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의 변화와 소득 및 물가와의 관계(케이지안 소득접근, 통화론적 접근방법)
문서 내 토픽
  • 1. 케인지안 소득접근: 환율의 변동과 소득
    케인지안 소득접근은 환율의 변화와 소득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으로 변동환율제도하에서 해외로부터의 충격은 국내에 전파되지 않지만, 국내에서 발생하는 충격은 해외로 전파되기 때문에 국내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커지게 된다. 변동환율제도하에서는 고정환율제도와는 달리 수입과 수출이 항상 사후적으로 일치하여야 한다. 자본이동을 고려하지 않을 경우 국제수지 균형은 경상수지균형을 의미하며, 이와 같은 균형은 무엇보다도 환율의 신축적인 조정에 의해 달성된다. 즉, 변동환율제도하에서는 해외요인의 변화는 국내소득의 결정과정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 2. 통화론적 접근방법: 환율의 변동과 물가
    통화론자들은 가격은 완전히 자유롭고, 국민소득은 완전고용상태에서 생산량과 일치하며 통화에 대한 수요는 소득만의 함수라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통화의 공급이 증가하여 통화에 대한 수요를 초과하는 경우 사람들은 초과 현금잔고를 처분하려고 할 것이며, 교역재와 비교역재에 대한 수요가 모두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수요의 증대는 교역재나 비교역재의 가격을 상승시키고, 해외에서 생산된 교역패화의 수요를 증대시키게 된다. 그러나 변동환율제하에서는 외환에 대한 초과수요는 국제수지적자가 발생하기 전에 환율의 조정에 의해서 해소된다. 따라서 외국에서 생산된 교역재의 수요증대는 결과적으로 환율상승을 가져오고 국제수지는 균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통화론적 접근방법: 환율의 변동과 물가
    통화론적 접근방법에 따르면, 환율의 변동은 국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환율이 상승하면 수입품 가격이 상승하여 국내 물가가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환율이 하락하면 수입품 가격이 하락하여 국내 물가가 하락하게 됩니다. 이러한 환율 변동에 따른 물가 변동은 화폐시장의 균형을 통해 설명됩니다. 즉, 환율 상승으로 인한 물가 상승은 화폐수요 증가로 이어지고, 이에 따라 이자율이 상승하게 됩니다. 이자율 상승은 다시 환율 하락으로 이어져 물가 상승을 억제하게 됩니다. 따라서 통화론적 접근방법에서는 환율 변동이 국내 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명합니다.
환율의 변화와 소득 및 물가와의 관계(케이지안 소득접근, 통화론적 접근방법)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