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POSTURE (신체 포스쳐) 평가하기
문서 내 토픽
  • 1. 자세 평가
    사람의 자세를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직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지, 하지, 골반 등을 평가해야 한다. 똑바로 선 자세에서 후면 평가, 측면 평가, 정면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평가자는 사람의 자세를 수직선을 향하게 잘 세워 놓은 후, 상지, 하지, 골반 등을 평가하는데 이때 각각 위치가 어떤 편인지 살펴보며 자세가 올바른지 아니면 틀어졌는지 알 수 있다.
  • 2. 상지 평가
    몸의 후면을 관찰할 때는 목이 두개골의 중심선을 지나야 한다. 목은 목뼈의 중앙선을 통과해야 한다. 어깨는 왼쪽과 오른쪽의 높이가 거의 같은 수준이어야 한다. 팔은 몸통에서 같은 거리에 있고, 손바닥이 신체의 앞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있어야 한다. 양 팔의 팔꿈치와 손목은 거의 같은 위치에 있어야 한다.
  • 3. 하지 평가
    몸의 후면 관찰에서 골반이 중심선을 지나가야 한다. 무릎과 다리는 수직선으로부터 같은 거리에 있어야 하고 종아리 근육 크기가 양쪽 다리가 같아야 한다. 서 있는 자세에서 무릎과 다리의 관절이 굽힘이 일어나지 않아야 하고 발목과 발은 정상적인 굴곡이 나타나야 한다.
  • 4. 골반 평가
    골반은 정면에서 바라볼 때 ASIS가 같은 높이에 있어야 하고 ASIS가 중심선에서 같은 거리에 있어야 한다. 또한, 측면에서 볼 때 골반은 중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하는데 이는 좌우 엉덩뼈의 능골과 좌우 PSIS, 좌우 좌골이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의미한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자세 평가
    자세 평가는 환자의 전반적인 신체 정렬과 균형을 확인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근골격계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자세 평가에는 시각적 관찰, 측정 도구 사용, 기능적 테스트 등이 포함됩니다. 자세 평가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 감소, 기능 향상, 삶의 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2. 상지 평가
    상지 평가는 팔, 어깨, 팔꿈치, 손목, 손 등의 기능과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상지 근골격계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상지 평가에는 관절 가동 범위 측정, 근력 평가, 감각 기능 평가, 일상생활 동작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상지 평가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상지 기능 향상, 일상생활 수행 능력 개선,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3. 하지 평가
    하지 평가는 엉덩이, 무릎, 발목, 발 등의 기능과 움직임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하지 근골격계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하지 평가에는 관절 가동 범위 측정, 근력 평가, 감각 기능 평가, 보행 분석, 일상생활 동작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 평가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하지 기능 향상, 보행 능력 개선, 일상생활 수행 능력 향상,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4. 골반 평가
    골반 평가는 골반의 구조와 기능을 종합적으로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이를 통해 골반 근골격계 문제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골반 평가에는 골반 정렬 및 움직임 관찰, 근력 및 유연성 평가, 골반저 근육 기능 평가 등이 포함됩니다. 골반 평가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고, 이에 맞는 맞춤형 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통해 환자의 통증 감소, 기능 향상, 삶의 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BODY POSTURE (신체 포스쳐) 평가하기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5
연관 리포트도 확인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