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영정보시스템 )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
문서 내 토픽
-
1. TCP/IP 모델 구조TCP는 전송 제어 프로토콜이며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의 약자이다. 호스트가 다른 호스트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이며, OSI 7계층 모델의 4계층인 전송 계층, IPS 4계층 모델의 3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통신 연결 설정 및 신뢰성을 보장하고 패킷의 흐름 제어 등의 역할을 한다. IP는 인터넷 프로토콜이며 Internet Protocol의 약자이다. IP는 데이터 조각을 최대한 빨리 대상 IP 주소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데이터 전송과정에서 TCP와 IP의 역할이 다르지만 결국 같은 결과를 목표로 하므로 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
2. OSI 7계층 모델OSI 7계층 모델이란 네트워크 세계에서 누구든지 빠르고 정확한 통신을 위하여 국제표준기구(ISO)에서 표준화하여 네트워크 구조를 제시한 모델이다. 각 계층은 다른 계층과는 무관하게 독립적인 기능을 지원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위쪽 계층에서는 아래 계층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 수 없고, 송신자는 수신자가 누군지만 표시해두면 된다. 이처럼 상위 계층에서 하위 계층으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관련 정보를 헤더에 저장하고 수신자가 계층별로 헤더만을 해석하면 다른 계층과 독립적으로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
3. TCP/IP 모델 구조와 OSI 7계층 모델 비교ISO 위원회에는 네트워크 통신 규약을 표준화하여 OSI 7계층 모델을 발표하고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Internet Protocol Suit)를 발표하였는데, 이 프로토콜 중 하나가 연결 서비스를 지원하는 전송 계층인 TCP이고, 목적지로 데이터를 보낼 때 사용되는 네트워크 계층의 하나가 IP이다. TCP와 IP가 인터넷 프로토콜 슈트로 많이 사용되어 인터넷 프로토콜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고 대부분 네트워크 통신은 TCP/IP 규격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TCP/IP는 4계층 또는 5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OSI 7계층 모델을 대체하기도 한다. 이러한 계층은 데이터 전송의 단계에서 앱과 기기의 작업을 설명해준다.
-
1. TCP/IP 모델 구조TCP/IP 모델은 인터넷 통신의 기반이 되는 프로토콜 모음입니다. 이 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애플리케이션 계층은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고, 전송 계층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합니다. 인터넷 계층은 IP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데이터 패킷을 라우팅하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은 물리적인 네트워크 연결을 처리합니다. TCP/IP 모델은 단순하고 유연한 구조로 인해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모델입니다.
-
2. OSI 7계층 모델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표준 참조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의 7개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계층은 독립적인 기능을 수행하며,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의 서비스를 이용합니다. OSI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의 표준화와 호환성을 위해 개발되었지만, 실제 구현에는 어려움이 있어 TCP/IP 모델이 더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
3. TCP/IP 모델 구조와 OSI 7계층 모델 비교TCP/IP 모델과 OSI 7계층 모델은 네트워크 통신을 위한 참조 모델이지만, 구조와 특성이 다릅니다. TCP/IP 모델은 4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실제 구현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반면 OSI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적인 표준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TCP/IP 모델은 실제 인터넷 통신에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OSI 모델은 이론적인 참조 모델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두 모델은 각자의 장단점이 있으며, 네트워크 통신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영정보시스템 )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
본 내용은 원문 자료의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4
-
컴퓨터네트워크_OSI 모델과 TCP IP 모델의 각 계층의 기능을 정리하고 비교하여 설명하라1. OSI 모델 OSI 모델은 네트워크를 7개의 계층으로 구분하여 표준 프로토콜을 통해 다양한 통신 시스템이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만든 모델이다. 각 계층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1) 물리 계층 - 데이터를 전기적 신호로 전송, 2) 데이터 링크 계층 - 데이터 흐름과 오류 제어, 3) 네트워크 계층 - 최적의 경로 선택 및 데이터 전...2025.01.17 · 공학/기술
-
TCP/IP 프로토콜의 구조와 프로토콜1. TCP/IP 프로토콜의 정의 TCP/IP는 네트워크를 상호 연결시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프로토콜 집합이다. 가장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3계층의 IP와 4계층의 TCP이며, 대부분의 응용 서비스가 TCP를 기반으로 하지만 최근에는 UDP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2. TCP/IP 프로토콜의 특징 TCP/IP 프로토콜은 하드웨어, 운영체제,...2025.01.28 · 정보통신/데이터
-
경영정보시스템 ) 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I 7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설명1. 통신프로토콜 통신프로토콜이란 컴퓨터를 포함한 전자기기 간에 상호 접속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최소화하고 정보를 원활하게 교환할 수 있게 돕는 규칙의 집합이다. 이 규칙은 정보 송수신 방법과 정보 교환 형식 등을 규정한다. 통신프로토콜이 적용되면 전자기기의 기종이나 모델이 다르더라도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각의 전자기기에서 다른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2025.01.23 · 정보통신/데이터
-
경영정보시스템 - 통신프로토콜 정의 및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I 7계층 모델과 비교1. 통신프로토콜 정의 통신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신호 체계, 인증 그리고 오류 감지 및 수정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은 형식, 의미론, 그리고 통신의 동기 과정 등을 정의하기는 하지만 구현되는 방법은 독립적이다. 이 때문에 프로토콜은 하드웨어 또는...2025.01.28 · 공학/기술
-
경영정보시스템_통신프로토콜에 대해 정의하고 인터넷 기반의 TCPIP 모델 구조를 국제 통신표준 규격인 OSI 7계층 모델과 비교하여 설명하시오.1. 통신 프로토콜 통신 프로토콜은 데이터 통신 시스템에서 두 개 이상의 컴퓨터 간에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규칙과 절차를 정의하는 기술적 표준이다. 통신 프로토콜은 네트워크 상에서 데이터의 전송, 포맷,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2. TCP/IP 모델 TCP/IP 모델은 전송 제어 프로토콜(TCP)과 인터넷 프로토콜(IP)로 구성...2025.01.19 · 공학/기술
-
OSI 7계층 모델의 주요개념과 계층별 기능 분석1. OSI 7계층 모델 OSI 7계층 모델은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개발한 컴퓨터 네트워킹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나누어 설명한 모델입니다. 이 모델은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물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등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2025.04.27 · 공학/기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