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일반생물학실험II 레포트 Exp.2 원생생물 관찰
본 내용은
"
고려대 일반생물학실험II 레포트 Exp.2 원생생물 관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1
문서 내 토픽
  • 1. 짚신벌레
    짚신벌레는 섬모충류로 저장액 환경으로부터 삼투압으로 물을 계속 섭취한다. 수축포는 방사상의 도관으로부터 잉여의 물을 축적하고 주기적으로 원형질막을 통해서 배출시킨다. 깔때기 모양의 구위(oral groove)를 따라 난 섬모가 먹이를 세포구로 이동시켜 이곳에서 먹이가 식세포작용으로 식포 내로 들어간다. 식포는 리소좀과 융합되어 있어 먹이가 소화됨에 따라 식포가 이동하며 노폐물은 원형질막의 특수한 부위가 식포와 융합될 때 방출된다. 이 분열로 무성적으로 생식하거나 유성생식인 접합을 통해 유전자를 교환하기도 한다.
  • 2. 먼지말
    먼지말은 단세포 녹조류로 편모가 없다. 대부분 단세포이지만 일부 속은 필라멘트라고 하는 세포 사슬을 형성한다. 몇몇 속은 필라멘트가 아닌 집락을 형성하며 개별 세포는 실 또는 모 세포벽의 잔재로 연결된다. 데스미드의 세포는 분리된 두 개의 대칭 구획으로 나뉘며 구형 핵이 있다. 각 반세포에는 대형 엽록체가 들어 있어 광합성을 한다. Desmids는 길쭉한 별 모양 및 둥근 모양 등 다양한 대칭적인 모양을 가지며 분비한다.
  • 3. 아메바
    Amoeba proteus는 관아메바류의 일종으로 귓붓이나 관 모양의 위족을 가진다. 토양, 담수, 해양 등 널리 서식하며 위족을 이용하여 이동하여 대부분 세균과 다른 원생생물을 섭취하는 종속영양생물이다.
  • 4. 규조류
    규조류는 부등편모생물로 식물의 광합성과 유사한 과정으로 광합성을 하는 독립영양생물로 해양 및 담수의 주요한 단세포성 식물성 플랑크톤이다. 세포벽에 규소(SiO2)를 침적하며 죽은 규조들이 규조토를 형성한다. 규조토는 filter로 쓰이기도 하며 곤충의 기도를 막아서 환경친화적 살충제로도 사용된다.
  • 5. 볼복스
    볼복스는 다세포성 담수 녹조류로 두 가지 유형의 분화된 세포를 가진다. 속이 빈 공의 형태로, 젤라틴성 세포외기질로 된 공의 벽에는 두 개의 편모를 가진 여러 세포들이 박혀 있고, 만약 분리되면 이 세포들은 생식을 하지 못한다. 볼복스는 유성생식 혹은 무성생식을 위해 특수화된 세포를 포함하고 있다.
  • 6. 유글레나류
    유글레나류 세포의 한쪽 말단부에 한 개 또는 두 개의 편모가 나오는 주머니가 있다. 일부 유글레나는 혼합영양생물이다. 햇빛이 있으면 독립영양생물이 되지만 햇빛이 없으면 환경으로부터 유기물을 흡수하는 종속영양생물이 된다. 많은 다른 유글레나류는 식세포작용으로 먹이를 삼킨 세포벽의 구멍에서 보호제 역할을 하는 반투명 젤라틴 점액을 다.
  • 7. 녹조류
    녹조류는 육상식물의 광합성색소와 동일한 엽록소 a,b와 카로틴을 지니며 녹조류(ex) 볼복스, 클라미도모나스)와 차축조류로 구분된다.
  • 8. 남조류
    남조류는 틸라코이드 막 구조를 가지고 있고 세포벽이 펩티도글리칸을 포함하며 구조적으로 보통 그람음성세균의 것과 비슷하다. 대부분의 단일세포 남세균에서는 틸라코이드막이 규칙적으로 세포질의 주변에 동심원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남세균의 주요 형태적 종류에는 단일세포, 집락성 세포, 사상 세포, 사상의 이형세포, 사상 의 가지형 세포등이 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짚신벌레
    짚신벌레는 단세포 원생동물로, 편모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물입니다. 짚신벌레는 세포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생물을 포식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이종영양생물입니다. 짚신벌레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입니다. 짚신벌레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2. 먼지말
    먼지말은 단세포 원생동물로, 편모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물입니다. 먼지말은 세포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생물을 포식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이종영양생물입니다. 먼지말은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입니다. 먼지말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3. 아메바
    아메바는 단세포 원생동물로, 가변적인 가성발을 이용하여 수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물입니다. 아메바는 다른 생물을 포식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이종영양생물입니다. 아메바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입니다. 아메바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의학, 환경 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메바에 의한 감염 질병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4. 규조류
    규조류는 단세포 미세조류로, 규산질 세포벽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모양과 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규조류는 수중에서 광합성을 하며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규조류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화석연료 생산, 화장품 및 의약품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규조류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5. 볼복스
    볼복스는 다세포 녹조류로, 구형의 군체를 이루며 수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입니다. 볼복스는 세포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볼복스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생물학, 환경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특히 볼복스의 군체 구조와 운동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 6. 유글레나류
    유글레나류는 단세포 편모충류로, 편모를 이용하여 수중에서 활발하게 움직이며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갈 수 있는 생물입니다. 유글레나류는 세포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으며, 다른 생물을 포식하여 영양분을 섭취하는 이종영양생물입니다. 유글레나류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생물입니다. 유글레나류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7. 녹조류
    녹조류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 미세조류로, 세포 내에 엽록소를 가지고 있어 광합성을 할 수 있습니다. 녹조류는 수중에서 활발하게 성장하며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녹조류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바이오 연료, 식품 및 사료 첨가제,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녹조류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8. 남조류
    남조류는 단세포 또는 다세포 미세조류로, 세포 내에 엽록소와 함께 다른 색소를 가지고 있어 다양한 색상을 나타냅니다. 남조류는 수중에서 활발하게 성장하며 생태계의 기초 생산자 역할을 합니다. 남조류는 수질 오염 지표생물로 활용되며, 독소를 생산하는 종이 있어 수질 관리에 중요한 생물입니다. 남조류에 대한 연구는 생물학, 환경 과학,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