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와 영상문화에서의 아우라와 응시개념의 변화
본 내용은
"
[영상문화의 이해 / 현대사회와 영상문화] 중간고사 / 발터 벤야민 '아우라' / 응시개념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1
문서 내 토픽
  • 1.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
    발터 벤야민은 예술작품의 원작에는 특별한 아우라(Aura)가 존재한다고 보았지만, 사진이나 영화와 같이 원본이 따로 없고 무한 복제되어 동시에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들에는 아우라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최근 NFT(Non-Fungible Tokens, 대체불가토큰)를 이용한 예술작품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원본 진품임을 인정받아 오히려 아우라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지만, 필자는 이에 회의적이다. NFT 시장의 어려움은 단순 '원본 진품 인증'만으로는 예술작품의 가치가 인정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술 발전의 정점인 현대의 예술작품에서 고고한 분위기를 느끼기는 어려울 수 있지만, '공유와 나눔의 가치'가 문명의 이기가 가져온 예술의 또 다른 아우라가 될 수 있다.
  • 2. 응시개념의 변화
    남성은 바라보고 여성은 바라봐진다는 응시개념의 변화를 잘 보여주는 사례로 박찬욱 감독의 영화 <아가씨>에 등장하는 히데코 역의 김민희 배우의 '낭독 씬'을 들 수 있다. 이 장면에서 히데코는 음란 서적을 당당하게 읽어 오히려 신사들을 노리갯감으로 만들며, 능동적 주체가 되고 신사들은 수동적 객체가 되어 응시개념의 변화가 이루어진다.
  • 3. 현대 시민의 능동적 정치 참여
    과거 대한민국의 정치체계가 폭력과 억압으로 얼룩져 있었다면, 현대에는 민주화로 인해 권위주의가 느슨해지며 시민들 스스로가 권력 및 정치 행사에 능동,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16~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을 위한 평화시위, 정부 부처 관계자들의 회식비 지출에 대한 시민단체의 정보공개 청구 등이 이를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처럼 현대의 시민들은 주체성을 갖고 정치에 참여하며, 이것이 문제의식을 갖고 사회를 바라보는 객관적 시각이 강조되는 이유이다.
  • 4. 코로나-19 대응과 개인정보 침해 문제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한 정부의 강력한 대응은 필요했지만, 이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가 제기되었다. CCTV 조회, 방문 식당 공개, 신용카드 사용처 조회 등의 조치는 공공의 안녕을 위해 필요했지만, 지나친 사생활 침해라는 비판도 있었다. 이는 정보화 시대에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의 이익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과도한 감시에 익숙해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사회 체제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잘못된 것을 판단할 수 있는 태도가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
    발터 벤야민의 '아우라' 개념은 예술작품의 고유한 분위기와 분위기를 나타내는 개념이다. 그는 기계복제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예술작품의 아우라가 사라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는 예술작품의 고유성과 진정성이 훼손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대 사회에서 예술작품의 아우라는 점점 더 약화되고 있지만, 여전히 예술작품의 고유한 분위기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아우라의 변화는 예술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2. 응시개념의 변화
    응시개념의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과 사회, 권력과 주체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전통적인 응시개념은 권력이 개인을 감시하고 통제하는 것을 의미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개인이 스스로 자신을 응시하고 관리하는 양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개인의 자기 통제와 자기 규율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정보와 행동이 더욱 투명해지면서, 개인은 스스로를 응시하고 관리하는 주체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응시개념의 변화는 현대 사회에서 개인의 자율성과 주체성이 강화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 3. 현대 시민의 능동적 정치 참여
    현대 사회에서 시민의 능동적 정치 참여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과거에는 시민들이 정치에 대해 수동적이었지만, 최근에는 시민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고 정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시민들이 자신의 권리와 이익을 보호하고자 하는 의지를 반영한다. 또한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인해 시민들이 정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면서, 시민들의 정치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다. 이러한 시민의 능동적 정치 참여는 민주주의 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정치 과정에 대한 시민의 관심과 참여를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 4. 코로나-19 대응과 개인정보 침해 문제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개인정보 침해 문제는 매우 중요한 쟁점이 되고 있다. 정부와 기관들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개인의 동선, 접촉자 정보 등을 수집하고 있지만, 이는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 안전 사이의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다. 개인정보 침해를 최소화하면서도 효과적인 방역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정부와 시민 사회의 협력이 필요하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법적 기준을 명확히 하고, 개인정보 활용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 코로나-19 대응 과정에서 개인정보 보호와 공공 안전의 균형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