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상담사의 윤리기준과 윤리적 딜레마
문서 내 토픽
  • 1. 가족상담사의 윤리기준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사는 본인이 속한 기관의 목적에 합치되는 활동을 하여야 하며, 기관이 성장하고 발전하는 데 일조하고 노력할 책임이 있습니다. 또한 상담사는 전문적인 활동이 소속된 기관의 목적과 모순이 되고 직무수행의 괴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을 해결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소속기관과의 관계 자체를 종결해야 합니다. 그리고 사회윤리 및 본인이 속한 지역사회의 도덕적인 기준을 존중해야 하며 사회적인 공익과 본인이 종사하는 전문직이 바람직하게 발전하기 위하여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 2. 가족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윤리적인 딜레마란 두 개 이상의 가치나 원칙, 의무가 서로 충돌할 때 발생하게 되는 것으로, '다른 행동을 취해야 하는 이유가 있는 상황'이라고 규정됩니다. 구체적인 사례로는 상담가가 신고 의무자로서 어디서부터 어떻게 수행해야 하는지, 상담일지에는 얼마나 정보를 공개해야 하는지 등 결정을 내려야 하는 상황에서 명확한 답을 얻기 어려워하는 경우, 내담자가 위험한 상황이고 신고해야겠다고 마음 먹었으나 가족끼리 잘 이야기했다며 무마하는 바람에 다시 내담자가 위험해지는 상황을 겪은 상담가의 경우, 내담자의 비밀을 지켜야 한다는 기본적인 윤리규정을 어기지 않고자 하지만 내담자에게 도움을 주는 복지기관에서 협조요청을 하며 상담내용을 자세히 요구하였을 때 가치갈등을 겪게 되는 경우 등이 있습니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가족상담사의 윤리기준
    가족상담사는 전문가로서 높은 윤리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첫째, 내담자의 자율성과 프라이버시를 존중해야 합니다. 내담자의 동의 없이 정보를 공개하거나 강압적으로 개입해서는 안 됩니다. 둘째,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공정성과 공평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감정이나 편견에 휩싸이지 않고 객관적으로 상담을 진행해야 합니다. 셋째, 전문성을 유지하고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해야 합니다. 상담 기법과 이론을 숙지하고 최신 동향을 파악해야 합니다. 넷째, 내담자의 안전과 복지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내담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필요시 적절한 개입과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이러한 윤리기준은 가족상담사가 전문가로서의 책임을 다하고 내담자를 보호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2. 가족상담사의 윤리적 딜레마
    가족상담사는 다양한 윤리적 딜레마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첫째, 내담자의 자율성과 안전 사이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자해 위험이 있는 내담자의 경우, 내담자의 동의 없이 개입해야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둘째, 가족 구성원 간의 이해관계가 상충될 때 중립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가해자와 피해자가 동시에 내담자인 경우 공정성 있게 상담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셋째, 내담자의 비밀보장과 다른 전문가와의 정보 공유 사이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담자의 동의 없이 정보를 공유해야 할지 고민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윤리적 딜레마 상황에서 가족상담사는 내담자의 최선의 이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고, 관련 윤리강령과 법규를 숙지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또한 동료 상담사나 수퍼바이저와 상의하여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 ) 가족상담사가 지켜야할 윤리기준과 윤리적 딜레마에 대하여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설명하시오.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8
연관 토픽을 확인해 보세요!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