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연분만NSVD 간호과정 case study(간호과정 7개 분량 多)A+
본 내용은
"
자연분만NSVD 간호과정 case study(간호과정 7개 분량 多)A+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7
문서 내 토픽
-
1.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분만이란 태아 및 그 부속물이 자궁수축으로 인하여 자궁경관이 개대되고 거상됨으로써 산도를 따라 질강 밖으로 만출되는 전 과정이다. 자연분만은 수술을 하지 않고 질을 통해 태아가 만출 되는 것이다. 자궁에서 태아의 일정한 발생 과정 후에 모체에 불수의적인 자궁수축과 산부의 수의적인 복강 내 압력이 가해진다. 분만시간은 초산부의 경우 평균 14시간, 경산부는 6~8시간 정도 소요된다. 분만과정은 그 특징 에 따라 다음의 4단계로 구분한다. 분만1기 (개대기), 분만2기 (태아 만출기), 분만3기 (태반 만출기), 분만4기 (회복기).
-
2. 분만 1기분만 1기에는 경부소실과 경부개대가 진행된다. 분만 1기는 재기, 활동기, 이행기의 세단계로 구분된다. 잠재기는 규칙적인 자궁수축과 함께 시작되며 자궁수축의 빈도와 기간, 강도는 모두 점차 증가한다. 활동기는 가속기, 최대경사기, 감속기로 나뉘며, 자궁경부는 4cm에서 7cm로 개 대되며 태아가 점차 하강한다. 이행기는 자궁경부가 8cm에서 10cm로 개대되며, 개대 속도는 활동기에 비해 느려지는 반면 태아 하강속도는 빨라진다.
-
3. 분만 2기태아 만출기로 경부의 완전개대부터 태아가 만출되는 시기를 말한다. 분만 1기 말에 자궁수축은 2~3분 간격으로 빈도와 강도가 증가하고, 기간도 50~70초로 길어진다. 자궁저부는 활동성 수 축을 보이며 점점 두꺼워지고 경부는 수동적 수축을 보이며 얇아지면서 개대된다. 선진부는 경 부 소실시에는 내려오지 않고 개대 후 하강한다. 이때 파막이 되면 탁하고 거의 무색의 액체가 흘러 나온다. 선진부가 하강하면서 팽륜, 배림과 발로가 나타날 수 있다.
-
4. 분만 3기분만3기는 태아의 만출 이후부터 태반이 완전히 만출되기까지의 시기를 말한다. 이 시기는 태반 기로서 태반과 탈락막의 분리 및 기타 부속물의 배출시기를 말하며, 태반 박리기와 태반 만출기 로 나눈다. 태반 박리기에는 태아 만출 직후 양수가 흘러나오고 약간의 출혈이 있으며, 자궁수축 은 잠시 멎었다가 시작되면서 5분 이내로 태반의 박리가 나타난다. 태반 만출기는 태반이 박리된 후 대부분 10분 이내에 만출된다.
-
5. 분만 4기출산 시 혈액 손실액은 250~500ml이며,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이 모두 저하되고 맥박수가 상승하면서 빈맥이 나타날 수 있다. 자궁은 수축된 상태로 복부의 중앙에 위치하며 자궁저부는 대개 치골결합과 제와부 중간부분에 위치한다. 자궁경부는 태반 만출 직후 단단해진다.
-
6. 분만의 전구증상1. 하강감 2. 가진통 3. 이슬 증상/ 징후 4. 양막파열 5. 자궁경부의 변화 6. 기타증상
-
7. 간호과정1기 간호: 1) 간호력 수집 2) 분만 초기 징후 사정 3) 분만 진행사정 4) 건강 사정 5) 간호중재 2기 간호: 1) 분만 2기의 시작을 알리는 증상 2) 산부의 건강사정 3) 태아의 건강사정 4) 간호 중재 3기 간호: 1) 태반만출 4기 간호: 1) 활력징후 측정 2) 자궁수축 관찰 3) 회음과 출혈 관찰 이완기 간호: 1) 신체적 간호 2) 심리적 간호 3) 산후 자가간호 교육
-
1. 자연분만(NSVD, Normal Spontaneous Vaginal Delivery)자연분만은 임신 및 출산 과정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방식으로,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가장 이상적인 선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자연분만은 산모의 통증 관리, 회복 시간 단축, 모유 수유 증진 등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의 건강 상태나 상황에 따라 제왕절개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산모와 의료진이 충분한 상담을 통해 가장 적절한 분만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자연분만을 선택한 경우에도 분만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한 대비가 필요합니다.
-
2. 분만 1기분만 1기는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단계로, 가장 긴 시간이 소요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자궁 수축으로 인한 진통이 시작되며,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태아와 산모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가족이나 의료진의 지지와 격려가 필요합니다. 분만 1기는 개인차가 크므로 산모와 의료진이 긴밀히 협력하여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3. 분만 2기분만 2기는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린 후 태아가 출산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강력한 자궁 수축과 함께 산모의 능동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의료진은 산모의 상태를 면밀히 관찰하며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태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만 2기는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가장 위험한 단계이므로 의료진과 산모의 긴밀한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
4. 분만 3기분만 3기는 태반이 분리되어 배출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와 함께 태반 분리 및 배출 과정을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태반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으면 산모에게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의료진은 이 단계에서 특히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자궁 수축을 촉진하고 출혈을 최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필요합니다. 분만 3기는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진행되지만,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중요한 단계입니다.
-
5. 분만 4기분만 4기는 태반 배출 후 2시간 동안의 회복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 자궁 수축 촉진, 활력징후 모니터링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와 신생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키고 모유 수유를 시작하는 등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위한 다양한 간호 활동이 이루어집니다. 분만 4기는 비교적 안정적인 단계이지만,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합병증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6. 분만의 전구증상분만의 전구증상은 실제 분만이 시작되기 전에 나타나는 증상들을 말합니다. 이러한 증상에는 규칙적인 자궁 수축, 질 분비물 증가, 배꼽 주변 통증 등이 포함됩니다. 이 단계에서 산모와 의료진은 분만 진행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전구증상은 개인차가 크므로 산모와 의료진이 긴밀히 협력하여 상황을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지와 격려도 필요합니다.
-
7. 간호과정간호과정은 간호사가 환자의 건강 문제를 사정하고, 간호 진단을 내리며, 간호 계획을 수립하고 실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일련의 체계적인 과정입니다. 이는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 관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호사는 산모와 신생아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사정하고, 간호 진단을 내려 적절한 간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또한 간호 계획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여 필요에 따라 계획을 수정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과 안녕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