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초등학교 바슬즐 교수학습과정안 예시 - 재난 안전
본 내용은
"
[수업지도안] 초등학교 바슬즐 교수학습과정안 예시입니다. 단원은 <재난 안전>입니다.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10.08
문서 내 토픽
-
1. 화재 예방화재는 주로 사람들이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 일어나기 때문에 예방법을 잘 실천하면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불장난, 가스, 전기, 전열기의 취급 부주의 등 다양한 화재의 원인을 알고 일상생활 속에서 안전한 사용 방법을 실천하도록 한다.
-
2. 화재 대피화재 발생 시 '불이야'하고 큰소리로 외쳐서 다른 사람에게 알리고 최대한 빨리 건물 밖으로 대피한다. 연기를 피해 안전하게 대피하는 방법을 익히고, 옷에 불이 붙었을 때 두 손으로 눈과 입을 가리고 바닥에서 뒹굴어 불을 끄는 방법을 실습한다.
-
3. 지진 대응지진의 위험성을 알고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익힌다. 지진이 발생하면 머리를 보호하고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는 방법을 연습한다. 또한 해일 발생 시 즉시 높은 곳으로 대피하는 방법을 익힌다.
-
4. 황사/미세먼지 대응황사와 미세먼지의 위험성을 알고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익힌다. 황사 마스크의 올바른 착용법을 익히고, 실험을 통해 미세먼지를 확인하며 건강한 생활을 실천한다.
-
5. 태풍/강풍 대응태풍과 강풍의 위험성을 알고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익힌다. 체육관의 대형 선풍기를 활용해 강풍을 간접적으로 느껴보고, 안전한 자세와 행동 요령을 연습한다.
-
6. 폭염 대응폭염의 위험성을 알고 상황 발생 시 대처 방법을 익힌다. 폭염 시 건강한 옷차림을 홍보하고, 온열질환 관리 방법을 익힌다.
-
1. 화재 예방화재 예방은 매우 중요한 안전 문제입니다. 화재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화재 위험 요인을 사전에 파악하고 이를 제거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화재 예방을 위해서는 화재 감지기와 소화기 등의 소방 시설을 적절히 배치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화재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직원들에 대한 화재 대피 훈련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화재 예방을 위한 시설 투자와 교육 훈련을 통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화재 대피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안전한 대피는 매우 중요합니다. 화재 대피 계획을 사전에 수립하고, 대피 경로와 대피소를 명확히 표시해야 합니다. 또한 정기적인 화재 대피 훈련을 통해 직원들이 대피 절차를 숙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대피 시에는 엘리베이터 사용을 자제하고 계단을 이용해야 하며, 연기가 있는 경우 낮은 자세로 이동해야 합니다. 특히 취약 계층에 대한 대피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화재 대피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정기적으로 훈련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3. 지진 대응지진은 언제 어디서 발생할지 예측하기 어려운 자연재해입니다. 지진 발생 시 신속하고 적절한 대응이 중요합니다. 지진 대응 매뉴얼을 사전에 마련하고, 직원들에 대한 지진 대피 훈련을 정기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지진 발생 시에는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고, 가스와 전기 등의 시설물을 차단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지진 피해 상황을 신속히 파악하고 필요한 구호 활동을 전개해야 합니다. 지진 대응 체계를 체계적으로 구축하고 지속적으로 훈련함으로써 지진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4. 황사/미세먼지 대응황사와 미세먼지는 건강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환경 문제입니다.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시 실내 공기질 관리와 개인 보호 장비 착용이 중요합니다. 공기 정화 장치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하는 등 실내 공기질 관리에 힘써야 합니다. 또한 마스크 착용, 외출 자제 등의 개인 보호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황사와 미세먼지 발생 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응 조치를 신속히 취함으로써 직원들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
-
5. 태풍/강풍 대응태풍과 강풍은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야기할 수 있는 자연재해입니다. 태풍 및 강풍 발생 시 시설물 점검과 대비 조치가 필요합니다. 창문과 출입구를 점검하고 필요시 방풍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간판, 적재물 등 비산 위험이 있는 물건들을 안전하게 고정해야 합니다. 태풍 및 강풍 발생 시에는 외출을 자제하고 안전한 장소로 대피해야 합니다. 태풍 및 강풍 대비 체계를 사전에 마련하고 정기적으로 점검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입니다.
-
6. 폭염 대응폭염은 건강과 생명에 심각한 위협을 줄 수 있는 자연재해입니다. 폭염 발생 시 실내 온도 관리와 개인 건강 관리가 중요합니다. 에어컨, 선풍기 등의 냉방 시설을 적절히 활용하고 실내 온도를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수분 섭취, 휴식 취하기 등의 개인 건강 관리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특히 노약자, 어린이 등 취약 계층에 대한 보호 대책을 마련해야 합니다. 폭염 발생 정보를 신속히 파악하고 이에 따른 대응 조치를 신속히 취함으로써 직원들의 건강과 안전을 보호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