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튬이온배터리 구성 요소와 원리
문서 내 토픽
-
1. 리튬이온배터리 구성 요소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분리막 등 4대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극재는 배터리의 용량을 결정하며, 음극재는 배터리의 수명을 결정합니다. 전해질은 리튬이온의 이동을 돕는 매개체이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분리하여 배터리의 안전성을 보장합니다.
-
2. 리튬이온배터리 작동 원리리튬이온배터리는 충전 시 양극에서 리튬이온이 분리되어 음극으로 이동하고, 방전 시 음극에서 리튬이온이 분리되어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자가 흐르게 되어 전류가 발생합니다. 이러한 리튬이온의 왕복 이동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됩니다.
-
3. 양극재 종류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재에는 LCO, LMO, LFP, NCM, NCA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양극재는 리튬, 코발트, 망간, 철, 니켈, 알루미늄 등의 금속 조성비에 따라 에너지 밀도, 안정성, 수명 등의 특성이 달라집니다.
-
4. 음극재 특성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로는 주로 흑연이 사용됩니다. 흑연은 층상 구조를 가져 리튬이온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으며, 화학적 안정성과 반복적인 충방전에도 구조가 크게 변하지 않아 긴 수명을 보장합니다.
-
5. 전해질 역할리튬이온배터리의 전해질은 리튬염, 유기용매, 첨가제로 구성되며 리튬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전해질의 성분 조성에 따라 배터리의 수명, 저온 특성, 충방전 효율 등이 달라집니다.
-
6. 분리막 기능리튬이온배터리의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분리하여 단락을 방지하고, 리튬이온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합니다. 분리막은 열 안정성, 절연성, 기공 균일성,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을 갖추어야 합니다.
-
1. 리튬이온배터리 구성 요소리튬이온배터리는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 등의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양극은 리튬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방전 시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전자를 내보냅니다. 음극은 흑연 등의 탄소 물질로 구성되어 있으며, 충전 시 리튬 이온이 흡수됩니다. 전해질은 리튬 염이 용해된 유기 용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합니다.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고 리튬 이온의 이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리튬이온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
2. 리튬이온배터리 작동 원리리튬이온배터리의 작동 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충전 시, 양극에서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전해질을 통해 음극으로 이동합니다.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흡수되면서 전자를 받아들여 환원 반응이 일어납니다. 방전 시에는 반대로 음극에서 리튬 이온이 방출되어 전해질을 통해 양극으로 이동하고, 양극에서 산화 반응이 일어나면서 전자를 내보냅니다. 이러한 리튬 이온의 이동과 산화-환원 반응을 통해 전기 에너지가 생성되고 저장됩니다. 이 과정에서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입니다.
-
3. 양극재 종류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재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양극재로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 리튬 니켈 코발트 알루미늄 산화물(NCA), 리튬 니켈 망간 코발트 산화물(NMC), 리튬 철 인산염(LFP) 등이 있습니다. 각 양극재는 에너지 밀도, 출력 특성, 수명, 안전성 등의 측면에서 장단점이 있어 용도에 따라 선택됩니다. 예를 들어, LiCoO2는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안전성이 낮은 반면, LFP는 안전성이 높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습니다. 이처럼 양극재 선택은 배터리 성능과 안전성의 균형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
4. 음극재 특성리튬이온배터리의 음극재는 주로 흑연이 사용됩니다. 흑연은 리튬 이온을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우수한 용량 특성을 보입니다. 또한 낮은 전위와 우수한 가역성으로 인해 높은 에너지 밀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실리콘, 주석 등의 음극재 물질도 연구되고 있는데, 이들은 흑연에 비해 더 높은 용량을 가지지만 부피 변화로 인한 수명 저하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음극재 선택은 배터리의 용량, 수명, 안전성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
5. 전해질 역할리튬이온배터리의 전해질은 리튬 이온의 이동 통로 역할을 합니다. 전해질은 리튬 염이 용해된 유기 용매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극과 음극 사이의 리튬 이온 이동을 가능하게 합니다. 전해질은 배터리의 용량, 출력, 수명, 안전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매우 중요한 구성 요소입니다. 예를 들어,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가 높으면 배터리의 출력 특성이 향상되고, 전해질의 화학적 안정성이 높으면 배터리의 수명이 증가합니다. 따라서 전해질 개발은 리튬이온배터리 기술 발전의 핵심 과제 중 하나입니다.
-
6. 분리막 기능리튬이온배터리의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여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분리막은 리튬 이온의 이동은 허용하지만 전자의 이동은 차단하여 양극과 음극 간의 직접적인 접촉을 막습니다. 이를 통해 배터리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분리막은 주로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과 같은 고분자 재료로 제작되며, 두께, 기공 크기,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이 중요합니다. 분리막의 성능은 배터리의 출력, 수명, 안전성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분리막 개발은 리튬이온배터리 기술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과제입니다.
리튬이온배터리 구성 요소와 원리 PPT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4
-
전기차 배터리의 발전과정과 기술원리1. 이차전지 산업의 발전 과정 현재 전기 자동차의 배터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이차전지'이다. 이차전지는 지난 120여 년 동안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특히 1990년대 리튬이온 배터리가 상용화되면서 전기차, 스마트폰, 노트북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우수한 출력 특성, 긴 수명 등의 장점을 가...2025.01.06 · 공학/기술
-
리튬배터리 원리, 열폭주 현상 및 해결방안1. 리튬배터리 원리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를 이동하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만들어냅니다.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배터리가 충전되고, 음극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며 에너지를 방출하여 방전됩니다.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 역할을 해주는 전해질과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게 해주는 ...2025.01.17 · 공학/기술
-
리튬이온 배터리 실험 예비레포트1. 리튬이온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LIB)는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ESS 등 모든 것을 구동하는 우리의 일상에서 빠져서는 안 될 재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입니다. 이번 실험에서는 직접 리튬이온 배터리를 만들어보고 Cell Performance를 측정할 것입니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충전이 가능한 2차전지의 한 종류이고 양극, 음극, 전해질, 분리막의...2025.05.05 · 공학/기술
-
화학전지와 열역학1. 화학전지 화학전지는 화학에너지와 전기에너지를 상호 변환하여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장치입니다. 갈바니 전지(볼타 전지)는 자발적 화학반응으로 전류가 발생하고, 전해 전지는 전류를 이용하여 비자발적 반응이 발생합니다. 화학전지로 만들어진 실용전지에는 건전지, 산화은 전지, 알칼리 전지, 리튬 전지, 납축전지, 수은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연료전지 등이 있습...2025.04.28 · 자연과학
-
리튬 이온 전지의 활용,구성,작동원리,특성,장단점 4페이지
리튬이온전지서론1)전지리튬이온전지를 이해하기위해 기본적인 전지에 대해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전지(battery)는 내부에 들어있는 화학물질(활물질 active material)의 화학에너지(chemical energy)를 전기화학적 산화-환원반응 (electrochemical oxidation-reduction reaction)에 의해 전기 에너지로(electrical energy) 변환하는 장치이다. 모든 전지는 양극(cathode or positive electrode) 과 음극(anode or negative electrode...2020.05.08· 4페이지 -
이차 전지 개념 및 리튬이온전지의 구조 및 원리 19페이지
이차 전지 개념 및 리튬이온전지의 구조 및 원리 1. 이차 전지의 개념 2. 이차 전지의 역사 3. 이차 전지의 종류별 특징 4. 리튬이온전지의 구조와 원리 5. 리튬이온전지 구성 소재1. 이차 전지의 개념 1 차 전지 (primary cell) - 한 번 쓰고 버리는 전지 2 차 전지 (rechargeable battery) - 축전지 (accumulator) 라고도 불림 - 외부 전기 에너지 →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저장 -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 (primary cell) 에 비해 →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 존재 ...2022.07.23· 19페이지 -
이차 전지와 리튬이온전지의 구조 및 원리 7페이지
이차 전지와 리튬이온전지의 구조 및 원리1. 개요2. 이차 전지의 종류별 특징3. 리튬이온전지의 구조와 원리4. 리튬이온전지의 구성 소재그림 1. 1차 전지와 2차 전지1. 개요ㆍ1차 전지(primary cell)- 한 번 쓰고 버리는 전지ㆍ2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 축전지(accumulator)라고도 불림- 외부 전지 에너지→ 화학 에너지 형태로 저장그림 2. 알렉산드로 볼타(1745~1827) - 한번 쓰고 버리는 일차 전지(primary cell)에 비해 경제적인 이점과 환경적인 이점 존재- 납 축전지...2022.07.23· 7페이지 -
신소재공학실험 / 화학야금실험 / 환원실험 / 사전보고서 / Microwave 산업계 응용예 / 적외선 온도계 원리 / 리튬이온배터리 (LIB) 원리 3페이지
1.Microwave 산업계 응용예저에너지, 고효율 에너지로 마이크로 웨이브 가열 기술은 전기에너지를 높은 효율로 이용할 수 있고, 특정 대상 물질만을 매우 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실생활에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여러 산업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마이크로웨이브 가열 및 건조의 응용분야고무공업고무의 연속가황, 타이어 고무의 예열, 고무 폴리머의 가열, 인젝션・트랜스포머 몰드 성형목재・제지 공업목재제품(가구, 단판, 목각, 죽재등)의 건조・가열・접착, 집성재・합판의 접착, 목재의 살충・살균 및 방부처리, 목재의 곡가공과 압축성형...2021.11.25· 3페이지 -
리튬배터리 원리, 열폭주 현상 및 해결방안 [리튬,배터리,열폭주,리튬배터리] 27페이지
리튬배터리 원리 , 열폭주 현상 및 해결방안Contents 01 리튬배터리 원리 02 리튬배터리 위험성 03 향후 해결방안 04 참고자료1. 리튬배터리 개념 1. 리튬배터리 원리 리튬이온배터리는 리튬 이온이 양극재와 음극재 사이를 이동하는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기를 만들어 냄 양극의 리튬 이온이 음극으로 이동하며 배터리가 충전되고 음극의 리튬 이온이 양극으로 돌아가며 에너지를 방출 , 방전됨 . 이때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의 이동통로 역할을 해주는 전해질과 양극과 음극이 서로 닿지 않게 해주는 분리막이 필요 . 일반적으로 ...2024.06.29· 2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