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endicitis(맹장염) 간호진단 1개 /간호과정 1개 CASE STUDY
본 내용은
"
appendicitis(맹장염) 간호진단 1개 /간호과정 1개 CASE STUDY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2
문서 내 토픽
  • 1. appendicitis(맹장염)
    appendicitis 간호과정 과목명교수명 학과간호학과학년 / 반학번 / 이름제 출 일건강사정날짜주관적 자료"수술 부위가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세요" 객관적 자료약물복용 : 데노간NRS 통증평가 기록지기록일자시간통증유무통증점수양상빈도지속시간위치9/614:30유6쿡쿡 쑤시는날카로운간헐적10분 이내Abdomen9/615:30유3쿡쿡 쑤시는간헐적10분 이내Abdomen9/621:00유5쿡쿡 쑤시는 간헐적10분 이내op site9/76: 50유5쿡쿡 쑤시는간헐적10분이내Abdomen9/712:25유5날카로운 통증간헐적10분op site수술명 : cecectomy진단명 : appendicitis주증상 : abdominal pain, 과거력: 위암(10년전, 세브란스)-5년 F/U 완치간호진단#1. 수술로 인한 조직외상과 관련된 급성통증간호목표<장기목표>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통증이 3 이하로 유지된다.<단기목표>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사정 척도(NRS)에서 3 이하를 나타낸다.간호계획[진단적]1. V/S 4시간마다 사정한다.2.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고 말로 표현하게 한다.3. NRS 점수를 사정하고 기록한다.[치료적]1.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주입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한다.[교육적]1. PCA 사용법을 교육한다.2. PCA 부작용을 교육한다.3. EDBC를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이론적근거[진단적]1. V/S는 가장 기초적인 수단이다.2. 통증의 종류에 따라 간호중재가 달라진다.3. 통증을 객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준.[치료적]1. 약물이 확실하게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이다.[교육적]1. 통증조절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함이다.2.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함이다.3. 심호흡 유도를 통한 통증조절을 이끈다.간호수행[진단적]1. V/S 4시간마다 사정했다.날짜/시간SBPDBPHRRRBTSpO22023.09.06. 14:0018079792236.9972023.09.06 16:0012585711537.3952023.09.06 18:0014077841936.7100간호수행2. 통증의 형태와 정도를 사정하고 말로 표현하게 했다.9/614:30유6쿡쿡 쑤시는날카로운간헐적10분 이내Abdomen9/615:30유3쿡쿡 쑤시는간헐적10분 이내Abdomen9/621:00유5쿡쿡 쑤시는 간헐적10분 이내op site9/76: 50유5쿡쿡 쑤시는간헐적10분이내Abdomen9/712:25유5날카로운 통증간헐적10분op site3. NRS 점수를 사정하고 기록했다.9/614:30유69/615:30유39/621:00유59/76: 50유59/712:25유5[치료적]1. 필요시 처방된 약물을 주입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관찰했다.- PCA 데노간 1ample[교육적]1. PCA 사용법을 교육했다.2. PCA 부작용을 교육했다.3. EDBC를 통해 통증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교육했다.간호평가<장기목표>1. 대상자는 퇴원 전까지 통증이 3 이하로 떨어진다. (달성) -9/8 20:20 3점 측정.<단기목표>1. 대상자는 3일 이내에 통증 사정 척도(NRS)에서 3이하를 나타낸다. (달성) 데노간 1ample 투여 후 NRS 척도 3점 측정됨.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appendicitis(맹장염)
    appendicitis, 또는 맹장염은 맹장의 염증을 의미하는 질병입니다. 이는 급성 복통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맹장이 파열되어 생명을 위협할 수 있습니다. 주요 증상으로는 우하복부의 통증, 구토, 식욕 감소 등이 있으며, 조기 진단과 수술적 치료가 중요합니다. 최근에는 복강경 수술 기법의 발달로 수술 후 회복이 빨라지고 합병증 발생률도 낮아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맹장염은 응급 상황이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신속히 의사의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예방을 위해 균형 잡힌 식단과 규칙적인 운동 습관을 가지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