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문서 내 토픽
  • 1. 톨스토이의 예술론
    톨스토이는 예술이 수백만 인간의 노력과 생명이 희생되고 인간 상호 간의 애정까지도 희생되는데도 불구하고 예술 그 자체의 본질이 명확하게 규정되어 있지 않다고 지적하며 문제의식을 제기했습니다. 그는 미에 관한 미학적 정의를 두 가지로 설명했는데, 하나는 미를 절대적인 것(관념, 정신, 의지, 신)의 표현이라고 보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미란 우리가 그 대상에 대해 개인적 이익을 갖지 않고 쾌감을 느끼는 것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톨스토이는 예술의 감염성이 예술의 가치를 측정하는 유일한 척도라고 주장했습니다.
  • 2. 톨스토이와 프로이트의 예술론 비교
    톨스토이는 예술이 감정에서 비롯된 예술의 감염성에서 시작된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프로이트는 인간 정신을 무의식, 전의식, 의식으로 구분하고 자아를 Id, Ego, Superego로 구성된다고 보았습니다. 프로이트는 Superego가 Id의 충동이 억압받은 뒤 도덕, 종교, 예술로 승화된 자아라고 보았고, 생의 본능과 욕망인 에로스와 죽음의 본능과 욕망인 타나토스 간의 투쟁에서 결정된 특수한 연극이 바로 예술이라고 주장했습니다.
  • 3. 톨스토이와 마르쿠제의 예술론 비교
    톨스토이와 마르쿠제는 당대의 사회를 비판하며 본인의 이론을 주장했다는 점에서 유사합니다. 톨스토이는 당대 상류 사회를 중심으로 통용되던 퇴폐 예술이 끼치는 심각한 악영향을 우려하면서, 당대의 예술계가 가진 문제점들을 타파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마르쿠제도 고도화된 산업 사회와 민주주의가 예술계에 끼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예술계가 현 사회에서 해야 하는 역할에 대해 주장했습니다.
  • 4. 톨스토이 예술론의 한계
    톨스토이가 주장했던 예술의 감염성에 관한 논리는 허술한 부분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술은 주관적인 경험이라고 보기 때문에, 각 개인이 작품과의 상호작용에서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감정이 일어나지 않는다고 해서 작품이 반드시 예술이 아니라고 단언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예술은 다양성을 포용해야 하며, 각자의 경험과 관점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톨스토이의 이론이 모든 예술을 포괄하는 데에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톨스토이의 예술론
    톨스토이의 예술론은 예술이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목적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는 예술이 진실을 전달하고 인간의 감정을 자극하여 도덕적 교훈을 줄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그의 예술론은 순수 예술을 거부하고 예술의 사회적 기능을 강조하였습니다. 그는 예술이 인간의 내면을 깨닫게 하고 도덕적 각성을 불러일으켜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러한 톨스토이의 예술론은 당시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지만, 예술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습니다.
  • 2. 톨스토이와 프로이트의 예술론 비교
    톨스토이와 프로이트는 예술에 대한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톨스토이는 예술이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목적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프로이트는 예술을 무의식의 표현이자 인간의 내면적 욕구 해소의 수단으로 보았습니다. 프로이트는 예술가의 창작 과정을 무의식의 발현으로 설명하며, 예술이 인간의 내면적 갈등을 해소하는 기능을 한다고 보았습니다. 반면 톨스토이는 예술이 도덕적 교훈을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예술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제한하고자 했습니다. 이처럼 두 사상가는 예술의 본질과 기능에 대해 상반된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 3. 톨스토이와 마르쿠제의 예술론 비교
    톨스토이와 마르쿠제는 예술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유사한 견해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톨스토이는 예술이 도덕적 교훈을 전달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마르쿠제 또한 예술이 사회 비판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마르쿠제는 예술이 억압된 인간의 내면적 욕구를 표현하고, 기존 사회 질서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처럼 두 사상가는 예술이 사회 변혁의 수단이 될 수 있다고 보았습니다. 다만 톨스토이가 예술의 도덕적 기능을 강조했다면, 마르쿠제는 예술의 해방적 기능을 더 강조했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 4. 톨스토이 예술론의 한계
    톨스토이의 예술론은 예술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지나치게 제한한다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그는 예술이 도덕적이고 종교적인 목적을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지만, 이는 예술의 본질적 특성을 간과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예술은 단순히 도덕적 교훈을 전달하는 수단이 아니라,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고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창의적 활동입니다. 톨스토이의 예술론은 예술의 자유로운 표현을 제한하고, 예술가의 창의성을 억압할 수 있습니다. 또한 그의 예술론은 예술의 다양성과 복잡성을 간과했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결국 톨스토이의 예술론은 예술의 본질을 지나치게 단순화하고 제한했다는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경북대 교양]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과제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0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