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성 100도씨에서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실험
본 내용은
"
산성 100도씨에서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 측정 실험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12
문서 내 토픽
  •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수중의 유기물을 화학적으로 산화할 때 소비하는 산소량으로, 지하수, 지표수, 폐수의 COD를 파악하고자 한다. COD 값은 시험에 사용하는 산화제의 종류, 농도, 온도, 시간 등의 반응조건에 강한 영향을 받는다. 수중유기물의 절대량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며 주로 총 탄소의 농도에 관한 척도이다. COD 시험에 사용되는 산화제로는 KMnO4가 가장 알려져 있으나, 산화가 불완전하며 반응조건에 의한 영향이 큰 것 등이 결점이다. 비교적 산화율이 높고 수중 유기물의 총량에 가까운 값을 얻는 방법으로 K2Cr2O7을 이용한다.
  • 2. 실험 방법
    1) 공실험을 위해 둥근바닥 플라스크 두 개 중 하나는 증류수 100mL를 취하고 다른 하나는 시료 2mL에 증류수를 넣어 전량을 100mL로 하여 희석 배수를 50배로 한다. 2) 황산(1+2) 10mL를 정확히 취한 후 질산은 분말 1g을 넣고 녹을 때까지 15분 정도 전자교반을 한다. 3) 0.025N-과망간산칼륨액 10mL를 정확히 넣고 둥근바닥 플라스크에 냉각관을 붙인다. 4) 수욕조의 수면이 시료의 수면보다 높게 하여 끓는 수용 중에서 30분간 가열한다. (100℃) 5) 냉각관을 떼어낸 후 0.025N 옥살산나트륨 10mL를 정확하게 넣는다. 6) 60~80℃를 유지하면서 뷰렛에 0.025N-과망간산칼륨 용액을 채운다. 7) 한 방울씩 떨어뜨려 액의 색이 엾은 홍색을 나타낼 때까지 적정한다. 8) 아래의 식을 이용해서 COD를 계산한다.
  • 3. 실험 결과 및 고찰
    실험 과정에서 여러 가지 실수와 어려움이 있었지만, 최종적으로 COD 값을 측정할 수 있었다. 실제값과 오차가 크게 나온 이유로는 뭉쳐있던 질산은 분말의 오염, 마그네틱 바의 오염, 탁한 용액으로 인한 적정값 오차 등이 고려되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 실험기구의 정확성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고, 앞으로 더 조심하며 실험을 수행해야 한다는 것을 배웠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화학적 산소요구량(COD)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은 수질 오염 지표로 널리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OD는 수중의 유기물질이 산화되는 데 필요한 산소량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를 통해 수질 오염 정도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COD 측정은 간단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어 실용적이며, 수질 관리 및 처리 공정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됩니다. 다만 COD 측정 시 일부 무기물질도 산화되어 측정값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COD 외에도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 총유기탄소(TOC)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고려하여 수질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실험 방법
    실험 방법은 COD 측정을 위한 표준 분석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시료를 강산성 조건에서 강력한 산화제와 반응시켜 유기물질을 산화시키고, 소모된 산소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이때 시료 전처리, 산화제 종류, 반응 시간 및 온도 등 다양한 실험 조건을 엄격하게 통제해야 합니다. 또한 실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차 요인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품질 관리 절차를 수립하고 준수해야 합니다. 실험 방법의 정확성과 재현성을 확보하는 것이 COD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 3. 실험 결과 및 고찰
    COD 실험 결과는 수질 오염 정도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므로, 이를 통해 수질 관리 및 개선 방안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를 분석하여 오염 물질의 농도, 시간에 따른 변화 추이, 허용 기준 초과 여부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오염 원인을 규명하고, 적절한 수처리 기술 적용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 결과를 다른 수질 지표와 비교 분석하면 수질 상태를 보다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수질 관리 정책 수립 및 의사결정에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