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D 변환기의 특징과 A/D 인터럽트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 및 사용시 유의사항
본 내용은
"
AD 변환기의 특징과 AD 인터럽트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 및 사용시 유의사항에 대해 설명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8
문서 내 토픽
-
1. A/D 변환기 특징A/D 변환기는 10bit 분해능으로 아날로그 전압을 10bit의 디지털 수로 표시할 수 있다. 변환시간은 13-260us이며 단극성 입력 채널이 8개로 22종류의 차동 입력이 가능하다. 내부 기준 전압은 2.56V이며 포트 F를 통해 입력되고 멀티플렉서에 의해 A/D 변환기에 연결된다. A/D 변환 결과는 16bit로 A/D 변환기 데이터 레지스터에 저장된다.
-
2. A/D 인터럽트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A/D 인터럽트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VREF 신호 결정, 2) A/D 변환기 활성화, 3) ADC 클록 선택, 4) 단일모드 또는 연속모드 선택, 5) 아날로그 신호 선택, 6) ADC 인터럽트 및 전역 인터럽트 활성화, 7) ADC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작성, 8) A/D 변환 시작 명령.
-
3. A/D 인터럽트 사용 시 주의사항연속모드 A/D 변환 시 13개의 ADC 클록 사이클마다 인터럽트가 발생하므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 수행 시간을 가능한 한 짧게 만들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CPU가 주된 프로그램을 수행할 시간이 줄어들게 되므로, 요청과 응답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형태이다.
-
1. A/D 변환기 특징A/D 변환기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중요한 전자 회로 장치입니다. A/D 변환기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분해능(resolution)으로,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몇 개의 디지털 레벨로 나누는지를 나타냅니다. 일반적으로 분해능이 높을수록 정밀도가 높아집니다. 둘째, 변환 속도(conversion speed)로, 이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나타냅니다. 변환 속도가 빠를수록 실시간 처리에 유리합니다. 셋째, 선형성(linearity)으로, 이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와 디지털 출력 신호 간의 선형적인 관계를 나타냅니다. 선형성이 높을수록 정확도가 높아집니다. 넷째, 입력 범위(input range)로, 이는 A/D 변환기가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 입력 신호의 범위를 나타냅니다. 입력 범위가 넓을수록 다양한 신호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A/D 변환기의 특징은 각 응용 분야의 요구사항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어야 합니다.
-
2. A/D 인터럽트 사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A/D 인터럽트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초기화 과정이 필요합니다. 먼저 A/D 변환기의 입력 채널을 선택하고 변환 속도, 분해능 등의 변환 옵션을 설정합니다. 그 다음 A/D 변환 완료 시 발생하는 인터럽트를 활성화하고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을 등록합니다. ISR에서는 A/D 변환 결과를 읽어 들이고 필요한 처리를 수행합니다. 마지막으로 A/D 변환을 시작하는 명령을 내립니다. 이러한 초기화 과정을 거치면 A/D 변환 완료 시 인터럽트가 발생하여 ISR이 실행되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이때 주의해야 할 점은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이 빨리 종료되도록 최적화하여 시스템의 응답성을 높여야 한다는 것입니다.
-
3. A/D 인터럽트 사용 시 주의사항A/D 인터럽트를 사용할 때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첫째,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ISR)의 실행 시간을 최소화해야 합니다. I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