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ost-Cardiac Arrest Care
본 내용은
"
post-cardiac arrest care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1.28
문서 내 토픽
-
1. 초기 평가환자의 병력을 확인하고, 신체 검진을 통해 기도, 호흡, 순환 상태를 평가합니다. 심전도 검사와 영상 검사, 혈액 검사 등을 통해 심정지의 원인을 파악하고 진행 상황을 평가합니다.
-
2. 기본 치료기도 확보, 기계 환기, 혈압 유지, 관상동맥 재관류 등 심정지 후 환자의 생리적 안정을 위한 기본적인 치료를 시행합니다.
-
3. 치료적 저체온요법신경학적 손상을 줄이기 위해 환자의 체온을 32-36°C로 낮추는 치료적 저체온요법을 시행합니다. 이를 위해 진정제 투여, 체온 모니터링, 서서히 재가온 등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
4. 일반적 중환자 관리침상 머리 올리기, 스트레스 궤양 예방, 혈전 예방, 조기 재활 등 일반적인 중환자 관리 방법을 적용합니다. 또한 혈당 조절, 경련 관리 등도 중요합니다.
-
5. 예후NULL-PLEASE 점수와 같은 예후 예측 도구를 활용하여 환자의 예후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고 환자와 가족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
1. 초기 평가초기 평가는 심정지 환자 치료에 있어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파악하고, 심정지의 원인을 신속하게 진단하여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심정지 환자의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예후가 나빠지므로, 초기 평가를 통해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의료진의 숙련도와 경험이 매우 중요하며, 체계적인 평가 프로토콜이 필요합니다. 또한 환자 상태에 대한 정확한 정보 수집과 신속한 의사결정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초기 평가 단계에서의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2. 기본 치료심정지 환자의 기본 치료는 신속한 심폐소생술과 제세동 시행이 핵심입니다. 심폐소생술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의료진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들도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합니다. 제세동 또한 심정지 환자 치료에 있어 필수적인 치료법으로, 신속한 제세동 시행이 생존율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를 위해서는 응급의료체계의 발달과 함께 일반 시민들의 심폐소생술 및 제세동 교육이 중요합니다. 또한 의료진의 숙련도와 경험도 기본 치료의 성공률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본 치료의 신속하고 정확한 수행은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 향상에 필수적입니다.
-
3. 치료적 저체온요법치료적 저체온요법은 심정지 후 뇌손상을 예방하고 예후를 향상시키는 데 매우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저체온요법은 심정지 후 발생하는 신경학적 손상을 줄이고, 뇌세포 보호 및 회복을 돕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과 신경학적 예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저체온요법 시행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저체온 유도 및 유지, 재가온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잘 관리해야 하며, 환자 상태에 따른 개별화된 접근이 필요합니다. 또한 저체온요법 시행을 위한
-
CPR (ACLS - Cardiac Arrest Algorithm) 24페이지
CPR simulation PresentationCPR training based on Cardiac Arrest Algorithm목차 1 2 Cardiac Arrest Algorithm Chain of Survival - CPR - Defibrillator - Endotracheal intubation - Airway Drug - Position for 6 person high performance team - CPR recordChain of Survival ( 생존사슬 ) Chain of Survival 생존 사슬 (Chain...2024.01.31· 24페이지 -
ACLS 응급약물(ACLS Emergency Drug) 8페이지
REPORT과목명제 출 자제출일자담당교수INDEX◎Cardiac Arrest VF/Pulseless VT/PEA/Asystole ...........................3◎Immediate Post-Cardiac Arrest Care ...........................4◎Stable Tachycardia(With Pulse) ...........................5◎Unstable Bradycardia(With Pulse) ...........................6◎참고문헌 ...........2015.12.11· 8페이지 -
성인간호학 응급실 BLS ACLS 기본심폐소생술 전문심폐소생술 ward class 문헌고찰 A+자료 30페이지
【 목 차 】Ⅰ. 심폐소생술 개요? 심폐소생술의 정의·목적·금기증 및 주의사항?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 심폐소생술 단계? 심폐소생술 중 순환상태의 평가Ⅱ. 기본 심폐소생술(BLS;basic life support)? 성인 심폐소생술? 소아 심폐소생술? 영아 심폐소생술Ⅲ. 전문 심폐소생술(ACLS;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Cardiac Arrest Algorithm? Acute Coronary Syndromes Algorithm? PEA/Asystole Algorithm? VF/P...2019.07.28· 30페이지 -
Cardiac arrest(아나필릭시스 쇼크) ER케이스 스터디 A+자료입니다. 20페이지
11I. 서론1) 응급실 대상자의 건강상태 사정(1) 일반적 사항성명 : 김OO성별 : M연령 : 54병록번호 : XXX주소 : XXX시 XXX동전화번호 : XXX내원일시 : 18.08.13내원경로 : ER내원수단 : 이동침대내원 시 동반자의 환자와의 관계 : 배우자(아내)직업 : 자영업진단 : Cardiac arrest(2) 대상자 건강문제와 관련된 관계문헌 고찰1. Shock의 정 의대량 출혈, 심한 외상이나 화상, 광범위 심근경색, 심한 폐색전증, 제어할 수 없는 패혈증 등, 세포의 신진대사 장애로 일어날 수 있는 순환 허탈상...2018.09.13· 20페이지 -
2010 acls 가이드라인에 대한 정리 29페이지
Highlights of the 2010 Guidelines The Change From “A-B-C” to “C-A-B” 심폐 소생술 교육 받은 사람 다시 재교육 필요 대부분의 심정지는 성인에서 발병 가장높은 생존율을 보이는 집단은 심정지 목격자 존재 , 심실세동 도는 무맥성 심실빈맥을 보임 가장핵심은 흉부압박 및 초기 제세동임 흉부압박이 기도 확보위해 지연되는 경우가 존재 인공호흡 지체 최소화 ( 최초 30 회 흉부압박 시행 18 초소요 ) 기도확보는 구조자가 하기 어려우나 흉부압박은 쉬움Key Changes in the 201...2013.05.16· 29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