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 정리
본 내용은
"
항생제 정리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21
문서 내 토픽
-
1. Penicillin계 항생제Penicillin계 항생제는 세포벽 β-lactam계 (β-lactamase 억제)로 구성되며, 제1세대부터 제3세대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주로 그람 양성 구균 및 간균에 항균력이 있고, 일부 그람 음성균에도 효과가 있다. 그러나 포도상구균 계열 박테리아에는 효과적이지 않아 Tazobactam이라는 β-lactamase 억제제와 혼합하여 사용한다.
-
2. Monobactam계 항생제Monobactam계 항생제인 aztreonam은 그람 음성 간균과 Pseudomonas에만 치료 가능하다.
-
3. Cephalosporin계 항생제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세포벽 β-lactam계 (β-lactamase 억제)로 구성되며, 제1세대부터 제4세대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항균력이 강하고 항균 스펙트럼이 넓으며 체내 조직 침투가 우수하여 Penicillin에 대체되어 중심적 존재로 등장했다.
-
4. Carbapenem계 항생제Carbapenem계 항생제는 세포벽 β-lactam계 (β-lactamase 억제)로 구성되며, 대표적인 약물로는 Imipenem, Meropenem 등이 있다. Carbapenem은 다른 β-lactam 항생제에 비해 여러 가지 특징이 있는데, 세균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β-lactamase에 매우 안정적이어서 쉽게 분해되지 않고 광범위한 항균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그람 음성균의 세포막을 쉽게 침투할 수 있어 P. aeruginosa를 포함한 그람 음성균에 우수한 항균력을 보인다.
-
5. Glycopeptide계 항생제Glycopeptide계 항생제는 세포벽 합성 억제 펩티드로, Vancomycin과 Teicoplanin이 대표적이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펩티도글리칸의 소단위 펩티드 전달을 억제하여 항균 작용을 나타내지만, 신장독성과 아나필락시스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
6. Polypeptide계 항생제Polypeptide계 항생제는 세포막 투과 변화를 통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Polymyxin B와 Bacitracin이 대표적이다.
-
7. Aminoglycoside계 항생제Aminoglycoside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Streptomycin, Kanamycin, Gentamycin 등이 포함된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항산성균, 포도상구균, 그람 음성균 등에 살균 작용을 하지만, 연쇄상구균, 폐렴구균, 혐기성균, 진균 등에는 효과가 약하다.
-
8. Tetracycline계 항생제Tetracycline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Chlortetracycline, Oxytetracycline, Tetracycline 등이 포함된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정균 작용이 주된 기전이지만, 고농도에서는 살균 작용을 나타낼 수 있다.
-
9. Macrolide계 항생제Macrolide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Erythromycin, Spiramycin, Tylosin 등이 포함된다. Erythromycin은 주로 세균성 화농성 피부염 치료에 사용되며, Tylosin은 위장관에서 잘 흡수되고 위산에 안정적이다.
-
10. Lincosamide계 항생제Lincosamide계 항생제는 단백질 합성 억제를 통해 항균 작용을 나타내며, Lincomycin과 Clindamycin이 포함된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 혐기성균, 마이코플라즈마 등에 강력한 항균 작용을 갖고 있다.
-
11. 기타 항생제이 외에도 Sulfonamide계, Fluoroquinolone계, Rifamycin계, 세포막 파괴제 등 다양한 종류의 항생제가 있다. 각 계열의 항생제는 작용 기전, 항균 범위, 부작용 등이 다르므로 상황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 선택이 중요하다.
-
1. Penicillin계 항생제Penicillin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벽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에 대한 효과가 뛰어나며, 특히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등의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세균의 경우 베타락타마제 효소를 생성하여 내성을 나타내기도 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또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소화기 증상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새로운 Penicillin계 항생제의 개발과 함께 내성 문제 해결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2. Monobactam계 항생제Monobactam계 항생제는 그람 음성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독특한 구조의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베타락타마제 효소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다제내성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다른 베타락타م계 항생제와 병용 투여하여 항균 스펙트럼을 확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임상적 경험이 부족하고 고가의 약가로 인해 사용이 제한적인 편입니다. 향후 Monobactam계 항생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약물 부작용 및 내성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함께 약가 인하 등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3. Cephalosporin계 항생제Cephalosporin계 항생제는 Penicillin계 항생제와 유사한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지만, 보다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과 내성균에 대한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에 모두 효과적이며, 특히 대장균, 폐렴구균, 녹농균 등의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Penicillin 알레르기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장기 사용 시 신장 독성, 출혈성 대장염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Cephalosporin계 항생제의 지속적인 개발과 함께 부작용 및 내성 문제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4. Carbapenem계 항생제Carbapenem계 항생제는 다제내성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항생제는 베타락타마제에 대한 안정성이 높아 다양한 내성균에 효과적이며,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혐기성균 등 광범위한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Carbapenem 내성균의 출현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또한 신독성, 간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Carbapenem계 항생제의 내성 억제와 부작용 감소를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5. Glycopeptide계 항생제Glycopeptide계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을 가지고 있는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반코마이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감염증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반코마이신 내성균의 출현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신독성, 청각 독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Glycopeptide계 항생제의 내성 억제와 부작용 감소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6. Polypeptide계 항생제Polypeptide계 항생제는 세균의 세포막 구조를 파괴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독특한 작용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colistin은 다제내성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독성, 신경독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내성 문제도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향후 Polypeptide계 항생제의 부작용 감소와 내성 억제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7. Aminoglycoside계 항생제Aminoglycoside계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gentamicin, amikacin 등은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신독성, 청각 독성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또한 내성 문제도 대두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향후 Aminoglycoside계 항생제의 부작용 감소와 내성 억제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8. Tetracycline계 항생제Tetracycline계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doxycycline, minocycline 등은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등 다양한 세균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Tetracycline 내성균의 출현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소화기 증상, 광과민성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Tetracycline계 항생제의 내성 억제와 부작용 감소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9. Macrolide계 항생제Macrolide계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erythromycin, clarithromycin 등은 그람 양성균과 일부 그람 음성균, 마이코플라즈마, 클라미디아 등의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Penicillin 알레르기 환자에게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Macrolide 내성균의 출현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향후 Macrolide계 항생제의 내성 억제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0. Lincosamide계 항생제Lincosamide계 항생제는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여 항균 효과를 나타내는 항생제 계열입니다. 이 계열의 대표적인 약물인 clindamycin은 그람 양성균, 혐기성균 등의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들어 Lincosamide 내성균의 출현이 증가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또한 설사, 위장관 부작용 등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Lincosamide계 항생제의 내성 억제와 부작용 감소를 위한 새로운 약물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11. 기타 항생제위에서 언급한 주요 항생제 계열 외에도 다양한 기타 항생제들이 존재합니다. 이들 항생제는 각각 독특한 작용 기전과 항균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어, 특정 감염증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Oxazolidinone계 항생제인 linezolid는 그람 양성균 감염증 치료에 사용되고, Lipopeptide계 항생제인 daptomycin은 MRSA 감염증 치료에 사용됩니다. 또한 Fluoroquinolone계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감염증 치료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기타 항생제들 역시 내성 문제와 부작용 발생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향후 이들 기타 항생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
항생제 약리학 자료 정리1. 항생제 약리 항생물질의 선택, 항균제 치료의 실패요인, 신장 및 간 기능 장애 환자의 투여량 보정, 항생물질의 예방적 투여 등 항생제 약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2. 항균제의 작용기전 세포벽 합성 억제, 세포막 기능 억제, 단백합성 억제, 핵산합성 억제, 엽산합성 억제 등 항균제의 다양한 작용기전에 대해 설명하였습니다. 3. 질환별 항균제 사...2025.04.30 · 의학/약학
-
항생제 총 정리1. 항생제 종류 항생제는 베타락탐계, 테트라사이클린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글리코펩티드계, 마이크로라이드계, 린코마이신계, 퀴놀론계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각 계열의 항생제는 그람 양성균, 그람 음성균, 혐기성균 등에 대한 항균력과 특성이 다르므로 감염 부위와 원인균에 따라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2. 격리내성균 종류 VRE(반코마이신내...2025.05.15 · 의학/약학
-
약 정리 - 항생제, 항균제, 항결핵제, 항바이러스제1. 항감염제(anti-infective drug) 신체에 침입한 미생물을 죽이거나 성장을 지연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 세균에는 간균(Bacilli), 쌍구균(Diplococci), 연쇄구균(Streptococci), 포도상구균(Staphylococci)이 있다. 2. 항균화학요법의 기본개념 항생작용(antibiosis)은 미생물 상호간에 생존 경쟁의 ...2025.01.23 · 의학/약학
-
통합과학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예문1. 초전도체 저온 초전도체의 점점 수효가 늘어나고 있어 향후 제조 과정의 간략화와 가격 인하 등의 과제 해결이 필요하다고 주장함. 특히 고온 초전도체의 경우 현재 실용화를 위한 1차 단계로서 높은 임계전류를 갖는 제조공정과 가공 기술의 개발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함. 국가적 차원의 협력만 있으면 전망이 밝고 이러한 초전도 기기의 응용은 에너지 절약 및 첨...2025.05.11 · 교육
-
성인간호실습 감염성 심내막염 환자 케이스1. 감염성 심내막염 감염성 심내막염은 보통 세균 감염으로 인해 심장의 가장 안쪽을 싸고 있는 막(심내막)이나 심장 판막에 염증성 변화가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일상적 환경, 치과 치료, 수술 등을 통해 일시적으로 세균이 혈액 속으로 유입될 수 있지만 건강한 사람의 경우 대부분 곧바로 제거됩니다. 그러나 심장 판막에 병이 있거나 인공 판막 또는 선천적으로 심...2025.01.22 · 의학/약학
-
CASESTUDY A+자료 간호과정케이스 흡인성 폐렴(pneumonia)1. 폐렴 폐렴은 병을 일으키는 병원균이 폐에 감염이 되어 발생하는 급성 염증성 호흡기 질환입니다. 병원균이 감염된 장소가 병원 밖인지 혹은 병원 내에서 인지에 따라 병원 내 감염 폐렴과 병원 외 감염 폐렴으로 구분됩니다. 병원 내 감염 폐렴은 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에서 입원 48시간 이후에 발생한 모든 감염성 폐렴으로 사망률이 높습니다. 병원 외 감염...2025.05.11 · 의학/약학
-
항생제 핵심 정리 6페이지
2021.09.23· 6페이지 -
항생제약물정리 1페이지
항생제란? 미생물의 한종류인 세균이 생체에 침입했을떄 세균의 감염을 치료하는것싸이로칸정호흡기감염증, 귀ㆍ코ㆍ인후감염1회?250~500?mg?크라비트정원내감염?폐렴1일?1회?250~750mg을?팩티브정만성호흡기질환의?급성악화(만성기관지염)1회?320?mg팜클로버정대상포진바이러스 감염증1회 250 mg 씩푸라칸정전신 칸디다증첫날 400mg을 1회 투여(1일 400mg까지 증량가능)푸라졸캡슐질칸디다증, 구?인두,?식도, 비침습성?기관지?폐감염과?칸디다뇨증150mg 단 1회 경구투여타미플루캡슐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감염증인플루엔자 B 바이...2021.08.22· 1페이지 -
항생제 총 정리 9페이지
5분 STUDY(항생제 종류 & 격리내성균 종류)1. 항생제 종류1) 베타락탐계 (β-lactams)(1) 세팔로스포린계(Cephalosporins) 항생제- Cephalosporins계 항생제는 항균영역 및 특징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로 구분- 1세대 세팔로스포린은 그람 양성균에 효과(+), 3세대 세팔로스포린은 그람 음성균에 효과(+)적!* 그람 음성균 종류: 대장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콘테라균, 티푸스균, 수막염균 등* 그람 양성균 종류: 종류: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폐렴균, 탄저균, 방선균, 나변균 등* 호기성세균(...2023.09.02· 9페이지 -
항생제 정리 4페이지
사진약명분류적응증부작용세파졸린 1g항생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기관지염, 폐렴, 인후두염 등 호흡기 감염증 /요로감염, 담관염, 담낭염, 심내막염, 전립선염, 부고환염, 관절감염증쇼크, 불쾌감, 두드러기, 가려움, 변의, 이명, 발한, 홍반, 아나필락 증상세프라딘 1g항생제 (그람양성, 음성균에 작용)편도염, 인두염, 폐렴, 기관지염, 방광염, 신우신염, 요도염, 전립선염, 농양, 농가진, 중이염, 골감염증, 패혈증쇼크, 불쾌감, 구내이상감, 천명, 어지러움, 변의, 이명, 발한, 발진, 두드러기, 홍반, 부종, 관절통세포테탄...2022.05.30· 4페이지 -
항생제 한 페이지 요약 정리 1페이지
항생제항생제는 화학 구조에 기반해 여러 계열로 분류된다. 각 계열 항생제들은 신체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고 다른 박테리아에 효과적일 수 있다.종류약물군대표적 약물주의사항/ 부작용베타락탐계 항생제(세포벽 합성 저해제)->투약 전 AST 필요!페니실린계천연페니실린: Penicillin G과민 반응을 경험했다면 복용금지/구역, 구토, 설사, 과민 반응, 콩팥 이상 등페니실리나제 저항 페니실린: Methicillin아미노페니실린: Ampicillin, Amoxicillin카르복시 페니실린: Ticarcillin, Carbecillin우레이도...2022.10.02· 1페이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