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계획 [수치정리] / 건축기사, 공기업 준비
문서 내 토픽
  • 1. 주택 계획
    주택의 순수 주거면적은 연면적의 30~50% 정도이며, 대지면적은 건축면적의 2~3배 정도가 적절합니다. 1인당 주거면적은 최소 14m2, 표준 25m2 정도가 적절합니다. 숑바르 드 로브의 한계는 9m, 병리는 12m, 표준은 18m입니다. 프랑크프르트 암마인에서는 1인당 20m2, 세계가족단위협회(코르노)와 퀼른에서는 1인당 30m2가 적절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2. 배치 계획
    건물은 동서로 긴 형태가 이상적이며, 남북 방향으로 최소 4시간 이상의 일조를 확보해야 합니다. 동서 방향으로는 최소 6m 이상의 이격 거리를 두어야 합니다. 거실은 전체 면적의 50% 이상, 부엌은 10~15%, 복도는 10%, 현관은 5% 정도가 적절합니다.
  • 3.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계획
    단독주택은 연면적 500m2 이하, 3층 이하, 다가구주택은 연면적 660m2 이하, 4층 이하, 아파트는 5층 이상, 기숙사는 전체 세대의 30% 이상이 공동취사시설을 이용하도록 하며, 다세대주택은 660m2 이하, 4층 이하, 연립주택은 660m2 초과, 4층 이하로 계획합니다.
  • 4. 블록플랜 및 도로 계획
    블록플랜은 4면 이상 외기에 면하도록 하며, 거실은 모퉁이에 배치하지 않습니다. 현관-계단은 10m 이내에 배치합니다. 7층 이상 공동주택의 화물용 승강장은 3.5m x 2.5m 이상, 적재하중 1톤 이상으로 계획합니다. 중복도형 공동주택의 경우 30세대까지 1대, 그 후 20세대마다 1대씩 추가로 설치합니다.
  • 5. 근린주구 계획
    하워드의 전원도시 모델에서는 인구 5,000명, 면적 400ha 정도가 적절합니다. 페리의 근린주구 모델에서는 반경 400m, 녹지면적을 전체 주구의 10% 이상으로 계획합니다. 인보구는 500~800호/20~40ha, 근린분구는 800~1,200호/40~60ha, 근린주구는 1,200~2,400호/60~120ha, 근린지구는 120ha/12,000명 정도가 적절합니다.
  • 6. 도로 계획
    주간선도로는 폭 25m 이상, 보조간선도로는 15~20m, 집산도로는 12~15m, 국지도로는 12m 이하로 계획합니다. 보행자도로는 도로폭이 7m일 경우 보도폭 2m가 필요합니다. 간선도로에서 횡단보도는 100m마다 설치하며, 교차지점 간격은 50m 이상, 교차각은 60도 이상이 적절합니다.
  • 7. 업무 건축 계획
    업무 건축물의 유효율은 70% 정도이며, 연면적은 20m2/인 정도가 적절합니다. 사무실 건축 크기는 사무원 수에 따라 결정되며, 임대면적은 10m2/인 정도가 적절합니다. 고층 빌딩의 경우 전면도로 폭은 20m 이상이 필요합니다.
  • 8. 은행 계획
    은행 연면적은 행원 수에 따라 결정되며, 영업실 면적은 행원 수 x 10m2 정도가 적절합니다. 객장(고객 대기실) 최소폭은 5m, 고객용 로비면적은 0.5~1.0m2/1일 평균고객수 정도가 적절합니다.
  • 9. 백화점 계획
    백화점 규모는 중소 10,000~20,000m2, 중규모 20,000m2, 대규모 30,000~50,000m2 정도가 적절합니다. 출입구는 도로에 면하여 30m에 1개소 설치합니다. 매장면적은 연면적의 60~80% 정도이며, 진열장 면적은 순수매장면적의 20~30%, 통로 면적은 20~30% 정도가 적절합니다.
  • 10. 학교 계획
    초등학교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15m2, 교사 소요면적은 3~4m2, 중학교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20m2(480명 이상 시 25m2), 교사 소요면적은 4~5m2, 고등학교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10m2(농업/공업 110m2), 교사 소요면적은 5~6m2, 대학교 학생 1인당 점유면적은 10m2, 교사 소요면적은 6~8m2 정도가 적절합니다.
  • 11. 도서관 계획
    도서관 면적 구성비는 열람공간 40%, 수장공간 30%, 기타 30% 정도가 적절하며, 장래 확장을 고려하여 최소 20% 이상의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 합니다. 서고 면적은 1권당 0.01~0.02m2, 1m3당 30~40권, 1m당 60~80권 정도가 적절합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주택 계획
    주택 계획은 거주자의 생활 패턴과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합니다. 주택의 규모, 배치, 동선, 채광 및 환기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지역의 기후와 문화적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의 형태와 재료를 선택해야 합니다. 주택 계획은 거주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주거 환경을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배치 계획
    배치 계획은 주택, 도로, 녹지 등 다양한 요소들의 상호 관계를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주택의 배치는 일조, 통풍, 프라이버시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하며, 도로와 보행자 동선, 주차 공간 등도 함께 계획되어야 합니다. 또한 녹지 공간의 배치를 통해 쾌적한 주거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배치 계획은 주거지의 기능성과 미적 가치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3. 단독주택 및 공동주택 계획
    단독주택과 공동주택은 거주자의 생활 방식과 요구사항이 다르므로, 각각의 특성을 고려한 계획이 필요합니다. 단독주택은 개인의 프라이버시와 자유로운 생활 공간을 제공하지만, 공동주택은 효율적인 토지 활용과 편의 시설 공유 등의 장점이 있습니다. 계획 시에는 주택 유형에 따른 동선, 공간 구성, 외관 디자인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거주자의 편의성과 안전성, 지속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 4. 블록플랜 및 도로 계획
    블록플랜과 도로 계획은 주거지의 전체적인 구조와 기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블록플랜은 주택, 도로, 녹지 등의 배치와 규모를 결정하며, 도로 계획은 차량과 보행자의 동선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이 두 계획은 상호 연계되어 있으며, 주거지의 접근성, 안전성, 쾌적성 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지역의 특성과 미래 변화를 고려하여 유연성 있게 계획되어야 합니다.
  • 5. 근린주구 계획
    근린주구 계획은 주거지의 생활 편의성과 커뮤니티 형성을 위해 중요합니다. 근린주구 내에 필요한 시설과 서비스를 적절히 배치하고, 보행자 중심의 동선을 계획해야 합니다. 또한 공원, 광장, 커뮤니티 시설 등의 공공 공간을 통해 주민들의 교류와 활동을 지원해야 합니다. 근린주구 계획은 주거지의 지속가능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6. 도로 계획
    도로 계획은 주거지의 접근성과 교통 흐름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차량 동선과 보행자 동선을 분리하고, 적절한 도로 폭과 교차로 설계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해야 합니다. 또한 대중교통 및 자전거 도로 등 다양한 교통수단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도로 계획은 주거지의 편의성과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7. 업무 건축 계획
    업무 건축 계획은 업무 공간의 효율성과 근로자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업무 공간의 배치와 동선, 채광과 환기, 편의 시설 등을 고려하여 계획해야 합니다. 또한 업무 공간과 휴게 공간, 주차 공간 등의 균형을 이루어야 합니다. 업무 건축 계획은 근로자의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8. 은행 계획
    은행 계획은 고객의 편의성과 보안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은행 내부의 동선과 공간 배치, 창구 및 대기 공간의 설계, 보안 시설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또한 은행의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외관 디자인도 중요합니다. 은행 계획은 고객 만족도와 업무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9. 백화점 계획
    백화점 계획은 고객의 쇼핑 경험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상품 진열과 동선, 편의 시설, 휴게 공간 등을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백화점의 이미지와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반영한 실내 디자인과 외관 디자인이 중요합니다. 백화점 계획은 고객 만족도와 매출 증대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 10. 학교 계획
    학교 계획은 학생들의 교육적 요구와 안전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교실, 실험실, 도서관, 체육관 등 다양한 교육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학생들의 휴식과 활동을 위한 공간, 교직원 공간, 주차 공간 등도 함께 계획되어야 합니다. 학교 계획은 학생들의 학습 환경과 교육 효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 11. 도서관 계획
    도서관 계획은 이용자의 편의성과 접근성을 고려하여 수립되어야 합니다. 도서 열람실, 멀티미디어 공간, 휴게 공간 등 다양한 기능 공간을 효율적으로 배치해야 합니다. 또한 자연 채광과 환기, 정보 기술 인프라 등 도서관의 기능성을 높이는 요소들도 고려해야 합니다. 도서관 계획은 이용자의 만족도와 지역 사회의 지적 자산 형성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건축계획 [수치정리] / 건축기사, 공기업 준비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