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 간호진단 3개 (가스교환장애, 체액과다, 출혈의 위험성) A+, 매우 자세함
본 내용은
"
성인간호학실습 case study Congestive Heart Failure (울혈성 심부전) 간호진단 3개 (가스교환장애, 체액과다, 출혈의 위험성) A+, 매우 자세함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30
문서 내 토픽
-
1. 가스교환장애대상자는 Hb 7.3에 Ferritin 14로 IDA가 지속되어 심장 부담이 늘어났으며 폐울혈이 있다. 이로 인해 가벼운 운동에도 숨이 차고 이로 인해 HF가 악화되어 식사만 해도 숨이 차는 등 신체활동 시 현저한 제한을 받고 있다. 또한, SpO2 88%, ABGA 결과 PO2 65mmHg 등 저산소혈증 임상증상이 나타나고 있다. 저산소혈증이 계속된다면, 대상자의 생명에 직접적인 위험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삶의 보존의 법칙'에 따라 1순위로 정하였다.
-
2. 체액과다대상자는 HFrEF, A fib 병력 있으며, Pitting edema가 악화되어 ER을 통해 내원했다. 체중이 1개월 동안 3kg 증가했고, PTPE Gr 4/4로 측정되었다. 이는 심장의 이완 기능이 감소하여 신체조직에 필요한 혈액을 제대로 공급하지 못해 하지나 발목 부위에 액체가 저류되어 부종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대상자는 D-Dimer 0.65ug/mL로 좌심실의 이완능력 저하로 인한 체액과다 상태가 지속될 경우, 호흡곤란 악화와 혈액이 저류로 인해 혈전이 발생하고 색전에 의한 합병증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삶의 보존 원칙'에 따라 medium-priority problem에 속하므로 2순위로 정하였다.
-
3. 출혈의 위험성대상자는 Hb 7.3, Hct 24.4, 특히 지혈과 혈액응고에 관여하는 PLT의 경우 116000/㎕로 낮고, 항응고요법 중으로 출혈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대상자에게 출혈의 위험성에 대한 중재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출혈로 인한 혈액 손실로 대상자의 생명이 위험해질 수 있다. 그러나 현재 대상자의 혈액 응고 검사 결과가 모두 정상이기에 중재의 필요성이 가스교환장애, 체액과다보다는 낮다고 판단하여 '삶의 보존의 법칙'에 따라 medium-priority problem에 속하므로 3순위로 출혈의 위험성에 대해 중재하기로 결정했다.
-
1. 가스교환장애가스교환장애는 폐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원활하지 않은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폐 기능 저하, 폐 질환, 호흡 기능 저하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스교환장애 환자는 호흡곤란, 청색증, 피로감 등의 증상을 겪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산소 공급, 호흡기 치료, 약물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하고 폐 기능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가스교환장애 환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전문가의 체계적인 관리와 환자 개인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2. 체액과다체액과다는 체내 수분량이 정상 범위를 초과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심부전, 신부전, 간부전 등 다양한 질환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체액과다 환자는 부종, 호흡곤란, 체중 증가 등의 증상을 겪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근본 원인을 찾아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분 섭취 제한, 이뇨제 투여, 투석 치료 등 다양한 방법으로 체내 수분량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체액과다 환자의 건강 관리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체계적인 관리와 환자 개인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입니다.
-
3. 출혈의 위험성출혈은 신체 내부 또는 외부에서 혈액이 흘러나오는 상태를 말합니다. 출혈은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심각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출혈의 위험성은 출혈의 원인, 출혈량, 출혈 부위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출혈 환자는 창백, 어지러움, 저혈압 등의 증상을 겪게 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출혈의 원인을 찾아 신속하게 지혈하고 출혈량을 줄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혈제 사용, 수술적 치료, 수혈 등 다양한 방법으로 출혈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출혈 환자의 생명 보호를 위해서는 전문가의 체계적인 관리와 환자 개인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