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과학적 접근으로서 이타주의 행동이론과
본 내용은
"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 참여 동기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과학적 접근으로서 이타주의 행동이론과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6
문서 내 토픽
  • 1. 자원봉사 활동 참여동기
    자원봉사 활동은 복지정책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사회취약계층 사람에게 중요하다. 하지만 자원봉사자가 중도에 포기하게 되면 자원봉사 활동에서 심각한 문제가 나타난다. 이에 따라 자원봉사자의 지속성을 유지하기 위해 참여동기는 중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자원봉사는 봉사활동에 대한 참여동기가 분명하며 자원봉사자가 스스로 이러한 동기를 인식해야 성공적인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며 지속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유지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 2. 이타주의적 행동이론
    이타적 동기는 크게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사회생물학적인 접근이다. 동물학자인 윌슨은 사회적 행동은 생존을 위한 각 종의 사회생물학적인 적응성을 극대화하는 기제로 진화한다고 보았다. 이는 자원봉사 활동과 같은 인간의 이타적인 행동은 기본적으로 유전적, 생태적 근원을 지닌다는 것을 뜻한다. 두 번째로 사회학습이론 접근이다. 사회학습이론에서는 이타주의 반응은 이러한 반응이 강화한 경험이 있기에 나타나는 것으로 이러한 반응은 지속적인 학습강화를 통해 개인행동이 가족, 또래 동료에 의해 사회화하며 학습화한다. 세 번째로 사회 규범적 접근이다. 이는 문화적 접근으로 인간사회에서 규범이 이타주의 발생과 이타적인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 3. 이기주의적 행동이론
    이기주의적 행동이론도 몇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매슬로우의 욕구 단계이론이다. 매슬로우에 따르면 개인은 피라미드 형태로 정돈한 여러 욕구를 지니고 욕구 충족은 행동을 동기화한다. 두 번째로 허즈버그의 동기위생이론이다. 위생요인, 동기요인은 기관,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자원봉사 활동과도 관련이 깊은 요인으로 작용한다. 세 번째로 맥클리랜드의 성취동기이론이다. 맥클리랜드는 개인 업무성과는 개인이 지닌 성취욕구 정도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으로 보고 인간은 권력에의 욕구, 성취욕구, 친애 욕구 세 가지를 지닌다고 본다. 네 번째로 브롬의 기대이론이다. 기대이론은 노력 성과 기대, 성과 보상 기대, 개인의 유인성이라는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하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원봉사 활동 참여동기
    자원봉사 활동에 참여하는 동기는 매우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타주의적 동기에서 자원봉사에 참여하는데, 이는 타인을 돕고 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마음에서 비롯됩니다. 반면 다른 이들은 자신의 개인적 이익이나 만족감을 얻기 위해 자원봉사에 참여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새로운 경험을 얻거나 자신의 기술을 발휘하고자 하는 동기 등입니다. 또한 자원봉사 활동이 개인의 가치관이나 신념과 부합하는 경우에도 참여 동기가 될 수 있습니다. 결국 자원봉사 참여 동기는 개인마다 다양하며, 이타주의와 이기주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2. 이타주의적 행동이론
    이타주의적 행동이론은 개인이 타인의 이익을 위해 자신의 이익을 희생하는 행동을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타인의 필요를 인식하고 이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발적으로 행동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타주의적 행동은 개인의 도덕적 가치관, 공감 능력, 사회적 규범 등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이 타인의 고통을 공감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동기가 강할수록 이타주의적 행동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으로 이타주의적 행동이 장려되는 경우에도 개인의 이타주의적 행동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타주의적 행동이론은 개인의 이타적 동기와 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틀을 제공합니다.
  • 3. 이기주의적 행동이론
    이기주의적 행동이론은 개인이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려는 동기에 의해 행동한다고 설명합니다. 이 이론에 따르면, 개인은 자신의 욕구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행동합니다. 예를 들어 개인은 자신의 경제적 이익, 사회적 지위, 명성 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수 있습니다. 이기주의적 행동이론은 개인의 합리적 선택과 이익 극대화 행동을 설명하는 데 유용하지만, 개인의 이타적 행동이나 도덕적 행동을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실제로 개인의 행동은 이기주의와 이타주의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기주의적 행동이론만으로는 인간 행동의 다양성을 충분히 설명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주제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