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뇨기계 의학용어 및 약어(Full term, 한국말, 설명)
본 내용은
"
비뇨기계 의학용어 및 약어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6
문서 내 토픽
-
1. 비뇨기계 구조 및 기능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되며, 소변을 생성하고 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신장은 혈액을 걸러 노폐물을 제거하고 소변을 생성하며, 요관은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방광으로 운반합니다. 방광은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기관입니다.
-
2. 비뇨기계 병태생리 관련 용어비뇨기계 질환과 관련된 용어에는 배뇨곤란, 무뇨증, 혈뇨, 당뇨, 다뇨증, 핍뇨, 단백뇨, 농뇨, 야뇨증, 케톤뇨증, 요실금, 신장염, 방광염, 신증후군, 신부전, 방광류, 요관협착증, 수신증, 신석증, 산통 등이 있습니다.
-
3. 비뇨기계 치료 관련 용어비뇨기계 질환의 치료와 관련된 용어에는 신절제술, 신절석술, 요관절제술, 신장이식, 투석(혈액투석, 복막투석), 방광전적출술, 요로전환술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치료법은 신장 기능 저하나 요로계 질환을 관리하는 데 사용됩니다.
-
4. 비뇨기계 검사 관련 약어BUN(혈중 요소 질소), U/A(소변 검사), IVP(정맥신우조영술), KUB(신장, 요관, 방광) 등의 약어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검사는 신장, 요로, 대사 기능 이상을 확인하는 데 사용됩니다.
-
5. 비뇨기계 질환 관련 약어ARF(급성 신부전), UTI(요로 감염), AGN(급성 사구체신염), ESRD(말기 신부전), HD(혈액투석), PD(복막투석), CAPD(지속적 외래 복막투석), CCPD(지속적 순환 복막투석), IPD(간헐적 복막투석), KT(신장이식) 등의 약어가 사용됩니다.
-
1. 비뇨기계 구조 및 기능비뇨기계는 신장, 요관, 방광, 요도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 각 기관은 고유한 구조와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장은 혈액에서 노폐물을 걸러내고 수분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요관은 신장에서 생성된 소변을 방광으로 운반합니다. 방광은 소변을 일시적으로 저장하고 배출하는 기능을 하며, 요도는 방광에서 소변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통로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은 매우 복잡하고 정교하게 조절되어 있으며, 이상이 발생할 경우 다양한 비뇨기계 질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뇨기계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이해는 비뇨기계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2. 비뇨기계 병태생리 관련 용어비뇨기계 병태생리 관련 용어는 비뇨기계 질환의 발생 원인, 증상, 진행 과정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신장 결석'은 신장에 결석이 생성되는 병태생리를, '방광 과활동성'은 방광의 기능 이상으로 인한 증상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의료진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고, 질환의 이해와 치료 방향 설정에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비뇨기계 병태생리 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는 비뇨기과 진료 및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3. 비뇨기계 치료 관련 용어비뇨기계 질환의 치료에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됩니다. 약물 치료, 수술 치료, 방사선 치료 등이 대표적이며, 각각의 치료법에는 고유한 용어가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경요도 절제술'은 요도를 통해 방광 내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방법을, '체외 충격파 쇄석술'은 체외에서 발생시킨 충격파로 신장 결석을 부수는 치료법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치료 관련 용어는 의료진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을 돕고, 치료 계획 수립과 환자 교육에 활용됩니다. 따라서 비뇨기계 치료 관련 용어에 대한 이해는 비뇨기과 진료와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
-
4. 비뇨기계 검사 관련 약어비뇨기계 질환의 진단을 위해서는 다양한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검사에는 약어가 자주 사용되는데, 이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록의 간결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예를 들어 'KUB'는 신장, 요관, 방광을 의미하는 약어이며, 'IVP'는 정맥 요로 조영술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어를 이해하면 검사 결과를 정확하게 해석하고 적절한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뇨기계 검사 관련 약어에 대한 이해는 비뇨기과 진료와 치료에 필수적입니다.
-
5. 비뇨기계 질환 관련 약어비뇨기계 질환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질환에는 약어가 사용됩니다. 이러한 약어는 의사소통의 효율성을 높이고 기록의 간결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를 들어 'BPH'는 전립선 비대증을, 'UTI'는 요로 감염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약어를 이해하면 질환의 특성과 증상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적절한 진단 및 치료 방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뇨기계 질환 관련 약어에 대한 이해는 비뇨기과 진료와 치료에 매우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