 상대정맥이 만나는 지점 근처에 위치하며, 심장의 전기적 리듬이 처음 시작되는 곳이다.
-
2. 방실결절 (AV node)심방과 심실이 만나는 부위에 위치한다.
-
3. 속가지 (bundle branch)심근의 좌측과 우측에 두 개의 가지가 있으며, 전기신호를 심근으로 전달한다.
-
4. 심실성 빈맥심실성 빈맥이 유발되는 경우 조동 또는 세동으로 진행될 수 있으며, 심실세동은 심정지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한 상태이다.
-
5. 부정맥 치료제심방세동을 관리할 때 클래스 I과 III의 약제는 심장 리듬의 조절에 사용되며, 클래스 II와 IV의 약제는 속도를 조절하는 약제로 사용된다. 클래스 I 약제는 나트륨(Na+) 유입 차단제로 작용하여 심장에서 세포 내로 나트륨의 유입을 억제함으로써 세포막을 안정시키고 심전도를 느리게 한다.
-
1. 동방결절 (SA node)동방결절(SA node)은 심장의 자율신경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결절은 심장의 자발적인 박동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심장의 리듬을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동방결절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중요합니다. 동방결절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상 시 나타나는 증상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2. 방실결절 (AV node)방실결절(AV node)은 심장의 전도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결절은 심방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심실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심장의 박동 리듬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방실결절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방실결절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상 시 나타나는 증상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3. 속가지 (bundle branch)속가지(bundle branch)는 심장의 전도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가지들은 방실결절에서 발생한 전기 신호를 심실로 전달하는 통로 역할을 하며, 심장의 박동 리듬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합니다. 속가지의 기능 이상은 다양한 부정맥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이해와 관리가 필요합니다. 속가지의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상 시 나타나는 증상과 치료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
4. 심실성 빈맥심실성 빈맥은 심실에서 발생하는 빠른 심장 박동으로, 심장 기능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위험한 부정맥입니다. 이는 심장 근육의 전기적 활성화 이상으로 인해 발생하며, 심각한 경우 심정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심실성 빈맥의 원인 규명과 예방, 치료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합니다. 또한 심실성 빈맥에 대한 의료진의 이해와 대응 능력 향상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부정맥 치료제부정맥 치료제는 다양한 종류의 부정맥을 관리하고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입니다. 이들 약물은 심장의 전기적 활성을 조절하여 정상적인 심장 리듬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그러나 부정맥 치료제 사용 시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부정맥 치료제의 효과와 안전성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며, 환자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법 개발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부정맥의 이해 37페이지
제세동기 사용법 ( 부정맥 환자 처치 및 약물 치료 )부정맥의 이해 및 치료동기능 부전 (sinus node dysfunction, sick sinus syndrome) Sinus bradycardia , SA block, sinus arrest Tachycardia- bradycardia syndrome 방실차단 ( AV Block) -1 st degree AV block -2 nd degree AV block( Mobitz type 1 2) -3 rd degree AV block 2 섬유속 및 3 섬유속 차단 ( Bifascic...2015.08.28· 37페이지 -
심폐소생술 7페이지
CPR(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개념 ◈심정지로 인한 주요장기의 비가역적 손상을 막기 위하여 인공순환과 인공호흡을 시행하여 조직으로 산소를 공급하고 심박동을 회복시켜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치료기술이다. 전문적 치료요원이 치료를 할 때 까지 뇌와 심장에 산소를 공급할 목적으로 시행되는 기본 인명 구조술(BLS;basic life support)이다.◈ 적응증 ◈1. Cardiac arrest?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 PVC가 3회 이상 연속적으로 나타날 ...2010.05.26·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