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병리학 레포트] 세균성 식물병 종류에 대한 보고서
본 내용은
"
[식물병리학 레포트] 세균성 식물병 종류에 대한 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9.01
문서 내 토픽
-
1. 세균성 더뎅이병 (Bacterial spot)토마토와 고추의 세균성 더뎅이병(bacterial spot)은 Xanthomonas campestris pv. Vesicatoria 에 의해 전세계적으로 발생한다. 병원세균의 각각 다른 균주가 고추와 토마토 모두에, 또는 고추에만, 또는 토마토에만 병을 일으킨다. 이 병은 잎, 줄기, 열매에 피해를 입힌다. 잎에서의 병징은 작은 부정형의 검은 점무늬로 나타난다. 많은 점무늬는 잎을 황화시키고, 찢어진 형태를 갖게 하며 떨어지게 한다. 꽃의 감염은 일반적으로 심각한 낙화를 가져온다. 과실의 표면은 거칠어져서 결국에는 표피가 벗겨져 뒤로 말리는 현상을 초래한다. 이 병원세균은 종자 채취과정에서 종자에 오염되어 또는 토양 속의 감염 식물체 잔제에서, 그리고 잡초나 다른 기주에서 월동한다. 이 병의 방제수단으로는 오염되지 않은 종자나 유묘의 사용, 저항성 품종의 이용, 돌려짓기, mancozeb나 meneb와 구리화합물의 살포 등을 들 수 있다.
-
2. 감자 둘레썩음병 (Ring rot)감자 둘레썩음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은 Clavibacter michiganense subsp. Sepedonicum 이다. 이 병은 주로 북미지역이나 유럽대륙에서 피해가 심하다. 씨감자의 엄격한 조사와 검역으로 이 병은 채종지에서는 거의 없어졌으나 채종지나 농장에서 운반 장비나 도구에 의한 오염으로 가끔씩 대발생한다. 감염 식물은 완전히 성숙될 때까지 일반적으로 지상부에 병징을 나타내지 않는다. 나타난다 해도 늦은 시기에 나타나 노화와 구분하기 어려워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감염된 줄기의 잎에는 엽병 사이가 황색으로 변하고 잎의 끝 부분이 위로 말리고 결국 괴사한다. 잎의 시들음이 뒤 따르고, 전체 잎이 시들을 때까지 계속되어 결국 줄기가 죽는다. 이 병은 각 식물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괴경에 영향을 미친다. 병징은 괴경의 줄기 끝에서 시작되어 유관속 조직을 통해 진전된다. 괴경을 잘랐을 때 감염 괴경의 유관속이 연한 노란색으로 변해 원을 형성한 것과 그 괴경을 꽉 눌렀을 때 세균덩어리를 볼 수 있다. 병이 진전됨에 따라 노란색 내지 연한 갈색의 썩은 부분이 유관속 원을 따라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병징을 나타내는 감자 둘레썩음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건전한 씨감자 괴경을 사용해야 한다.
-
3.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 (Bacterial wilt)세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토양전염성 세균병으로 기주 범위가 극히 넓어서 가지과 작물을 포함한 33과 270여종 이상의 기주를 침해한다. 7~8월경의 고온기에 발생하여 큰 피해를 준다. 풋마름병의 병징으로는 줄기나 잎이 시들어서 풋마름 증상을 나타낸다. 병이든 피해주를 절단하여 보면 병원세균의 물관 침입에 의하여 유관속 부위는 갈변되어 있고 물관에서 회백색의 즙액을 분비하며 병든 식물은 잘라서 물에 넣어보면 절단부위로부터의 세균누출을 볼 수 있다. 병이 진전되면 병원세균이 생성하는 효소(cellulase 및 pectinase)와 독소(glycoprotein)에 의하여 기주의 도관세포와 조직이 침해되어 말라 죽게된다. 대표적으로 Ralstonia solanacearum 에 의해 발생하며, 본 병원 세균은 생화학적 특성, 혈청 및 파아지의 반응 또는 박테리오신(Bacteriocin) 등에 의해서 40개의 group으로 나눌 수 있다.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병에 걸렸던 기주식물가 아닌 다른 작물로 4~5년간 윤작을 한다. 또는 저항성 품종(담배; NC82) 및 저항성 대목(토마토; 홍진101호, 내병신교, LS-89, BF, 앙카-T등 및 고추; TE-412)을 이용한 접목재배를 하는 것도 방법이다. 그리고 토양을 증기 또는 클로로피크린(choloropicrin) 등으로 살균하고, 일단 발병된 곳에서는 될 수 있는 대로 건전주의 뿌리에 상처를 주지 않도록 중경을 하지 않는다. 논에서는 토양 중의 균이 1년 내에 사멸됨으로 논으로 이용 후 밭으로 사용하는 것도 방법이다.
-
4. 귤 궤양병 (Citrus canker)귤 궤양병은 온도가 20~30°C이며 습기가 많은 곳에서 발생이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감귤의 주산지인 제주도에서 발생이 심한데, 5, 6월에 발생이 시작되어 8, 9월경에 그 최성기를 이룬다. 귤 궤양병은 보통 잎, 가지, 과실에 발병한다. 잎에서는 처음에 잎의 뒷면에 황색의 수침상의 작은 병반이 만들어지는데, 이 병반은 원형으로 되고 앞뒤로 융기된다. 병세가 진전됨에 따라 병반의 중앙은 회백색으로 변하고 궤양상 병반이 만들어진다. 병반의 주위에는 노란 테가 만들어지는데, 병이 든 잎은 떨어지기 쉽다. 가지나 과실에서도 잎에서와 같은 궤양상 병반으로 되는데 병반 주위에는 잎에서와 같은 노란 테는 형성되지 않으며 이로 인하여 과실이 썩거나 떨어지는 일은 없다. 병원균으로는 Xanthomonas axonopodis pv. Citri 가 있다. 본 병원체는 발육은 5~38°C에서 행하여지며, 52°C 10분간 처리에 의해 사멸될 수 있다. 그리고 이 균은 병든 식물의 병환부에서 월동하여 다음 해의 제1차 전염원이 되며 토양에서는 곧 죽어 버린다. 이를 방제하기 위해서는 무병주를 골라 심고 병환부를 제거하여 소각해야 한다. 방제 약제로는 농용신수화제, 가스란수화제, 젯트 보르도 수화제, 엠지스 수화제, 쿠퍼수화제 및 스트렙토마이신 황산염-옥시테트라 싸이클린 수화제 등이 있는데, 병균의 증식기인 3월 하순에 1차 방제약제 살포를 행하고, 5월 하순경과 7월 상순부터 7~10일 간격으로 약제를 살포한다.
-
5. 콩 세균성점무늬병(Bacterial blight)본 병은 만연될 경우 10% 이상의 감수를 가져오는 무서운 병으로 우리 나라에서는 1914년 수원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콩 세균성점무늬 병은 주로 잎에 발생하는데, 떡잎, 잎자루, 줄기 및 콩 꼬투리에도 발병된다. 잎에서는 처음에 원형 또는 다각형의 수침상의 병반을 만드는데, 이 병반은 1~2mm 정도가 되면 흑갈색 내지 검은색으로 되고 병반의 주위에는 노란 테가 형성된다. 병세가 심할 경우에는 병반은 서로 합쳐져서 누더기 모양으로 되고 잎은 떨어지게 된다. 잎자루나 줄기 및 콩 꼬투리에서도 잎에서와 같은 수침상의 병반을 형성하는데, 중안부는 다소 움푹 들어가서 즙액을 분비한다. 병원 세균으로는 Pseudomonas savastanoi pv. glycinea 가 있으며, 본 병원체의 최적 발육 온도는 25~27°C, 최고온도는 37°C, 최저온도는 3°C로서 사멸온도는 47°C이다. Streptomycin의 100r/ml에서 발육이 저지된다는 특징이 있다. 해당 병을 방제하기 위해서는 병든 잎과 줄기를 제거하여 소각하고 건전종자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또한, 상습 발생지에서는 윤작을 행하며 병 발생이 인정될 경우에는 농용신 수화제 및 스트렙토마이신 황산염, 옥시테트라싸이클린 수화제를 7일 간격으로 살포하는 것도 방법이다.
-
1. 세균성 더뎅이병 (Bacterial spot)세균성 더뎅이병은 토마토, 고추, 가지 등 가지과 작물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로, 잎과 과실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점 커져 병반이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병은 습도가 높고 온도가 15-30도 사이일 때 잘 발생하며, 병든 식물체나 토양, 물, 농기구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병든 식물체 제거, 적절한 관수, 살균제 사용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병에 강한 품종 선택, 윤작 등의 예방 대책도 중요합니다.
-
2. 감자 둘레썩음병 (Ring rot)감자 둘레썩음병은 감자 줄기와 괴경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로, 감자 생산에 큰 피해를 줍니다. 이 병은 감자 괴경 내부에 갈색 반점이 생기고 점점 확대되어 결국 괴경 전체가 썩는 특징이 있습니다. 병원균은 토양이나 감자 종서, 농기구 등을 통해 전염되며, 습도가 높고 온도가 15-25도일 때 잘 발생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건전한 종서 사용, 윤작, 병든 식물체 제거, 살균제 사용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병에 강한 품종 선택도 중요한 예방책입니다.
-
3. 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 (Bacterial wilt)가지과 작물의 풋마름병은 토마토, 고추, 가지 등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로, 식물체 전체가 시들어 죽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병은 토양에 서식하는 병원균이 뿌리를 통해 침입하여 식물체 내부로 퍼져나가면서 발생합니다. 습도가 높고 온도가 25-35도일 때 잘 발생하며, 병든 식물체나 토양, 물, 농기구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병에 강한 품종 선택, 윤작, 토양 소독, 병든 식물체 제거, 살균제 사용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
4. 귤 궤양병 (Citrus canker)귤 궤양병은 귤, 레몬 등 감귤류 작물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로, 잎과 과실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점 커져 궤양이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병은 습도가 높고 온도가 20-35도일 때 잘 발생하며, 병든 식물체나 물, 농기구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병에 강한 품종 선택, 병든 식물체 제거, 살균제 사용, 적절한 관수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병원균의 확산을 막기 위해 격리 재배, 소독 등의 예방 대책도 중요합니다.
-
5. 콩 세균성점무늬병(Bacterial blight)콩 세균성점무늬병은 콩에 발생하는 세균성 병해로, 잎과 줄기, 꼬투리에 작은 반점이 생기고 점점 커져 병반이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 병은 습도가 높고 온도가 20-30도일 때 잘 발생하며, 병든 식물체나 종자, 물, 농기구 등을 통해 전염됩니다. 효과적인 방제를 위해서는 병에 강한 품종 선택, 건전한 종자 사용, 병든 식물체 제거, 살균제 사용, 적절한 관수 등의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합니다. 또한 윤작, 토양 소독 등의 예방 대책도 중요합니다.
-
황산화물(중화적정법) 예비 보고서 8페이지
예비 보고서[Pre-report]실험제목 : 황산화물(중화적정법)담당교수 :실험일자 : 2012.05.15.실험자명 :실험 조 :1. 실험의 목적 및 원리*목적 - 대기오염물질은 입자상 물질과 가스상 물질로 나눌수 있다. 입자상 물질로는 분진·매연·검댕 등의 고정입자가 있고 가스상 물질로는 황산화물·질소산화물·일산화탄소등이 있다. 그중 가스상 대기오염물질인 굴뚝이나 자동차 배기가스 등에서 배출되는 배출가스 중의 황산화물(SO₂+ SO₃)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방법이다.*원리 - 시료를 과산화수소수에 흡수시켜 황산화물을 황산으로 만든 ...2012.11.04· 8페이지 -
황산화물(중화적정법) 결과보고서 11페이지
결과 보고서[Main-report]실험제목 : 황산화물(중화적정법)담당교수 :실험일자 : 2012.05.16.제출일자 : 2012.06.05.실험자명 :실험 조 :1. 제목 (Title) : 황산화물(중화적정법)2. 요약 (Abstract)*황산화물[Sulfur Oxides]일반적으로는 황과 산소가 결합된 산화황을 말하나, 환경용어에서는, 매연 중에 함유된 이산화황 SO2, 삼산화황 SO3 및 황산(H2SO4)미스트 등을 말하며,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다. SO2, SO3의 최대 발생원은 중유의 연소 때문이다. 배기가스중에는 S...2012.11.04· 11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