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상담 강의록
본 내용은
"
집단상담 강의록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7
문서 내 토픽
  • 1. 집단상담
    집단상담은 치료적 목적 이외에도 교육적, 예방적 차원에서 쓰일 수 있다. 이런 요소들을 모두 포함한 내용을 이번 수업에 다루고자 한다. 집단상담의 가장 큰 학습의 도구는 관찰을 통해 보고, 본 것을 느끼고, 느낀 것을 표현하는데 있다.
  • 2. 집단상담의 기본 개념과 집단과정
    강의목표는 집단상담의 기본 개념과 집단과정을 알아보고, 집단상담의 실제에 대한 이해를 돕는 것이다. 강의방법은 강의, 발표 및 집단상담실습이며, 평가방법은 중간 30%, 기말 30%, 집단실습 20%, 과제 10%, 출석 10%로 구성된다.
  • 3.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재
    교재로는 'G. Corey 저, 조현춘 외 옮김, 시그마프레스'의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재'와 'Irvin Yalom 저, 최해림, 장성숙 옮김, 시그마프레스'의 '최신 집단정신 치료의 이론과 실제'가 사용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집단상담
    집단상담은 개인 상담과 달리 여러 사람이 함께 참여하여 상호작용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역동을 통해 자신을 이해하고 변화할 수 있습니다. 집단상담은 개인 상담에 비해 비용 효율적이며,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더 깊이 있는 통찰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집단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이나 부정적인 역동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며, 개인의 프라이버시 보호 등 윤리적인 고려사항도 중요합니다. 전문적인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들이 서로 지지하고 성장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 2. 집단상담의 기본 개념과 집단과정
    집단상담의 기본 개념은 개인이 집단 내에서 상호작용하며 자신을 이해하고 변화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집단상담 과정에서는 참여자들 간의 역동이 중요한데, 이를 통해 참여자들은 서로의 경험을 공유하고 이해하며, 집단 내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집단상담의 주요 단계로는 형성, 갈등, 응집, 수행, 종결 등이 있으며, 각 단계에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과 집단 역동이 달라집니다. 집단상담 진행 시 집단 구성원의 특성, 집단 목표, 집단 규범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집단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이슈에 대한 관리도 필요할 것 같습니다.
  • 3. 집단심리상담의 이론과 실재
    집단심리상담의 이론적 기반은 다양한 심리학 이론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정신분석 이론, 인간중심 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지행동 이론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이론들은 집단상담 실천에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되고 있습니다. 실제 집단심리상담 현장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참여자들의 특성과 집단 목표에 맞는 개입 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정신분석 이론에 기반한 역동적 집단상담, 인간중심 이론에 기반한 성장 집단, 인지행동 이론에 기반한 인지행동 집단상담 등이 있습니다. 이처럼 집단심리상담은 이론과 실천이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며, 참여자들의 변화와 성장을 위해 다양한 접근법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주제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