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여성(모성) 건강간호학 실습 / 분만실 체크리스트 / 체리
본 내용은
"
여성(모성) 건강간호학 실습 / 분만실 체크리스트 / 체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2
문서 내 토픽
  • 1. 분만 1기
    분만 1기는 자궁경관이 완전히 열릴 때까지의 기간으로, 잠재기, 활동기, 이행기로 나뉜다. 잠재기는 진통이 5~10분 간격으로 나타나며 자궁경관이 점차 열리는 시기이다. 활동기는 진통이 3~4분 간격으로 강해지며 자궁경관이 3~8cm 열리는 시기이다. 이행기는 진통이 1~2분 간격으로 강해지며 자궁경관이 9~10cm 열리는 시기이다.
  • 2. 분만 2기
    분만 2기는 태아가 산도를 통해 나오는 시기로, 산모가 힘을 주어 태아를 밀어내는 단계이다. 숨을 들이마시고 길게 힘을 주어 태아의 하강을 촉진시킨다.
  • 3. 분만 3기
    분만 3기는 태반 박리 후 태반이 만출되는 시기이다. 태반이 잘 떨어져야 산후출혈을 예방할 수 있다.
  • 4. 분만 4기
    분만 4기는 분만과정 중 최종 단계인 회복기로, 태반 만출부터 1~4시간 동안 출혈량, 요정체, 저혈압, 마취합병증 등을 관찰하는 시기이다.
  • 5. 이완법 및 호흡법
    이완법은 긴장과 스트레스를 줄여 산부가 분만 동안 휴식을 취하게 하고 출산을 위한 에너지를 비축하게 한다. 호흡법은 산부의 이완을 돕고 통증에 대한 지각을 줄여준다. 분만 1기에는 복근의 이완을 촉진시키고 복강의 크기를 증가시키는 호흡법이 사용된다.
  • 6. 무통분만
    무통분만에는 경막외마취, 척추마취 등의 부위마취 방법이 사용된다. 경막외마취는 탁월한 통증감소 효과가 있지만 감각 손실, 자궁활동 자극을 위한 옥시토신 투여 증가, 분만 2기 지연 등의 단점이 있다.
  • 7. 체위변경
    산부는 분만이 진행됨에 따라 자연스럽게 자세를 바꾸지만 스스로 시행하지 못하면 간호사가 30~60분마다 자세를 바꾸도록 도와준다. 좌측위는 자궁, 태반과 신장의 혈류를 증가시키고 태아의 산소포화도를 높이므로 권장된다.
  • 8. 수분 및 영양 공급
    분만 중 금식하게 하지만, 분만이 지연되거나 수분과 칼로리가 충족되지 않으면 저혈당증이나 케톤증이 나타날 수 있다. 분만 초기에는 가벼운 음식 섭취, 분만 진행 시 맑은 음료와 물, 얼음조각 등을 섭취하게 한다.
  • 9. 배뇨 및 배변
    매 2시간마다 배뇨를 해야 하며, 방광이 팽창되어 있다면 유치도뇨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산부는 장 운동 감소로 인해 분만 중 배변을 하지 않지만, 태아 하강으로 인한 압력으로 배출될 수 있어 감염 위험이 있다.
  • 10. 가족 지지
    분만 초기부터 지속적인 지지를 받은 산부는 진통제 사용이나 경막외마취를 할 가능성이 적고, 자연분만을 하기 쉬우며, 분만 경험이 더 만족스럽다.
Easy AI와 토픽 톺아보기
  • 1. 분만 1기
    분만 1기는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리는 단계로, 자궁 수축과 자궁 경부 개대로 인해 태아가 자궁 밖으로 나오는 과정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태아의 상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산모의 심리적 안정과 의료진의 지속적인 지지가 필요하며, 산모의 개별적인 상황에 맞는 맞춤형 관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 2. 분만 2기
    분만 2기는 자궁 경부가 완전히 열린 후 태아가 질 밖으로 나오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강한 진통과 함께 태아의 하강이 이루어집니다. 산모의 적극적인 협조와 의료진의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며, 산모의 체력 관리와 함께 태아의 안전한 분만을 위한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심리적 지지와 격려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 3. 분만 3기
    분만 3기는 태반이 분리되어 자궁 밖으로 배출되는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와 함께 자궁 수축 관리가 중요합니다. 의료진의 신속한 대응과 산모의 협조가 필요하며, 산모의 건강 상태와 출혈 정도에 따라 적절한 처치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산모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지와 격려도 필요한 시기입니다.
  • 4. 분만 4기
    분만 4기는 태반 분리 후 2시간 동안의 회복 단계입니다. 이 단계에서는 산모의 출혈 관리와 자궁 수축 관리, 활력 징후 모니터링이 중요합니다. 또한 산모의 통증 관리와 함께 수액 및 영양 공급, 배뇨 관리 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의료진의 지속적인 관찰과 산모의 협조가 필요하며, 산모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지지도 중요한 시기입니다.
  • 5. 이완법 및 호흡법
    이완법과 호흡법은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통증 관리와 심리적 안정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이완법을 통해 산모의 근육 긴장을 줄이고, 호흡법을 통해 산모의 산소 공급을 원활히 하여 분만 과정을 보다 편안하게 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의 지속적인 지도와 산모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며, 이를 통해 산모의 분만 경험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 6. 무통분만
    무통분만은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이를 통해 산모의 스트레스와 불안을 줄일 수 있으며, 보다 편안한 분만 경험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통분만에는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므로, 산모의 상태와 선호도를 고려하여 의료진과 충분한 상담을 거쳐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무통분만 이외의 다양한 통증 관리 방법도 함께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7. 체위변경
    체위변경은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편안함과 태아의 하강을 돕는 중요한 방법입니다. 다양한 체위 변경을 통해 산모의 통증을 완화하고, 태아의 위치 변화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의료진의 전문적인 지도 아래 산모가 능동적으로 체위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통해 보다 안전하고 효율적인 분만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 8. 수분 및 영양 공급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수분 및 영양 공급은 매우 중요합니다. 산모의 체력 유지와 함께 태아의 건강을 위해 적절한 수분과 영양 섭취가 필요합니다. 의료진의 지도에 따라 산모의 상태와 요구에 맞는 수분 및 영양 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9. 배뇨 및 배변
    분만 과정에서 산모의 배뇨와 배변 관리는 매우 중요합니다. 적절한 배뇨와 배변은 산모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태아의 하강을 돕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료진의 지도에 따라 산모의 상태와 요구에 맞는 배뇨 및 배변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통해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 10. 가족 지지
    분만 과정에서 가족의 지지는 산모의 심리적 안정과 회복에 매우 중요합니다. 배우자, 부모, 친구 등 가족의 지속적인 관심과 격려는 산모의 분만 경험을 향상시키고,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의료진은 가족의 역할과 중요성을 인지하고, 가족 구성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