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운영체제 A+ 레포트(프로세스의 개념, 상태, 상태전이)
본 내용은
"
운영체제 A+ 레포트(1. 프로세스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 프로세스의 상태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3. 프로세스의 상태전이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06
문서 내 토픽
-
1. 프로세스의 개념프로세스란 실행이 되고 있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연속적으로 컴퓨터가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과정을 말한다. 메모리에 프로그램이 적재되면 프로세스가 된다. 멀티프로세싱은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실행되는 것을, 멀티태스킹은 시분할을 통해 다양한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
2. 프로세스의 상태프로세스는 실행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상태 변화를 겪는다. 일괄 작업 시스템에서는 Create, Run, Terminate 상태가 있고,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New, Ready, Running, Waiting, Terminated, Pause, Suspend 상태가 있다. Ready 상태는 CPU 실행을 기다리는 상태이고, Running 상태는 CPU에서 실행되는 상태이다.
-
3. 프로세스의 상태전이프로세스의 상태전이 과정은 다음과 같다. Dispatch는 Ready 상태의 프로세스 중 하나를 선정하여 Running 상태로 전이시키는 것이다. Interrupt는 Timeout 등의 이유로 Running 상태의 프로세스를 Ready 상태로 전이시키는 것이다. Block은 자원 요청 후 자원 할당이 지연되어 Running 상태에서 Waiting 상태로 전이되는 것이다. Wakeup은 Waiting 상태에서 자원 할당이 이루어져 Ready 상태로 전이되는 것이다.
-
1. 프로세스의 개념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인스턴스를 의미합니다. 프로세스는 메모리에 로드되어 실행되며, 자신만의 주소 공간, 레지스터, 스택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프로세스는 사용자 프로세스와 시스템 프로세스로 구분되며, 사용자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직접 실행하는 프로그램이고 시스템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에 의해 자동으로 실행되는 프로세스입니다. 프로세스는 CPU 시간, 메모리, I/O 장치 등의 시스템 자원을 필요로 하며, 운영 체제는 이러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프로세스 간 공평성을 보장하는 역할을 합니다. 프로세스는 운영 체제의 핵심 개념이며, 프로세스 관리는 운영 체제의 가장 중요한 기능 중 하나입니다.
-
2. 프로세스의 상태프로세스는 실행 중에 다양한 상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스의 상태는 새로 생성된 상태(new), 준비 상태(ready), 실행 상태(running), 대기 상태(waiting), 종료 상태(terminated)로 구분됩니다. 새로 생성된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가 되며,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는 CPU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가 됩니다. 실행 중인 프로세스는 I/O 작업이나 자원 요청으로 인해 대기 상태가 될 수 있으며,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로 전환됩니다. 프로세스는 실행이 완료되면 종료 상태가 됩니다. 프로세스의 상태 전이는 운영 체제의 프로세스 스케줄링 알고리즘에 의해 결정되며, 이를 통해 시스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3. 프로세스의 상태전이프로세스의 상태 전이는 프로세스가 실행 중에 겪는 다양한 상태 변화를 의미합니다. 프로세스는 새로 생성되면 준비 상태(ready)가 되며, 준비 상태의 프로세스는 CPU를 할당받아 실행 상태(running)가 됩니다. 실행 중인 프로세스는 I/O 작업이나 자원 요청으로 인해 대기 상태(waiting)가 될 수 있으며, 대기 상태의 프로세스는 준비 상태로 전환됩니다. 프로세스는 실행이 완료되면 종료 상태(terminated)가 됩니다. 이러한 프로세스의 상태 전이는 운영 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