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염관리실_내시경실 관련 부착물 PPT
본 내용은
"
감염관리실_내시경실 관련 부착물 PPT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6
문서 내 토픽
-
1. 내시경실 내시경기구 소독 절차내시경 검사 직후 침상 옆에서 효소세정액 또는 멸균 증류수를 묻힌 거즈로 내시경 표면 이물질을 제거한다. 내시경 선단을 세척액에 넣고 세척액을 흡입, 공기를 불어넣는 작업을 반복하여 겸자공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오염된 내시경기기를 전원에서 분리 후 오염 전용 용기에 넣어 세척실로 옮긴다. 분리 가능한 부품은 모두 제거한 후, 세척액을 이용하여 내시경을 세척한다. 각 채널 입구와 부품은 전용세척솔을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 남아있는 세척액을 모두 씻어낸다. 자동소독기에 내시경이 꼬이지 않도록 놓고 내시경에 방수캡을 연결한다. 각 채널에 케이블을 연결한다. 세척 소독 세팅 시간 확인 후 시작 버튼을 누른다. 내시경 외부의 물기를 제거한다. 모든 내시경 채널에 70% 이상의 알코올을 주입한 후, 에어건 또는 50ml 주사기를 사용해 채널의 물기를 제거한다. 내시경은 환기가 잘되는 전용장에 수직으로 세워선반이 바닥에 닿지 않도록 한다.
-
2. 내시경실 기타 소독 및 관리흡인통은 매일 비우고 세척하고 튜브는 매 환자 마다 교체한다. 높은 수준의 소독이 끝난 내시경 악세사리는 건조 후 멸균 캔에 보관한다. 송수병은 E.O 멸균 후 매일 교환한다. 내시경 전용장은 매일 환경 소독제 혹은 70% 이상 알코올로 닦아 깨끗하게 유지한다. 하부 소독포는 매일 교환하고, 내시경 선단부가 닿지 않도록 한다.
-
3. 내시경실 세척시 개인보호구 착용일회용 가운, 안면 보호구, 마스크, 장갑, 방수 신발(또는 일회용 비닐 슈커버)을 착용합니다. 찢어지거나 손상된 보호구는 즉시 폐기합니다. 오염된 구역에서 다른 구역으로 이동할 때는, 이동 전에 개인 보호구를 벗고 손 위생을 시행합니다. 보호구를 벗을 때는 오염이 심한 것부터 깨끗한 것 순서로 벗습니다. 먼저 장갑을 벗습니다. 그다음 가운의 오염된 겉면을 안쪽으로 말아서 벗습니다. 마지막으로 방수 신발, 안면 보호구, 마스크를 벗습니다.
-
4. 내시경 기구 배양 검사 방법적절한 멸균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12시간 이상 경과 후 균 배양 여부를 확인합니다. 멸균 장갑, AP 가운, 덴탈 마스크를 착용한 상태에서 채취를 진행합니다. 준비물로는 Syringe 50cc, 멸균증류수, D-set, 내시경 세척용 멸균 brush, 검체 꽂을 틀, 시리얼 넘버 적은 스티커, 일반배양배지, 멸균 bottle, 멸균장갑, AP 가운, 덴탈 마스크 등이 필요합니다.
-
5. 내시경 기구 배양 검사 결과 해석결과보고 해석으로는 고-관심 주요균(S.aureus, enterococcus spp, streptococcus spp, Streptococcus Viridans Group, P.aeruginosa, klebsiella spp, Shigella spp 등)과 저-관심 주요군(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i, Micrococci, Diptheroids, Bacillus spp, 그람양성 막대균 등)이 있습니다. 고-관심 주요균이 검출되면 일반적으로 재검사를 시행하며, P.aeruginosa의 성장은 불충분한 최종 헹굼 및 건조를 의미할 수 있습니다. 저-관심 주요군의 경우 10CFU/duodenoscope 이상이면 재검사를 시행합니다.
-
1. 내시경실 내시경기구 소독 절차내시경실에서 내시경 기구의 소독 절차는 매우 중요합니다. 내시경 기구는 환자와 직접 접촉하므로 철저한 소독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내시경 기구 소독 절차는 1) 전처리 - 2) 세척 - 3) 소독 - 4) 헹굼 - 5) 건조 - 6) 보관의 순서로 진행됩니다. 전처리 단계에서는 내시경 기구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세척 단계에서는 효과적인 세척제를 사용하여 기구를 깨끗이 세척합니다. 소독 단계에서는 화학적 소독제나 고온 소독기를 사용하여 미생물을 사멸시키며, 헹굼과 건조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보관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소독 절차를 통해 내시경 기구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2. 내시경실 기타 소독 및 관리내시경실에서는 내시경 기구 외에도 다양한 기구와 환경에 대한 소독 및 관리가 필요합니다. 내시경실 내부 환경 소독을 위해 정기적으로 바닥, 벽, 천장 등을 청소하고 소독해야 합니다. 또한 내시경실 내 의자, 테이블, 침대 등의 표면도 소독해야 합니다. 이 외에도 내시경실 내 의료폐기물 처리, 환기 및 공기질 관리, 손 위생 관리 등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체계적인 내시경실 관리를 통해 환자와 의료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3. 내시경실 세척시 개인보호구 착용내시경실에서 내시경 기구를 세척할 때는 반드시 개인보호구를 착용해야 합니다. 내시경 기구에는 혈액, 체액 등 감염성 물질이 묻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개인보호구로는 일회용 장갑, 가운, 마스크, 보안경 등이 필요합니다. 장갑은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선택하고, 가운은 방수성이 있는 것을 착용해야 합니다. 마스크는 N95 마스크를 착용하여 호흡기 감염을 예방해야 합니다. 보안경은 눈 점막 감염을 막기 위해 착용합니다. 이러한 개인보호구 착용을 통해 의료진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4. 내시경 기구 배양 검사 방법내시경 기구의 미생물 오염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배양 검사가 필요합니다. 배양 검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먼저 내시경 기구의 말단부, 채널, 밸브 등에서 검체를 채취합니다. 이 검체를 배양 배지에 접종하여 37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합니다. 그 후 배양된 균주를 동정하고 균수를 측정합니다. 이를 통해 내시경 기구의 오염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배양 검사 결과는 내시경 기구 소독 및 관리 방법 개선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5. 내시경 기구 배양 검사 결과 해석내시경 기구 배양 검사 결과를 해석할 때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배양된 균주의 종류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피부 상재균이나 환경 세균은 문제가 되지 않지만, 병원성 세균이 검출되면 소독 절차 개선이 필요합니다. 둘째, 균수를 확인해야 합니다. 균수가 일정 수준 이상이면 소독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셋째, 반복적인 배양 검사 결과를 비교 분석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소독 절차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배양 검사 결과 해석을 바탕으로 내시경 기구 관리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