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탈장
본 내용은
"
탈장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9
문서 내 토픽
-
1. 탈장의 정의탈장이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신체 어느곳에나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의 탈장은 복벽에 발생하게 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과 근막 사이에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되어 비정상적인 형태를 이루는 상태다.
-
2. 탈장의 원인가장 흔한 형태가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80%)이고, 그 외에 대퇴와 아랫배가 만나는 부위에 생기는 대퇴 탈장, 수술 상처 부위에 생기는 반흔 탈장, 배꼽 부위의 약해진 부분을 통해 발생하는 제대 탈장 등이 있다. 이 중 가장 흔하게 발생하는 서혜부 탈장의 경우 소아의 경우는 선천적으로 복벽의 틈새를 가지고 태어난 경우에 발생하며 성인에서는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복벽이 약해지고, 과도한 복압 상승이 동반될 경우 발생한다.
-
3. 탈장의 증상증상으로는 초기에는 작고 거의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작게 돌출된다. 피부 밑으로 덩어리가 만져지며, 대게 통증은 없다. 점차적을 진행하면 약해진 복벽 내부 내용물의 압력이 높아지고, 덩어리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초기에는 탈장 내용물이 쉽게 환원(튀어나온 부분을 누르면 다시 복강 내 정상 위치로 돌아감)된다. 이렇게 환원되지 않으면 감돈(탈장내공에 장이 끼어 복강 내로 다시 들어가지 못하는 상태)이 발생하는데, 이런 경우 혈액 순환에 지장이 생겨 포획된( 돌출된 복막 주머니에 들어가 있는) 장이나 장기가 괴사되며, 돌출 부위에 압통이 생기고, 장폐색 증상(복통,오심,구토,발열)이 발생하게 된다.
-
4. 탈장의 치료증상이 없거나 경미한 증상을 가진 고령의 환자들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환자들은 수술적인 교정을 받아야 한다. 응급수술이 아니라면 가능한 복압을 높이는 상태(만성 기침, 변비, 요 출구 폐색 등)을 교정한 뒤 수술하는 것이 좋다. 수술 방법으로 TAPP(Transabdominal preperitoneal) 수술이 있는데, 이는 복강 내에서 진입하여 탈장을 교정하는 방법이다.
-
5. TAPP 수술 절차TAPP 수술 절차는 다음과 같다. 환자를 앙와위 자세로 눕히고 피부 소독 및 드레이핑을 한다. 배꼽에 10mm 트로카, 우측 McBurney점에서 5cm 위에 10mm 트로카, 반대편에 5mm 트로카를 삽입한다. 복막 박리를 하고 Cooper 인대, 정관, 하복벽 동맥과 정맥을 확인한다. 탈장낭을 확인하고 전복막 공간에서 분리한다. 하복벽 동맥과 정맥을 노출시키고 보존한다. 직접 및 간접 탈장 부위를 연결한다. Marlex 메쉬를 Cooper 인대에서 횡복근막 반사부까지 맞춰 놓고 복막 봉합을 한다.
-
1. 탈장의 정의탈장은 신체 내부의 장기나 조직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몸 밖으로 나오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복강 내 압력 증가나 근육 약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탈장은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증상을 보이며,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탈장이 발견되면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2. 탈장의 원인탈장의 주요 원인으로는 복강 내 압력 증가, 근육 약화, 선천적 결함 등이 있습니다. 복강 내 압력 증가는 임신, 비만, 만성 기침, 변비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 약화는 노화, 외상, 수술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선천적 결함은 탈장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의 근육 결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원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탈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3. 탈장의 증상탈장의 주요 증상으로는 복부나 서혜부의 종괴, 통증, 팽만감 등이 있습니다. 종괴는 탈장된 장기나 조직이 몸 밖으로 나와 만져지는 것이며, 통증은 장기나 조직이 눌리거나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팽만감은 복강 내 압력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구토, 변비, 발열 등의 증상이 동반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는 탈장의 크기와 위치, 동반 질환 등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
4. 탈장의 치료탈장의 치료는 크게 수술적 치료와 비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수술적 치료는 탈장된 장기나 조직을 정상 위치로 되돌리고 탈장 부위를 봉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는 탈장된 장기나 조직을 수동적으로 밀어 넣고 탈장 부위를 압박하는 것입니다. 이는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지만 재발 위험이 높습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권장됩니다. 수술 방법에는 개복 수술, 복강경 수술 등이 있으며, 환자의 상태와 탈장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방법이 선택됩니다.
-
5. TAPP 수술 절차TAPP(Transabdominal Preperitoneal) 수술은 복강경을 이용한 탈장 수술 방법 중 하나입니다. 이 수술은 복강 내로 접근하여 탈장 부위를 보수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복강경을 이용해 복강 내로 진입한 후, 탈장 부위를 확인하고 탈장된 장기나 조직을 정상 위치로 밀어 넣습니다. 그 다음 탈장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인공 메쉬를 삽입합니다. 마지막으로 절개 부위를 봉합하여 수술을 마무리합니다. TAPP 수술은 개복 수술에 비해 상처가 작고 회복 기간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복강 내 접근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환자의 상태와 의사의 판단에 따라 적절한 수술 방법이 선택됩니다.
-
hernia 탈장의 진단과 응급치료1. hernia 탈장의 진단과 응급치료 hernia 탈장의 진단과 응급치료에 대한 내용입니다. 탈장은 인구의 10%가 평생 동안 겪는 흔한 질환이며, 탈장이 고정되어 있고 통증이 있으며 수동적으로 밀어 넣을 수 없는 경우 'incarcerated'라고 합니다. 이는 혈류 장애를 동반하는 'strangulation'으로 이어질 수 있는 외과적 응급 상황입니...2025.01.12 · 의학/약학
-
탈장봉합술 (Herniorrhaphy) 사례연구1. 탈장의 정의와 유형 복벽을 통해 장의 일부가 돌출된 것을 복부탈장이라고 한다. 탈장의 형태는 다양하여 위치나 정도에 따라 간접 및 직접 서혜부(살굴)탈장, 대퇴(닙다리)탈장, 제대탈장(배꼽탈장), 절개탈장으로 구분한다. 2. 탈장의 원인 및 위험요인 탈장은 복벽의 약화와 복압의 증가로 발생한다. 복벽은 질병이나 노화로 약화되고, 복압은 임신, 비만, ...2025.05.14 · 의학/약학
-
제대탈장 사례 보고1. 제대탈장 제대탈장은 주로 신생아에게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이 사례에서는 75세 여성 환자에게서 나타났다. 제대탈장은 복벽의 약화로 인해 장이나 지방조직이 제대를 통해 빠져나오는 질환이다. 이 환자는 배꼽 주위 통증을 주호소로 내원하였고, 상세불명의 제대탈장 진단을 받고 수술을 받았다. 수술 후 통증 관리와 감염 예방을 위한 간호중재가 이루어졌다. 1....2025.01.04 · 의학/약학
-
우측 서혜부 탈장 수술 사례1. 서혜부 탈장 서혜부 탈장은 복강 내 장기가 복벽의 약한 부분을 통해 복강 밖으로 빠져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주로 남성에게 발생하며, 직접 탈장과 간접 탈장으로 구분됩니다. 증상으로는 서혜부나 음낭의 돌출, 통증 없는 덩어리 등이 있으며, 진단을 위해 신체 검진과 초음파, CT 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치료는 수술적 교정이 필요하며, 도수 정복이나 수술...2025.01.04 · 의학/약학
-
탈장(hernia)설명과 환자 case study1. 탈장 탈장은 내부 장기나 신체 부위가 정상적으로 있어야 할 곳 이외의 다른 부위로 돌출되는 현상입니다. 탈장의 증상으로는 상복부 통증, 속쓰림, 소화불량, 구역, 구토, 압통 등이 있습니다. 탈장은 대부분 환자 스스로 발견할 수 있으며, 의사는 환자에게 힘주기나 기침하기를 요청하여 돌출된 부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있거나 크기가 커지는 탈장은...2025.05.07 · 의학/약학
-
Inguinal hernia 수술 간호(탈장수술)1. 탈장이란? 탈장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 나오는 증상으로, 신체 어느 곳에나 생길 수 있다. 대부분의 탈장은 복벽에 발생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과 근막 사이에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되어 비정상적인 형태를 이루는 상태로 주머니 속에 복강 내 장기가 포함되기도 한다. 탈장은 생긴 부위에 따...2025.05.03 · 의학/약학
-
탈장 10페이지
탈장탈장 소아의 경우는 고환이 복강에서 고환으로 내려오는 길 ( 초상 돌기 ) 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 이 부위로 소장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성인의 경우에도 소아와 같은 이유가 많고 또한 나이가 들면서 서혜부 주위의 조직들이 약해지며 탈장이 생긴다 . * 대개 통증은 없으며 , 초기에는 크기가 작고 , 거의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작게 돌출되는데 , 임신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 , 전립선 비대 , 비만 , 무거운 물체를 드는 행위 , 장기간 서서 일하는 직업 , 만성변비 , 기침 등이 탈장의 위험인자가 된다 . * 복강 내...2022.06.16· 10페이지 -
탈장 8페이지
Conference주제 : Hernia (탈장)- 목차 -1. hernia의 정의2. 탈장의 원인3. 빈도4. 분류5. 증상 및 증후6. 진단7. 치료8. 간호9. 합병증10. 탈장수술방법1. hernia의 정의- 복막과 복강내 장기가 복벽의 층- 복강의 근육층의 약해진 구멍이나 틈새를 통해서 빠져 나오는 현상이다. 탈장은 40세 이후의 남성에게서 호발 되지만 그렇다고 남성에게서만 생기는 질환이 아니라 모든 연령층의 남여에게 생길 수 있는 질환이다.2. 탈장의 원인㉠ 원인ⓐ 소아 탈장- 소아의 서혜부 탈장은 태생기 8개월에 생기는 ...2021.05.01· 8페이지 -
탈장이란 3페이지
11. 정의탈장이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서 벗어나 결손 부위를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 나오는 것을 말한다. 대부분의 탈장은 복벽의 약한 부분에 생기는 경우가 많다.①서혜부 탈장 (사타구니 부위의 탈장으로 전체 탈장의 90%이상 차지)④대퇴탈장(배와 허벅지 경계 부위에 발생하는 탈장)③반흔탈장 (복강경 수술이나 개복 수술한 상처로 인한 탈장)②배꼽탈장 등1) 서혜부 탈장소아의 경우 선천적으로 복벽의 틈새를 가지고 태어난 경우에 발생하며, 성인에서는 나이 들어감에 따라 복벽이 약해지고, 과도한 복압 상승이 동반될 경우 발생한다.①간접 ...2021.07.07· 3페이지 -
탈장 TAPP 5페이지
TAPP(Trans abdominal pre peritoneal)TAPP는 약해진 복벽으로 인해 탈장주머니가 만들어진 환자의 탈장 교정술로써 특이점은 복강 내에서 진입하여 탈장을 교정하게 된다.탈장이란 신체의 장기가 제자리에 있지 않고 다른 조직을 통해 돌출되거나 빠져 나오는 증상을 말한다. 신체 어느곳에나 생길 수 있지만 대부분의 탈장은 복벽에 발생하게 되는데 복벽 탈장은 복강을 둘러싼 근육과 근막 사이에 복막이 주머니 모양으로 돌출되어 비정상적인 형태를 이루는 상태다. 주머니 속에 복강 내 장기가 포함되기도 하며 탈장은 생긴 부...2022.11.24· 5페이지 -
제대탈장 case 7페이지
반: 학번: 이름:presentation paper○ 대상자 정보: 손**, 여성, 75세, 150cm, 68kg, BP:139/94mmHg, P:65회/분, T:36.7℃, R:20회/분, SpO₂:97%○ 환자선택동기: 신생아에게 주로 발생한다는 제대탈장이 성인 여성에게 나타난 점이 흥미롭기도 하고, 환자분이 현재 입원 중인 환자들 중 지남력이 있으면서 가장 협조적인 분이어서 사례연구과 관련하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어 선택하였다.○ 보조자료● 주호소: 배꼽 주위 통증● 의학적진단명: 상세불명의 제대탈...2024.02.12·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