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설 2편 이상을 찾아 오시되, 대학생 레포트 기준에 맞추어 가급적이면 서론 본론 결론의 구성을
본 내용은
"
한국의 전설 2편 이상을 찾아 오시되, 대학생 레포트 기준에 맞추어 가급적이면 서론 본론 결론의 구성을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5
문서 내 토픽
  • 1. 전북 임실군 오수면 충견 설화
    전북 임실군 오수면에는 오래된 충견 설화가 전해지고 있다. 오수마을 원동산 느티나무 숲에는 전북 민속자료 1호로 지정된 의견비가 있고 그 옆에는 오수개 동상이 자리잡고 있다. 고려시대 문인 최자가 쓴 『보한집』에는 전라도 남원부 거령현(현 전북 임실)에 살던 김개인과 그의 충직한 개가 주인의 목숨을 구한 이야기가 실려 있다. 어느 날 잔치에 초대된 김개인은 매우 만취하여 돌아오는 길에 그만 풀밭에 쓰러져 잠이 들고 말았다. 밤늦도록 주인이 돌아오지 않자 걱정이 된 개는 주인을 찾아나섰고, 결국 주인을 찾았지만, 들불이 난 곳에서 세상모르고 잠들어 있는 것을 발견한다. 주인을 깨우기 위해 짖고 깨우고 물고 흔들어도 봤지만 주인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국 개는 근처 개울가에서 자신의 몸을 물에 적셔 들불 위를 뒹굴며 불을 그기 시작했다. 결국 불을 진압했지만 개는 모든 체력을 다 소진하여 화상을 입고 죽고 만다.
  • 2. 부산 반송 개좌산의 전설
    부산에도 주인을 구하고 죽은 충견의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에는 개좌산 이라는 산이 있는데, 과거 이곳은 철마에서 부산으로 이어지는 유일한 길목이었다고 한다. 조선시대 살던 한 노인이 볼일이 있어 키우던 황구를 데리고 길을 나섰다. 볼일을 다 마친 노인은 술을 마시고 거나하게 취한 채 집으로 향하게 된다. 하지만 술에 취해 피우던 담배를 끄지 못하고 길에서 깜빡 잠이 들게 된다. 담뱃불이 바람을 타고 주변으로 옮겨 붙어 노인이 불길에 휩싸이게 된다. 그러나 만취한 노인은 그 사실을 모른 채 잠을 자고 있었다. 산불이 붙어 걷잡을 수 없이 주변이 불길에 휩싸이자, 개는 노인을 구하기 위해 안간힘을 쓴다. 근처 개울에서 자신의 몸에 물을 적혀와 그것으로 불을 끄려고 애썼다. 결국 불을 끄고 노인은 살았지만 개는 죽고 만다.
  • 3. 충북 음성 충견총
    충북 음성에도 주인을 구한 충견의 이야기가 전해진다. 충북 음성 생극면 방축리 능안 마을에는 권근, 권제, 권람 이렇게 3인의 조선 초기 문신의 묘소가 있는데 이 묘역은 충북 기념물 32호로 지정되어 있다. 권람의 묘소에서 100m쯤 떨어진 곳에 충견총(忠犬塚)이라는 개무덤이 있다. 전설에 따르면, 세조가 왕위에 오르면서 일등공신에 책록된 익평권 권람은 좌의정에서 물러나 한가로운 시절을 보내고 있었는데, 어느 봄날 술을 한 잔하고 거기서 그만 잠이 든 것이다. 누워 자던 중에 산불이 났고, 기르던 개가 그것을 보고 도랑과 주인 사이를 오가며 불을 끈 것이다. 권람은 자신의 개의 충직함에 개가 죽으면 자신의 무덤 곁에 장사를 지내달라고 했고 그것이 바로 충견총이라고 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전북 임실군 오수면 충견 설화
    전북 임실군 오수면의 충견 설화는 우리나라 전통 설화의 아름다운 사례 중 하나입니다. 이 설화는 충성스러운 개가 주인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으로, 동물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따뜻한 마음과 애정을 잘 보여줍니다. 이러한 설화는 우리 문화의 소중한 자산이며, 동물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가치를 전해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이러한 전통적 가치관이 계승되어야 할 것입니다. 개와 같은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더욱 확산되어야 하며, 동물 학대와 유기 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해결책 마련이 필요합니다. 이를 통해 우리 사회가 더욱 따뜻하고 공감 가득한 곳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 2. 부산 반송 개좌산의 전설
    부산 반송 개좌산의 전설은 우리나라 전통 설화의 또 다른 보석입니다. 이 전설은 개가 주인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으로, 충견 설화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개좌산 전설에는 개와 인간의 깊은 유대감과 신뢰관계가 잘 드러나 있습니다. 개가 주인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은 매우 감동적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동물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따뜻한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 설화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이러한 설화는 동물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가치를 전해줄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더욱 따뜻하고 공감 가득한 곳이 되기를 바랍니다.
  • 3. 충북 음성 충견총
    충북 음성 충견총은 우리나라 전통 설화의 또 다른 보석입니다. 이 설화는 충성스러운 개가 주인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하는 내용으로, 앞서 언급한 충견 설화와 유사한 주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하지만 충견총 설화에는 개와 인간의 깊은 유대감과 신뢰관계가 더욱 강조되어 있습니다. 개가 주인을 지키다 죽음을 맞이하는 장면은 매우 감동적이며, 이를 통해 우리는 동물에 대한 우리 선조들의 따뜻한 마음을 엿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 설화는 현대 사회에서도 여전히 큰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증가하고 있는 요즘, 이러한 설화는 동물에 대한 공감과 배려의 가치를 전해줄 수 있습니다. 우리 사회가 더욱 따뜻하고 공감 가득한 곳이 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