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인실습A+ 척추전방전위증 간호과정/ Study case 변비(진단3개, 과정1개)
문서 내 토픽
-
1. 급성 통증(Acute pain)대상자는 04/16일 L3/4에 PEEK를 박는 외과적 수술을 받았으며, 수술 후 NRS 7점에 달하는 통증을 호소하였고, PCA를 적용하였음에도 통증이 줄어들지 않았다. 또한 계속되는 통증으로 인해 수술의 예후마저 의심하고 불안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술 6시간 후 NPO D/C하고 수분 및 음식 섭취를 격려했으나 04/17까지 음식 섭취를 못하고, 수면을 취하지 못하는 등의 추가적인 문제들이 나타났다. 대상자의 통증이 줄고 안정되면 음식 섭취 및 수면은 자연스럽게 해결되고, 심리적 안정과 EDBC 수행도 기대가 되는 바이므로, 위와 같은 이유와 Maslow 욕구단계이론에 근거한 <생리적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1순위로 선정하였다.
-
2.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대상자는 OP site에 배액관을 삽입하였고, hemo-vac 1ea 유지한채 병실로 돌아왔다. 간호사가 배액관 관리법에 대해 교육하였으나, 대상자는 "이거 꼭 달아야해요?"라고 질문하며 불편감을 보였고, 라운딩 중 배액관이 꼬여있거나 삽관 부위의 거즈가 젖어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hemo-vac은 상처 부위 삼출물을 제거해 감염 위험을 줄이는 역할을 하지만, 장치가 제대로 관리되지 않을 경우 체액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고 오히려 감염의 위험을 증가시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감염 시 생명에 위협을 줄 수도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행동들은 통증이 원인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하여 2순위로 선정하였다.
-
3. 변비(Constipation)대상자는 오랫동안 변비 증상으로 고삼투성 완하제를 복용하고 있었고, 증상이 발현된 후 back pain과 하지 마비 증상으로 인해 대변을 전혀 보지 못했다. 수술 후 원할한 배변을 돕기 위해 기저귀 사용과 이동식 변기 사용을 권했으나 다인실에서 사용하는 것을 꺼려하였고, "배가 꾸륵꾸륵하고 쿡쿡 쑤셔요."라며 복통을 호소하였다. POD 2일째부터는 보행기를 이용하여 스스로 화장실 출입이 가능했지만 대변을 보지는 못하였다. 삶에 있어 섭취와 배설은 가장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부분이며, 이를 해결하지 못해 만성적인 변비가 될 경우 게실병과 치질의 위험을 증가시키므로 3순위로 선정하였다.
-
1. 급성 통증(Acute pain)급성 통증은 신체에 발생한 손상이나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일시적인 통증을 말합니다. 이는 신체가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으로,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급성 통증은 대개 단기간 내에 해결되지만,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만성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통증의 원인을 파악하고, 진통제 투여, 물리치료, 심리적 지지 등 다각도의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의 통증 호소에 귀 기울이고, 통증 관리에 환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급성 통증에 대한 적절한 관리는 환자의 삶의 질 향상과 더불어 만성 통증 예방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
2. 감염위험성(Risk for infection)감염 위험성은 병원이나 지역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감염 가능성을 의미합니다. 이는 환자의 면역력 저하, 침습적 시술, 불량한 위생 상태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감염 위험성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감염 관리 프로토콜 수립, 의료진의 감염 예방 교육, 환자와 보호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또한 감염 징후 모니터링, 신속한 진단과 치료, 격리 조치 등 다각도의 접근이 요구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한 노력은 환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데 필수적이며, 의료기관의 신뢰도 향상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
3. 변비(Constipation)변비는 배변 횟수가 감소하거나 배변이 어려운 상태를 말합니다. 이는 식이 섬유 섭취 부족, 수분 섭취 부족, 운동 부족, 약물 부작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변비 관리를 위해서는 식이 섬유와 수분 섭취 증가, 규칙적인 운동, 배변 습관 개선 등의 생활 습관 개선이 필요합니다. 또한 필요 시 완화제 사용, 관장 등의 의학적 중재도 고려해야 합니다. 변비 관리는 환자의 불편감 해소와 더불어 장 건강 유지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의료진은 환자의 변비 증상을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인별 맞춤 관리 계획을 수립해야 할 것입니다.
성인실습A+ 척추전방전위증 간호과정/ Study case 변비(진단3개, 과정1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