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만0세 1학기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 / 종합발달평가 (일상,놀이 관찰일지)
본 내용은
"
만0세 1학기 영아전담 어린이집 관찰일지 / 종합발달평가 (일상,놀이 관찰일지)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2
문서 내 토픽
-
1. 일상생활OO가 어린이집 앞에서 엄마와 헤어질 때 웃으며 인사하고 헤어질 수 있도록 교사가 OO를 안고 "다녀오세요"라고 인사하고 OO도 인사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가 등원한 OO와 화장실로가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였으며 자신의 자리에 앉아 간식을 먹어 볼 수 있도록 유도하였다. OO가 기저귀 상태를 확인하고 교사의 손을 잡고 화장실로 이동하여 손을 씻고 간식으로 나온 음식의 이름을 이야기 해주며 OO가 포크를 사용하여 간식을 먹었다. OO가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있는 OO를 교사가 지켜본다. OO가 움직임 없이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교사를 본다. 교사가 미소를 지으며 "OO야, 이리 오세요. 응가를 했군요."라 말하자 OO가 교사에게 걸어간다. OO가 기저귀 매트 위에 머리를 대고 눕는다. OO가 고개를 돌려 옆에 놓인 딸랑이를 잡고 흔든다. OO에게 오늘 나온 간식의 이름을 알려주며 맛을 볼 수 있도록 하고 요플레만 먹는 OO에게 요플레와 함께 파인애플을 넣어 주었더니 OO가 맛있게 먹는 모습을 보이며 더 달라고 식판을 내밀었다. 오전 간식시간에 바나나가 나왔다. 바나나가 부드러워 포크가 쑥 빠지길래 "OO야 선생님이 도와줄까?"하고 도와주니 그 다음부터는 바나나를 찍다가 안되면 포크를 교사에게 준다. 점심시간에 우엉을 먹기 싫어해서 밥 속에 숨겨서 주었는데 골라서 뱉어냈다. 오전 간식을 먹기 전 OO의 기저귀 상태를 확인한 후 화장실 앞에서 자신의 차레를 기다리며 손을 씻고 화장실 앞에서 기다리는 OO와 손유희를 하며 기다려볼 수 있도록 하였다.
-
2. 놀이활동유희실에 영아들과 나가 놀이기구 오르막을 엉금엉금 올라가고 창밖의 모습을 보며 "어어"하며 풍경을 바라보다가 오르막을 뒤로 돌아 엉덩이부터 천천히 내려왔다. OO가 자동차에 관심을 보여 "부릉부릉"하자 OO가 자동차를 교사의 다리에 올려서 교사의 행동을 따라했다. 교사가 손인형으로 인사하고, 오리 흉내내며 표현하니 OO는 손인형에 관심보이며 인형을 만져본다. 꽥꽥 소리내며 손가락을 움직이니 움직이는 인형의 손을 잡고 웃어 보인다. 영아들과 함께 어린이집 근처에 위치한 보타닉공원으로 견학을 갔다. 버스로 이동하여 자리에 앉은 후. 벨트를 매고 출발해 보았다. 보타닉 공원에 도착한 후 OO는 교사가 준비한 풍선으로 즐겁게 놀이 하였다. 풍선을 잡으려고 신나게 뛰어 보았다. 영아들과 밤과 솔방울을 찾아 바구니에 넣어보는 놀이도 하였다. 그리고 맛있는 간식도 친구들과 함께 나눠서 먹어 보았다. OO는 간식을 먹은 후 친구들과 알록달록 나뭇잎을 주워보고 소꿉놀이도 하며 시간을 보냈다. OO가 피아노를 양손바닥으로 누른다. 교사가 피아노의 버튼을 누르자 소리가 난다. OO가 교사를 지켜보다 다시 양손바닥을 들어 올렸다 내리며 피아노 건반을 누른다. OO가 공을 잡은 팔을 뻗어 던진다. 공이 바닥에 떨어져 앞으로 굴러가자 공을 따라가 구부리고 앉아 공을 주워 다시 일어난다. OO가 사운드북 버튼을 누른 후 가만히 사운드북을 지켜본다. 다시 같은 버튼을 누른 후 지켜본다. 소리가 끝나자 다시 같은 버튼을 누른다. OO는 교실 주변을 탐색하다가 모빌을 보며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관심을 보이자 엄마는 OO에게 "저기 모빌이 있네? 엄마가 안아줄게."라고 말한 후 OO를 안아서 모빌을 보여주자 OO는 양손을 들어 모빌을 만지며 탐색하였다. 벽돌 블록 위에 벽돌 블록을 올리는 교사를 보던 OO가 벽돌 블록을 교사에게 건넨다. 교사가 벽돌 블록을 받아 옆에 놓자, 다시 OO가 벽돌 블록을 교사에게 건넨다. 교사가 마저 올린 후 접시와 사과 모형을 꺼내어 얹는다. 교사가 사과를 들고 입 앞에서 "냠냠"이라 말하자 바나나 모형을 꺼낸 OO가 교사에게 건넨다. 교사가 먹는 흉내를 낸 후 OO의 입 앞에 대자 OO가 입을 움직인다. 울리는 마이크로 "아~아~."라는 소리를 내며 놀이하다가 교실에 같이 있던 동생 OO가 가만히 쳐다보자 "OO OO."라고 동생의 이름을 불러본다. 바닥을 기어 다니다 떨어진 꽃잎을 발견한 OO가 꽃잎을 주워들고 바라본다. 교사가 꽃잎을 한 움큼 쥐어 OO의 머리 위에서 뿌려주며 "머리 위에서 꽃잎이 날리네요."라고 하자 OO가 앉아서 고개를 젖혀 하늘을 바라본다. 떨어지는 꽃잎을 잡으려 손을 뻗어 손을 오므렸다 펴기를 반복한다.
-
3. 1학기 종합발달평가교사의 말과 몸짓, 표정에 관심을 갖고 주의를 기울인다. 교사의 이야기를 듣고 포대기를 건네고 덮어주는 등 반응을 나타내며 교사의 토닥이는 모습과 자장가를 듣고 따라 토닥이는 모습을 보인다. 교사의 목소리를 들으며 하루 일과 중 기저귀 갈이 시간에 편안하게 참여하며 기저귀를 교체해 주는 교사의 손길에 편안함을 느끼며 도움을 받는다. 기저귀 갈이 중 교사의 물음에 몸짓과 표정으로 반응을 나타낸다. 감각기관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며 천장에 매달린 스카프에 관심을 보인다. 천장에 매달린 스카프를 잡기 위해 팔을 뻗거나 점프를 시도하는 등 제자리에서의 기본 운동을 시도하며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고 손으로 잡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는 등 대?소근육을 조절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수영장에 있는 물을 무서워 하였지만 물이 익숙해지면서 스스로 물을 만지고 놀이하였다. 새로운 놀잇감에 흥미를 보이며 스스로 놀이를 선택한다. 밀가루 반죽을 자유롭게 탐색하며 촉감을 느껴보며 차가운 느낌을 알고 옹알이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감각기관으로 주변 환경을 탐색하며 천장에 매달린 스카프에 관심을 보인다. 천장에 매달린 스카프를 잡기 위해 팔을 뻗거나 점프를 시도하는 등 제자리에서의 기본 운동을 시도하며 발뒤꿈치를 들어 올리고 손으로 잡기 위한 움직임을 보이는 등 대?소근육을 조절하는 모습이 나타난다. 수영장에 있는 물을 무서워 하였지만 물이 익숙해지면서 스스로 물을 만지고 놀이하였다. 새로운 놀잇감에 흥미를 보이며 스스로 놀이를 선택한다. 밀가루 반죽을 자유롭게 탐색하며 촉감을 느껴보며 차가운 느낌을 알고 옹알이로 느낌을 표현할 수 있다. 스스로 기저귀 매트에 누우며 도움을 받아 기저귀를 편안하게 갈이 하는 모습을 보인다. 반에서의 안정감을 느끼며 무릎을 구부리고 앉아 기저귀에 대변을 보며 대변을 본 후 자리에서 일어나 교사를 쳐다보는 행동으로 배변 의사를 표현한다. 시각, 청각, 촉각으로 자극을 느끼며 적절한 반응을 보인다. 교사의 말을 알아듣고 자신의 코와 교사의 코를 만지는 등 주요 신체 부분을 탐색하며 손을 뻗어 거울을 만지거나 교사의 코를 만지며 눈과 손을 협응하여 소근육을 조절할수 있다. 교사의 익숙한 목소리를 듣고 반응하며 경청한다. 운율이 있는 짧은 말에 반응하며 비슷하게 소리 내기를 시도한다. 소리 내기를 반복하며 말하기에 흥미를 보인다.
-
1. 일상생활일상생활은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루는 중요한 부분입니다. 일상생활에는 식사, 수면, 위생관리, 옷 입기 등 기본적인 활동들이 포함됩니다. 이러한 일상생활 활동들은 개인의 건강과 안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체계적이고 균형 잡힌 일상생활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일상생활은 개인의 자립성과 자아정체성 형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일상생활에 대한 교육과 지원을 통해 개인의 자립성과 자아실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입니다.
-
2. 놀이활동놀이활동은 아동의 전인적 발달을 위해 매우 중요한 활동입니다. 놀이를 통해 아동은 신체적, 인지적, 사회정서적, 창의적 능력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특히 자유로운 놀이 활동은 아동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고, 문제해결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습니다. 또한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성과 의사소통 능력도 기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동의 발달 단계와 흥미를 고려한 다양한 놀이 활동을 제공하여 전인적 발달을 도모해야 할 것입니다.
-
3. 1학기 종합발달평가1학기 종합발달평가는 아동의 전반적인 발달 상황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개별화된 교육 계획을 수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아동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과 개입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모와 교사 간의 협력을 통해 아동의 발달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지원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평가 과정에서 아동의 스트레스와 부담감을 최소화하고,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실질적인 교육 지원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