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압 및 전류 모니터링이 가능한 Battery 충전기 설계
본 내용은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최종설계(전압 및 전류 모니터링이 가능한 Battery 충전기)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7
문서 내 토픽
-
1. 전원회로 설계스위칭 모드 전원은 고주파 스위칭으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변환하여 높은 에너지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SMPS 전력 변환 중 손실이 적어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기존 예상 전원회로 제안서에서는 Linear power supply 방식을 계획했으나, 실제 설계에서는 Switching Mode Power Supply를 전원회로로 선택했습니다.
-
2. 충전기 회로 설계충전기 회로는 SMPS(DC5V), TP4056 충전모듈, 18650 배터리, 아두이노, 온도센서, 쿨링팬, LCD 등으로 구성됩니다. LCD에 전압, 전류, C-RATE, 온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하고, 일정 온도 이상이 되면 쿨링팬이 작동하도록 설계했습니다.
-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충전 과정에서 전압, 전류, 온도, C-RATE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했습니다. 초기에는 통신 보율 문제로 인해 데이터 수집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보율을 낮춤으로써 안정적인 데이터 수집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더 정밀한 데이터 수집을 위해 아두이노 보드를 R4 모델로 교체했습니다.
-
4. 충전 알고리즘 개선충전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했습니다. TP4056 충전모듈 교체, 아두이노 보드 변경, 회로 수정 등을 통해 안정적인 충전 곡선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SOC(State of Charge) 계산 시 단순한 계산식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배터리 모델링과 특성 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5. 외관 설계 및 제작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하여 충전기의 외관을 설계하고 제작했습니다. 초기 모델에서 문제점을 발견하고 재설계를 통해 최종 외관을 완성했습니다. 외관 설계 과정에서도 다양한 고민과 수정이 이루어졌습니다.
-
1. 전원회로 설계전원회로 설계는 전자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전원회로 설계 시 입력 전압 변동, 부하 변동, 전력 효율 등을 고려해야 하며, 회로 보호 기능도 함께 설계되어야 합니다. 또한 전자기 호환성(EMC) 문제도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전원회로 설계 시 전력 변환 기술, 제어 기술, 회로 보호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원회로 설계 기술의 발전은 전자 시스템의 성능과 신뢰성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
2. 충전기 회로 설계충전기 회로 설계는 배터리 충전 시스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충전기 회로는 입력 전압을 적절한 레벨로 변환하고, 배터리 상태를 모니터링하며, 안전한 충전을 위한 보호 기능을 제공해야 합니다. 최근 들어 고속 충전, 무선 충전 등 다양한 충전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충전기 회로 설계 기술도 발전하고 있습니다. 충전기 회로 설계 시에는 효율, 안전성, 호환성 등을 고려해야 하며, 배터리 특성과 사용 환경에 맞는 최적의 설계가 필요합니다. 충전기 회로 설계 기술의 발전은 전자 기기의 사용 편의성과 배터리 수명 향상에 기여할 것입니다.
-
3. 데이터 수집 및 분석데이터 수집 및 분석은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데이터 수집 기술의 발전으로 다양한 센서와 통신 기술을 활용하여 대량의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도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분석 기술은 통계, 기계 학습, 인공 지능 등 다양한 기술을 활용하여 발전하고 있습니다. 데이터 수집 및 분석 기술의 발전은 의사 결정 지원, 예측 모델 개발, 최적화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특히 IoT, 스마트 시티, 스마트 팩토리 등 데이터 기반 서비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4. 충전 알고리즘 개선충전 알고리즘은 배터리 충전 시스템의 핵심 요소로, 배터리 수명, 충전 시간, 안전성 등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최근 들어 리튬 이온 배터리 등 다양한 배터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이에 맞는 최적의 충전 알고리즘 개발이 필요합니다. 충전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배터리 상태 모니터링, 충전 전류/전압 제어, 과충전/과방전 방지 등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배터리 화학 특성, 사용 환경, 충전 조건 등을 고려한 적응형 충전 알고리즘 개발도 중요합니다. 충전 알고리즘 개선은 배터리 수명 연장, 충전 시간 단축, 안전성 향상 등 다양한 측면에서 큰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
5. 외관 설계 및 제작전자 제품의 외관 설계와 제작은 사용자 경험과 제품 이미지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외관 설계 시 제품의 기능, 사용성, 인체 공학, 미적 요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팅, 금속 가공 등 다양한 제조 기술이 발전하면서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의 차별화, 사용자 경험 향상, 브랜드 이미지 제고 등이 가능해졌습니다. 외관 설계와 제작 기술의 발전은 전자 제품의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설계제안서(전압 및 전류 모니터링이 가능한 Battery 충전기)1. 리튬이온 배터리 구조 리튬이온 배터리는 양극, 음극, 전해액, 분리막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양극은 양극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로 이루어져 배터리의 용량과 전압을 결정하고,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로 이루어져 전자를 내보내는 역할을 합니다. 전해액은 양극과 음극 간 리튬 이온의 매개체 역할을 하며, 분리막은 양극과 음극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2025.01.20 · 공학/기술
-
전기저장장치 계통 구성1. 전기저장장치(ESS) 계통 구성 전기저장장치(ESS : Energy Storage System)는 전력계통 또는 태양광, 풍력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원으로부터 전기를 공급 받아 저장하고 필요 시 전력계통 또는 부하에 전기를 공급하는 시스템입니다. 시스템 구성에는 PCS(전력변환장치), BMS(Battery Management System), 배터리시스템 ...2025.04.26 · 공학/기술
-
교류및전자회로실험 설계제안서(전압 및 전류 모니터링이 가능한 Battery 충전기) 23페이지
설계 배경배터리와 충전기의 관계 휴대폰, 태블릿 등등과 같이 일상생활에 사용하는 전자기기는 현대에 살아가면서 필수 요소가 되었으며 언제 어디서든 사용가능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러한 편리성을 갖게 해준 두 요소는 바로 배터리와 충전기 입니다. 현대의 전자기기들은 배터리 라는 부품이 내장되어 전기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해줌으로써 사용할 수 있게 해줍니다. 이 때, 재충전이 불가능한 1차전지에서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의 형태로 바꾸어 충방전을 반복하여 재사용이 가능한 리튬이온(Li-Ion), 니켈-메탈 수소전지(Ni-MH)와...2024.08.17· 23페이지 -
[전기전자개론] 전기전자공학의 응용 및 융합 사례에 대해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작성하시오. 6페이지
..FILE:mimetypeapplication/hwp+zip..FILE:version.xml..FILE:Contents/header.xml^1.^2.^3)^4)(^5)(^6)^7^8..FILE:Contents/section0.xml과목명 : 전기전자개론레포트 주제 :전기전자공학의 응용 및 융합 사례에 대해 스스로 주제를 정하고 작성하시오.목 차I. 서론II. 본론1. 전기전자공학의 이론적 배경2. 전기전자공학의 국내외 응용 사례3. 전기전자공학 응용의 시사점 및 향후 과제III. 결론IV. 참고문헌I. 서론전기전자공학은 현대 기술...2024.09.07· 6페이지 -
(우주공학) 나로호 위성에서 쓰이는 전력 제어 및 분배 시스템 12페이지
위성에서 쓰이는 전력 제어 및 분배 시스템ㅇㅇ대학교 ㅇㅇ공학부 ㅇㅇㅇ나로과학위성(STSAT-2C)의 PCDU전력제어 및 분배 유닛(Power Control Distribution Unit)*태양전력조절기(SPR)릴레이 인터페이스 보드(RIB) / 버스 모니터(BM)전력분배장치(PDU)전력공급장치(LVPS)입출력모듈(IOM)전력부(EPS)리튬이온 배터리 장치(LIBU)제작된 PCDU태양전력조절기(SPR)태양전력조절기(Solar Power Regulator) 위성은 태양 에너지를 동력으로 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배터리에 전력을...2013.01.22· 12페이지 -
전기자동차(EV) 충전 규격 표준화 19페이지
- 전기자동차(EV) 충전 규격 표준화 -목차- 서론1. 주제 선정 이유2.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 개요- 본론1. 실제 국제 시장에서의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 현황2.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 필요성3. 국내 전기자동차(EV) 충전 기술 동향4.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 과정에서 발생한 주요 이슈 분석- 결론1. 국내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 결언2. 향후 국내 전기자동차(EV) 충전 표준화가 진행 되어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 참고문헌(참고자료) 표기서론1. 주제 선정 이유미래의 자동차는 내연기관자...2013.05.19· 19페이지 -
응용전자전기실험Ireport_BMS용 제어 PCB 설계 및 제작 12페이지
응용전자전기실험IReport과제명BMS용 제어 PCB 설계 및 제작1. 설계 및 연구 배경 및 목적(1) 연구배경 :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는 배터리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점검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유지/사용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관리하고, 교체시기를 예측하는 등 문제점을 사전에 발견할 수 있게 하는 일련의 시스템을 일컫는다.특히 전기자동차 같은 대형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해서는 여러 번 충, 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 (secondary cell)를 직, 병렬로 연결한 배터리 어레이(Battery array...2011.06.21· 12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