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본 내용은
"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7
문서 내 토픽
-
1. 선천면역작용선천면역작용은 병원균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질을 인식하고 대응하는 비특이적 면역반응이다. 척추동물의 선천면역작용에는 방어벽, 식균작용(Phagocytosis), 항미생물펩타이드, 자연살생세포, 인터페론 및 염증반응 등이 있다.
-
2. 염증성 사이토카인상처나 감염 시 활성화된 대식세포와 호중구는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사이토카인인 IL-1, IL-6, TNF-α 등을 분비한다. 이러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세포 간 정보 전달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
3. 대식작용(Phagocytosis)대식작용은 식세포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이나 체내의 이물질 등을 세포 내로 들여와 세포내소화하는 현상으로, 선천면역작용의 주요 메커니즘 중 하나이다. 대식세포는 염증을 개시하고 조절하는 사이토카인을 생성하고 미생물을 섭취하여 파괴하며, 죽은 세포를 제거하고 조직 복구 반응을 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4. DAMP 인식대식세포는 외부 병원균이 갖고 있는 PAMP뿐만 아니라 손상된 숙주세포에서 나오는 DAMP도 인식하여 비감염성 염증반응을 일으키고 손상된 세포를 제거한다. 이는 선천 면역계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개발의 핵심 이론이 되었다.
-
1. 선천면역작용선천면역작용은 병원체에 대한 즉각적인 반응을 통해 감염을 막는 중요한 생물학적 기전입니다. 이는 병원체 침입 시 신속하게 활성화되어 병원체를 제거하고 염증 반응을 유발합니다. 선천면역작용은 선천성 면역 세포와 수용체, 보체 시스템, 염증 매개체 등 다양한 요소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선천면역 기전은 병원체 감염에 대한 첫 번째 방어선 역할을 하며, 이후 적응면역 반응을 유도하여 감염 예방과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선천면역작용에 대한 이해와 연구는 감염성 질환 예방 및 치료 전략 수립에 필수적입니다.
-
2. 염증성 사이토카인염증성 사이토카인은 면역 반응과 염증 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단백질 매개체입니다. 이들은 감염이나 조직 손상 시 면역 세포에 의해 분비되어 염증 반응을 유발하고 조절합니다. 대표적인 염증성 사이토카인으로는 TNF-α, IL-1β, IL-6 등이 있으며, 이들은 혈관 투과성 증가, 백혈구 활성화, 급성 반응 단백질 생성 등을 통해 염증 반응을 매개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산은 자가면역 질환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이들의 조절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중요합니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조절 기전 이해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
3. 대식작용(Phagocytosis)대식작용은 면역 세포가 병원체나 이물질을 포식하여 제거하는 중요한 생물학적 과정입니다. 대식세포는 이러한 대식작용을 통해 병원체 침입 시 신속하게 반응하여 감염을 예방하고 조절합니다. 대식작용은 수용체 인식, 세포 내 신호 전달, 세포막 재구성, 병원체 포식 및 분해 등 복잡한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대식작용 기전에 대한 이해는 면역 기능 조절, 감염성 질환 치료, 암 면역치료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대식작용 장애는 자가면역 질환이나 만성 염증성 질환과 연관될 수 있어, 대식작용 조절 기전에 대한 연구가 중요합니다.
-
4. DAMP 인식DAMP(Damage-Associated Molecular Patterns)는 세포 손상이나 괴사 시 방출되는 내인성 분자로, 이를 인식하는 수용체와 신호 전달 경로는 면역 반응 및 염증 반응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AMP 수용체로는 TLR, NLR, RAGE 등이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DAMP 인식을 통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세포 사멸, 조직 손상 복구 등을 유도합니다. 따라서 DAMP 인식 기전에 대한 이해는 자가면역 질환, 만성 염증성 질환, 퇴행성 질환 등의 병태생리 규명과 치료 전략 수립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DAMP 조절을 통한 면역 반응 및 염증 반응 조절은 감염성 질환, 암,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 치료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실험 보고서 8페이지
골수유래대식세포의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 및 대식작용 실험 보고서1. Introduction- Immune system 중 선천면역작용모든 동물에는 병원체가 전에 침입했던 경험의 유무와는 무관하게 감염이 일어난 즉시 방어반응을 나타내는 선천성 면역(innate immunity) 시스템이 존재한다. 소수의 수용체군을 이용하여 특정 병원균의 그룹에 공통적으로 존재하는 특징을 인식하며, 신속하게 반응한다는 특징을 가진다. 선천성 면역에는 피부와 같은 외부 장벽을 통하여 병원균의 침입을 물리적으로 제한하는 방법이 있다. ...2023.08.31· 8페이지 -
[미생물학] 면역학 요약 리포트 4페이지
1[면역학: 면역학 요약 리포트]▷면역immunity : 한 번 감염병에 걸리면 동일한 감염병에 다시 걸리지 않게 되는 현상▶생체 내에서 자기self와 비자기non-self를 구별해 외부에 들어온 이물질을 인식하여 제거하는 일련의 반응면역반응 : 항원의 인지단계, 항원을 제거하는 단계면역 관여 기관 : 비장?흉선, 림프절?림프조직, 골수면역 관여 세포 : 림프구(B세포, T세포), 마크로파지(대식세포), 과립구(호중구, 호염기구, 호산구)▷면역의 종류 : 선천면역innatw immunity, 후천면역acquired immunity①...2022.06.23· 4페이지 -
인체병리의 이해 핵심정리-염증 5페이지
chapter 05 염증 inflammation?방어기전과 관련된 주요용어 정의?염증반응의 종류와 과정 설명?염증반응의 경과 설명Ⅰ 염증1. 염증의 정의?염증: 유해자극에 대한 일련의 보호반응이며, 세포 및 조직의 수복(repair, 복구)과정을 동반함?혈관성 반응과 세포성 반응으로 구성됨?염증(inflammation): 인체가 정상적인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외부의 다양한 자극과 세균, 바이러스 등 병원체의 침입을 방어하는 기전 중 하나.?염증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여러 장기에 장애를 일으킴2. 염증의 원인?조직을 손상시키...2021.02.03· 5페이지 -
간호학과 기초간호과학 중간과제 참고자료 10페이지
〔기초간호과학〕??A. 1.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2. 면역과 관련하여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의 특징과 주요 질환 들을 제시3. 4가지 형태의 과민반응별 질환 중 한 가지에 대한 발생기전 (총 4가지 질환)을 서술B. 1. 종양의 병기(cancer staging)가 무엇인지?2. 악성종양에 대한 병기를 분류하는 방법 중 TNM 분류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3. 종양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국소 영향과 전신 영향으 로 구분하여 설명- 목 차 -Ⅰ. 서론Ⅱ. 본론A. 면역에 관여하는 세포에 대해 ...2017.02.27· 10페이지 -
과민반응 (Hypersensitivity Reaction) / 알레르기 / IgE 작용기전 / 과민반응 매개체 / 과민반응 질환 8페이지
REPORT과민반응(Hypersensitivity Reaction)과목명 :담당교수 :학과 :학년 :한번 :이름 :제출일 :서론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에 따르면 2008년 알레르기성 비염 환자는 약 45만명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이는 2012년애 약 59만명으로 증가하여, 매년 이대로 증가치를 보이면 연평균 6.6%의 알레르기성 비염환자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아토피 피부염은 1970년대까지는 6세 이하 소아의 3% 정도에서만 앓는 것으로 조사되었지만 식습관의 변화, 환경 호르몬 등의 영향으로 최근엔 소아의 20%, 성인에서도 ...2014.03.10· 8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