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과 윤리 2024학년도 모의고사 기출 선지 OX 문제 및 정답(동양윤리적 접근)
문서 내 토픽
  • 1. 장자와 공자의 윤리관
    장자와 공자는 마음의 수양을 통해 도(道)를 따르며 살아가야 한다고 보았지만, 장자는 인위적인 규범에서 벗어나 무위의 삶을 추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공자는 시비선악을 분별하고 자연의 질서에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장자는 차별 없는 사랑[兼愛]을, 공자는 성인이 제정한 예를 바탕으로 만물을 평등하게 대해야 한다고 보았다.
  • 2. 맹자와 노자의 윤리관
    맹자는 예법[禮]이 아닌 형벌로 백성을 다스려야 한다고 보지 않았으며, 이로운 것[利]이 곧 의로운 것[義]이라고 주장했다. 노자는 도(道)에 따라 매사에 겸허(謙虛)하게 행동해야 한다고 보았지만, 시비선악(是非善惡)을 엄격히 분별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맹자는 이상적 인간이 인륜(人倫)의 규범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 3. 맹자와 노자의 인간관
    맹자는 인의가 하늘이 부여한 것으로서 사람을 사람답게 하는 덕이라고 보았으며, 인간의 욕구 중 본성의 발현을 가로막는 욕구를 극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노자는 도가 인간의 감각으로 인식할 수 없지만 우주 만물을 낳는다고 보았으며, 인위에 얽매이지 않고 자연에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맹자와 노자는 학문의 완성된 경지에 이르러 자신의 명성을 높여야 한다는 점에서 견해를 달리했다.
  • 4. 석가모니의 윤리관
    석가모니는 탐욕으로 생긴 번뇌가 깨달음을 얻더라도 소멸될 수 없다고 보았지만, 나와 남이 둘이 아니라는 자각에서 만물에 대한 사랑이 생긴다고 주장했다. 맹자는 인륜의 규범에서 벗어나야 이상적 인간이 될 수 있다고 보지 않았다.
  • 5. 공자와 노자의 사회관
    공자는 충서(忠恕)를 통한 인의 확장이 천하의 도(道)를 이루게 한다고 보았고, 노자는 성인(聖人)의 다스림이 백성을 저절로 소박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노자는 무위(無爲)의 삶을 통해 타고난 본성을 변화시켜야 한다고 보지 않았으며, 분별적 지혜를 발휘하여 도덕 질서를 확립해야 한다고 보지 않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장자와 공자의 윤리관
    장자와 공자는 서로 다른 윤리관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장자는 자연의 흐름에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았고,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자유로운 삶을 추구했습니다. 반면 공자는 인간 사회의 질서와 도덕성을 중요하게 여겼고, 예(禮)와 인(仁)을 통해 사회를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어가고자 했습니다. 이들의 윤리관은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와 삶의 방향성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맹자와 노자의 윤리관
    맹자와 노자는 인간의 본성과 도덕에 대한 견해가 크게 달랐습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실천을 강조했습니다. 반면 노자는 인간의 본성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보았고,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했습니다. 이들의 윤리관은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와 삶의 방향성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3. 맹자와 노자의 인간관
    맹자와 노자는 인간의 본성과 삶에 대한 견해가 크게 달랐습니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았고, 이를 바탕으로 도덕적 실천을 강조했습니다. 반면 노자는 인간의 본성이 자연스러운 것이라고 보았고,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했습니다. 이들의 인간관은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인간의 본질적인 가치와 삶의 방향성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4. 석가모니의 윤리관
    석가모니의 윤리관은 고통의 근원을 탐욕, 분노, 무지에서 찾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팔정도(八正道)를 제시했습니다. 팔정도는 바른 견해, 바른 생각, 바른 언어, 바른 행동, 바른 생활, 바른 노력, 바른 마음챙김, 바른 정신집중을 의미하며, 이를 통해 고통에서 벗어나 해탈에 이르고자 했습니다. 석가모니의 윤리관은 개인의 내적 수양과 도덕적 실천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공자와 맹자의 윤리관과 유사한 면이 있지만, 고통의 근원과 해결책을 보는 관점에서는 차이가 있습니다.
  • 5. 공자와 노자의 사회관
    공자와 노자는 사회에 대한 견해가 크게 달랐습니다. 공자는 예(禮)와 인(仁)을 통해 사회의 질서와 도덕성을 강조했고, 이를 바탕으로 이상적인 사회를 구현하고자 했습니다. 반면 노자는 인위적인 규범과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삶을 추구했고, 정치와 사회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하고자 했습니다. 이들의 사회관은 서로 대립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인간 사회의 바람직한 모습을 고민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생활과 윤리 2024학년도 모의고사 기출 선지 OX 문제 및 정답(동양윤리적 접근)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