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환경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 답안 핵심 정리집
본 내용은
"
수질환경기사 실기 필답형 기출 답안 핵심 정리집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5
문서 내 토픽
  • 1. 트리할로메탄 생성속도에 미치는 수질인자
    1정수장에서 수돗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트리할로메탄의 생성속도에 다음 수질인자가 미치는 영향을 기술하시오.1. 수온이 높을수로고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2. pH가 높을수록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3. 불소 농도가 높을수록 THM 생성속도가 증가한다.
  • 2. SBR의 장점
    2연속흐름반응조와 비교하여 SBR의 장점 6가지 서술1. 침전설비, 반송설비가 필요 없다.2. 수리학적 과부하에도 MLSS 유출이 없다.3. 공정의 변경이 용이하다.4. 운전방식에 따라 사상균 벌킹을 방지할 수 있다.5. 유입오수의 부하변동이 규칙성을 갖는 경우 비교적 안정된 처리를 행할 수 있다.6. 오수의 양과 질에 따라 포기시간과 침전시간을 비교적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 3. 유량측정기
    3가) 유량측정기 5가지나) 이중 공정수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기 3가지가) 벤튜리미터, 유량측정용 노즐, 오리피스, 피토우관, 자기식유량측정기나) 유량측정용 노즐, 오리피스, 자기식유량측정기
  • 4. 탈질산화 공정의 유기물 공급원
    4생물학적 탈질산화 공정에 이용되는 탈질산화세균은 에너지원 및 세포합성을 위한 탄소원으로서 용존유기물질을 필요로 한다. 그러한 유기물질을 얻을 수 있는 형태(방법)를 3가지 쓰시오.1. 유입하수 내 유기물질2. 박테리아 등의 내생탄소원3. 초산,메탄올 등의 외부탄소원
  • 5. DO 감소 원인 추정 알고리즘
    5DO가 감소하는 원인 추정 알고리즘1. MLSS가 높다→활성슬러지 색은 변함 없다→반송슬러지 농도 높다.2. MLSS는 변함 없다→산소이용속도는 변함 없다→수온은 변함없다3. MLSS는 변함 없다→산소이용속도가 크다→용해성 BOD가 높다1. 미생물이 자산화하면서 산소소비가 많다.2. 산기장치의 문제3. F/M비 상승으로 미생물이 대수성장하여 산소소비속도가 크다.
  • 6. 침전의 형태
    6침전의 4가지 형태를 구분하고 설명하시오1. Ⅰ형침전(독립침전)2. Ⅱ형침전(응결침전)3. Ⅲ형침전(지역침전)4. Ⅳ형침전(압축침전)1. 응결되지 않은 독립입자의 침전으로 침사지의 모래 등이 여기에 해당하고 침강속도는 스톡스식에 따름2. 현탁입자가 침전하면서 floc을 형성하여 침전속도가 증가한다. 화학침전지의 침전이 여기에 해당함.3. 입자가 서로 방해를 받아 침강속도가 감소한다. 이 때부터 상등액과 슬러지의 경계면이 뚜렷해짐.4. 침전하는 floc의 무게에 의해 수분이 용출되고 점점 압축되는 침전의 형태
  • 7. 수처리시설 관로의 손실수두
    7다음과 같은 수처리시설의 두 탱크 사이의 관로(1 – 2)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수두 명칭 5가지를 나열하라 ① ②굴곡손실수두, 밸브설치부손실수두, 확대관손실수두, 축소관손실수두, 마찰손실수두
  • 8. MBR 공법의 원리와 특징
    8MBR의 하수처리 원리(방법)를 기술하고, 특징5가지1. 원리2. 특징1. 생물반응조와 분리막을 결합하여 2차침전지를 대체하는 시설로서, 슬러지 벌킹이 없고 고농도의 MLSS를 유지하여 고도의 BOD와 SS제거가 실현되는 공법2. 특징- 긴 SRT로 인하여 슬러지 발생량이 적다.- 적은 소요부지로 부지이용성이 탁월하다.- 생물학적 공정에서 문제시 되는 2차침전지의 침강성에 대한 문제가 없다.- 완벽한 고액분리가 가능하며 높은 MLSS 유지가 가능해 지속적으로 안정된 처리수질을 획득할 수 있다.- 분리막의 유지보수비용, 특히 분리막의 교체비용 등이 과다하다.
  • 9. 전도현상 발생 원인
    9봄,가을에 전도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봄 : 기온이 높아짐에 따라 겨울철 낮은 표면수온이 점차 높아지면서 밀도가 높아지므로가을 : 기온이 낮아짐에 따라 여름철 높은 표면수온이 점차 낮아지면서 밀도가 높아지므로
  • 10. DO 감소 원인 추정 알고리즘
    10다음 표는 폭기조 내 혼합액의 DO가 감소하는 원인을 추정하기 위한 알고리즘이다. 가,나,다에 해당하는 원인을 쓰시오DO감소MLSS가 높다 MLSS는 변함 없다활성슬러지 색은 변함 없다.반송슬러지 농도 높다 산소이용속도는 변함없다 산소이용속도가 크다 (가) 수온은 변함없다 용해성 BOD가 높다 (다) 산기관이 막힌다 (나)가) 미생물이 자산화하면서 산소소비가 많다나) 산기장치의 문제 (산기장치 용량부족, 산기장치 개수부족 등)다) F/M비 상승으로 미생물이 대수성장하여 산소소비 속도가 크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제2: SBR의 장점
    SBR(Sequencing Batch Reactor)은 회분식 활성슬러지 공법의 한 형태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첫째, 단일 반응조에서 모든 처리 공정(유입, 반응, 침전, 배출)이 이루어져 공간 활용도가 높습니다. 둘째, 유량 변동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어 운전 효율이 높습니다. 셋째, 간헐적 폭기로 에너지 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넷째, 질소 및 인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인해 SBR은 소규모 하수처리장이나 산업폐수 처리에 널리 활용되고 있습니다.
  • 2. 주제4: 탈질산화 공정의 유기물 공급원
    탈질산화 공정에서 유기물은 전자 공여체 역할을 하며, 질산염 제거에 필수적입니다. 일반적으로 메탄올, 에탄올, 아세트산 등의 외부 유기물이 사용되지만, 경제성 및 운전 편의성 측면에서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하수 내 유기물, 산업폐수, 농업 부산물 등의 내부 유기물 공급원 활용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이들 유기물의 특성, 처리 효율, 운전 조건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최적의 유기물 공급원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주제6: 침전의 형태
    수처리 공정에서 침전은 중요한 단위 공정 중 하나입니다. 침전의 형태는 플록 침전, 입자 침전, 계면 침전 등으로 구분됩니다. 각 침전 형태는 슬러지 특성, 운전 조건, 처리 목적 등에 따라 달리 나타납니다. 침전 형태에 따라 침전 속도, 슬러지 농도, 상등액 수질 등이 달라지므로, 공정 운전 시 침전 형태를 고려하여 최적의 조건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응집제 투입, 폭기 등의 방법으로 침전 형태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
  • 4. 주제8: MBR 공법의 원리와 특징
    MBR(Membrane Bioreactor) 공법은 활성슬러지 공정과 막 분리 공정을 결합한 하수 처리 기술입니다. MBR의 핵심 원리는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 제거와 막 여과를 통한 고액 분리입니다. MBR의 주요 특징으로는 높은 처리 효율, 소규모 부지 활용, 안정적인 수질 등이 있습니다. 또한 막 오염 관리, 에너지 절감, 운전 최적화 등의 기술 개선을 통해 MBR 공법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향후 MBR 기술의 지속적인 발전이 기대됩니다.
  • 5. 주제10: DO 감소 원인 추정 알고리즘
    이 주제는 앞서 다룬 주제5와 유사합니다. 용존산소(DO) 농도 감소는 수처리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문제 중 하나입니다. DO 감소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문제 해결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DO 감소 원인 추정 알고리즘은 운전 데이터 분석, 공정 모델링, 경험적 지식 등을 활용하여 DO 감소 원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적절한 대응 방안을 수립할 수 있으며, 수처리 시설의 안정적인 운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