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중 패스 어셈블러의 알고리즘에 대하여 정리해보세요
본 내용은
"
이중 패스 어셈블러의 알고리즘에 대하여 정리해보세요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10
문서 내 토픽
  • 1. 이중 패스 어셈블러 알고리즘
    이중 패스 어셈블러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끝까지 소스 프로그램을 전체 스캐닝한 뒤 한 번 더 읽으며 전체 번역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번역기입니다. 첫 번째 패스 단계에서는 기호표를 형성하고 두 번째 패스에서는 번역하며 목적 프로그램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현재는 대부분 어셈블러가 이러한 방식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 2. 패스 1 알고리즘
    패스 1 알고리즘은 명령어의 크기, 형태 등을 나타내는 명령어 표를 참조하고 명령어의 상대 주소를 결정합니다. 또한, 기호표를 작성하고 기호 재배치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이 이루어집니다. 패스 1에서는 어셈블리 지시어를 구분하기 위해 코드의 세분화가 이루어집니다.
  • 3. 패스 2 알고리즘
    패스 2 알고리즘은 명령어 자체를 2진 코드로 대체하고 명령어 기호를 기호표에 나타난 값으로 대체하는 과정입니다. 패스 2에서는 어셈블리 지시어 처리 부분이 필요하기에 LC가 LC와 명령어 길이를 더한 것으로 대체되는 부분을 세분화해야 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이중 패스 어셈블러 알고리즘
    이중 패스 어셈블러 알고리즘은 어셈블리 언어 프로그램을 기계어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두 번의 패스를 거치는 방식입니다. 첫 번째 패스에서는 프로그램의 구조와 심볼 정보를 수집하고, 두 번째 패스에서는 실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합니다. 이 방식은 단일 패스 알고리즘에 비해 복잡도가 높지만, 프로그램의 구조를 더 잘 파악할 수 있어 오류 검출과 최적화에 유리합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크기가 크거나 복잡할수록 이중 패스 알고리즘의 장점이 더 부각됩니다. 하지만 두 번의 패스로 인해 처리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도 있습니다. 따라서 어셈블러 설계 시 이중 패스 방식과 단일 패스 방식의 장단점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 2. 패스 1 알고리즘
    패스 1 알고리즘은 이중 패스 어셈블러의 첫 번째 단계로, 프로그램의 구조와 심볼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프로그램의 각 섹션(코드, 데이터, 심볼 등)을 식별하고, 각 심볼의 위치와 값을 기록합니다. 또한 프로그램의 제어 흐름을 분석하여 점프 명령어와 레이블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정보는 두 번째 패스에서 실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할 때 사용됩니다. 패스 1 알고리즘은 프로그램의 구조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를 통해 오류 검출과 최적화가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추가적인 처리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 3. 패스 2 알고리즘
    패스 2 알고리즘은 이중 패스 어셈블러의 두 번째 단계로, 실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는 패스 1에서 수집한 프로그램의 구조와 심볼 정보를 활용하여 각 어셈블리 명령어를 해당하는 기계어 코드로 변환합니다. 또한 점프 명령어와 레이블 정보를 이용하여 제어 흐름을 구현하고, 심볼 테이블을 참조하여 주소 값을 계산합니다. 이를 통해 최종적인 기계어 프로그램이 생성됩니다. 패스 2 알고리즘은 패스 1에서 수집한 정보를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기계어 코드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두 번의 패스로 인해 전체 처리 시간이 늘어나는 단점이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