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에 대해 설명하고
본 내용은
"
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에 대해 설명하고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6
문서 내 토픽
-
1. 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는 유엔 회원국의 전반적 인권 의무 이행상황에 대하여 4년에서 5년마다 정기적인 점검과 평가를 진행함으로써 인권상황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2006년 유엔 인권이사회가 설립되면서 새롭게 도입된 제도이며, 정부나 국가인권기구, NGO 등 다양한 기관에서 제출한 보고서 등을 기반으로 인권상황을 심의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항들을 권고하게 됩니다.
-
2. 제4차 보고서 권고 목록우리나라는 2023년 2월 1일 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 심의에 참여하여 제4차 보고서를 채택하였습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총 95개 유엔 회원국이 참여하여 263개 권고가 내려졌으며, 우리나라는 이 중 97개 권고에 대하여 수용 의사를 밝히고 나머지 165개 권고에 대해서는 제53차 유엔인권이사회까지 수용 여부를 밝히기로 했습니다. 인상 깊었던 권고 내용으로는 주거권 보장, 낙태죄 폐지, 아동학대 예방, 장애인 접근성 향상, 이주민 인권 보호 등이 있습니다.
-
1. 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유엔 인권상황 정기검토(UPR)는 유엔 회원국들이 자국의 인권 상황을 정기적으로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국제 메커니즘입니다. 이를 통해 각국 정부는 자국의 인권 실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고, 국제사회의 권고 사항을 토대로 인권 증진을 위한 정책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제4차 UPR 보고서에는 각국의 인권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권고 사항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성실히 이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각국의 인권 수준이 향상되고, 국제사회에서의 신뢰도 제고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
2. 제4차 보고서 권고 목록제4차 UPR 보고서에 포함된 권고 목록은 각국 정부가 인권 증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구체적인 과제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 권고 사항들은 국제 인권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각국 정부가 이를 성실히 이행한다면 국내 인권 상황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히 취약 계층의 인권 보호, 차별 해소, 언론·집회의 자유 보장, 고문 및 비인도적 처우 근절 등의 권고 사항은 매우 중요합니다. 각국 정부는 이러한 권고 사항을 적극적으로 이행하고, 그 이행 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여 국제사회의 신뢰를 얻어야 할 것입니다.
-
인권제도의 확산 및 역사 2페이지
국제사회의 인권문제를 대변하는 유엔의 인권 시스템이 확장되면서 대륙과 개별국가 단위로 이어지고 국가인권위원회 등의 국가별 이행체계가 만들어졌다. 최근에는 지방정부의 약 46%에서 인권이행체계가 생기고 인권 경영 및 행정이 도입되는 등 ‘인권에 기반을 둔 접근’(RBA) 과 인권 제도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유엔의 인권보장 시스템은 큰 틀에서 ‘유엔 헌장에 근거한 기구’와 ‘인권조약에 근거한 기구’로 구분된다. 유엔 헌장에 근거하여 유엔의 모든 기관은 직·간접적으로 인권보장과 관련된 임무를 수행한다. 그중에서도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2021.06.25· 2페이지 -
[인문사회]인류의 진보, 인권의 역사와 발전에 대하여 2페이지
"인류의 진보: 인권의 역사와 발전"‘인권’, 시간이 가면 갈수록 날로 중요해지는 개념이다.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는 ‘인권’과 멀어지려야 멀어질 수 없는 사이다. 지금에야 주위에서 많이 접할 수 있고 익숙한 단어지만 과거에도 그러했을까? 물론 그렇지 않다. 아주 옛날부터 현재로 오기까지 시대별로 발전에 발전을 거듭하여 지금의 모습을 갖춘 것이다.이 인권제도는 어떤 식으로 발전해왔을까? 과거엔 모든 사람이 인권을 보장받진 못했다. 근대 이전의 시민들은 왕과 귀족에게 차별을 받으며 생활해도 그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했다.하나 인권의 보...2024.04.02· 2페이지 -
국제인권규약의 제정배경과 종류, 제정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규약들이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관련법 5페이지
사회복지법제국제인권규약의 제정배경과 종류, 제정 내용에 대하여 설명하고, 이 규약들이 우리나라의 사회복지관련법과 인권관련 제도에 미친 영향에 대하여 논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 차 -Ⅰ. 서론Ⅱ. 본론1. 국제인권규약 제정배경 및 발달과정2. 국제인권규약과 우리나라Ⅲ. 결론Ⅳ. 참고자료Ⅰ. 서론우리나라는 1990년 7월 10일부터 ‘국제인권규약’인 ‘경제적·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A규약)’과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조약(B규약)’ 그리고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선택의정서‘의 당사국으로...2018.09.10· 5페이지 -
UN아동권리협약에 준한 아동권리침해와 아동권리존중이 지켜진 구체적 사례를 각 3가지씩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권리지킴이로서의 평가와 아동권리 존중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9페이지
UN아동권리협약에 준한 아동권리침해와 아동권리존중이 지켜진 구체적 사례를 각 3가지씩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아동권리지킴이로서의 평가와 아동권리 존중에 대한 바람직한 방향에 대하여 논하시오목 차Ⅰ. 서론 : UN아동권리협약의 주요내용 설명Ⅱ. 본론 : 자신 및 주변(방송 매체포함)을 통해 경험한 아동권리침해와 아동권리존중의 구체적 사례를 각3가지씩 이상 서술 (방송매체 및 보도자료 경우 출처 명시)1. 아동권리침해 사례 3가지씩1) 아동 체벌 사례(1) 사례 개요(2) 사례에 대한 아동권리 지킴이로서의 평가2) 아동 방임 사례(1)...2013.10.22· 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