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기회로설계실습 3장 결과보고서
본 내용은
"
전기회로설계실습 3장 결과보고서
"
의 원문 자료에서 일부 인용된 것입니다.
2024.08.17
문서 내 토픽
-
1. 분압기 설계분압기는 어떤 장비의 전원으로서 건전지나 고정 전압안정 직류전원(Voltage Regulator)을 사용할 때 그 출력전압보다 낮은 전압이 필요한 경우가 현실적으로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저항이나 커패시터를 이용하여 원래의 전압을 그에 비례하는 낮은 전압으로 분압하여 주는 장치를 분압기라고 한다. 따라 분압기는 단순 측정을 비롯해 전기제품까지 다양한 곳에서 쓰이기 때문에 분압기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
2. 부하효과 고려분압기를 설계할 때 단자에 연결되는 부하 저항을 고려하지 못하면 부하 연결 전후의 각 단자의 저항이 모두 달라지므로 현실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부하효과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등가부하를 연결했을 때를 고려하여서 분압기를 설계해야한다.
-
3. 분압기 설계 실험이번 실험에서는 등가부하 연결을 고려한 회로와 고려하지 않은 회로를 모두 설계하여 예측해보고, 그 결과를 실험을 통해 등가부하를 고려하지 않은 회로는 정격 전류와 전압을 만족시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
4. 분압기 설계 결과부하효과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한 분압기(1kΩ과 3kΩ 직렬 연결) 설계에서 등가부하를 연결한 후의 출력전압은 1.710V로 이는 설계목표의 3V와 43%의 오차율을 보이면서 설계 목표인 3V ± 10%를 만족하지 못했다. 부하효과를 고려한 분압기 설계 (2.7kΩ과 3kΩ+3kΩ+3kΩ 직렬 연결) 에서는 1kΩ의 등가부하를 연결한 후의 출력전압은 3.006V가 측정되었고 다른 설계(2.7kΩ과 1kΩ+2.7kΩ+6.2kΩ 직렬 연결) 에서 출력전압은 3.028V를 얻을 수 있었다.
-
5. 분압기 설계 개선회로를 수정하여 2.7kΩ과 1kΩ+3kΩ+3kΩ을 직렬 연결한 회로로 다시 측정한 결과 부하 전압 2.940V, 무부하 상태의 출력전압은 8.671V가 나오는 것을 확인하여 설계목표 두가지를 모두 만족할 수 있었다.
-
6. 분압기와 DC 전원 공급기 비교이상적인 직류전원은 전원의 내부저항이 이론상 없고 모든 전압을 온전하게 회로에 전달하면서 시간에 따라 변하지 않는 일정한 전압을 가지고 있어야한다. DC Power Supply는 (+) 단자와 (?) 단자 사이의 전압을 설정하고 일정하게 전압을 회로에 공급할 수 있다. 분압기는 회로 전체의 전압을 임피던스에 따라 분압시킨 뒤에 전달해주는데 DC Power Supply에 비해 저항의 온도변화나 저항 자체의 오차 때문에 계산을 통해 구한 전압의 이론값과 실제 측정값이 달라질 수 있다.
-
1. 분압기 설계분압기는 전자 회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본적인 회로 요소입니다. 분압기 설계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입력 전압, 부하 저항, 분압비 등입니다. 분압기 설계 시 이러한 요소들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또한 분압기 설계 시 부하 효과를 고려하여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분압기 설계 실험을 통해 이론적인 설계 내용을 검증하고 실제 구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 설계 결과를 바탕으로 출력 전압 정확도,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 등을 평가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분압기 설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와 DC 전원 공급기는 모두 전압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분압기는 단순한 구조와 낮은 비용으로 전압 조절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2. 부하효과 고려분압기 설계 시 부하 효과를 고려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하 효과란 부하 저항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를 의미합니다. 분압기 출력 전압은 부하 저항 값에 따라 달라지므로,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분압기 설계 시 부하 저항 값을 고려하여 적절한 분압비를 선택해야 합니다. 또한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측정하고 이를 토대로 분압기 설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부하 효과를 고려한 분압기 설계를 통해 안정적이고 정확한 출력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
3. 분압기 설계 실험분압기 설계 실험은 이론적인 설계 내용을 실제로 구현하고 검증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실험을 통해 분압기의 실제 동작 특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설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 설계 실험에서는 입력 전압, 부하 저항, 분압비 등 다양한 변수를 조절하며 출력 전압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확인하여 부하 효과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실험 결과를 이론적인 설계 내용과 비교 분석하여 설계의 정확성을 검증하고, 필요 시 설계를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 설계 실험은 실제 구현 가능성을 확인하고 설계를 최적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분압기 설계 결과분압기 설계 결과를 평가하는 것은 설계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분압기 설계 결과 평가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출력 전압 정확도,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 전력 소비 효율 등입니다. 출력 전압 정확도는 이론적인 설계 값과 실제 측정값의 차이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은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화율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전력 소비 효율은 입력 전력 대비 출력 전력의 비율로 평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 결과를 토대로 분압기 설계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 설계 결과 평가는 최적의 분압기 설계를 달성하는 데 필수적인 과정입니다.
-
5. 분압기 설계 개선분압기 설계 개선은 분압기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분압기 설계 개선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는 출력 전압 정확도,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 전력 소비 효율 등입니다. 출력 전압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압비 선정, 저항 허용 오차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을 줄이기 위해서는 부하 효과를 고려한 분압기 설계가 필요합니다. 전력 소비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저항 값 선정, 회로 구성 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분압기 설계 개선 시 이러한 요소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설계를 달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실험을 통해 개선된 설계를 검증하고 추가적인 개선 방향을 도출할 수 있습니다.
-
6. 분압기와 DC 전원 공급기 비교분압기와 DC 전원 공급기는 모두 전압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구조와 특성이 다릅니다. 분압기는 단순한 저항 분압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합니다. 반면 DC 전원 공급기는 복잡한 전자 회로로 구성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높습니다. 그러나 DC 전원 공급기는 입력 전압 변동, 부하 변화 등에 대한 출력 전압 안정성이 높습니다. 분압기는 부하 변화에 따른 출력 전압 변동이 크지만, 이를 보완하기 위한 설계 기술이 발전하고 있습니다. 또한 분압기는 DC 전원 공급기에 비해 전력 소비 효율이 높습니다. 따라서 용도와 요구 사항에 따라 분압기와 DC 전원 공급기 중 적절한 것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두 기술은 서로 장단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맞는 최적의 솔루션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 3. 분압기(Voltage Divider) 설계 A+ 5페이지
설계실습 3. 분압기(Voltage Divider)설계작성자 :제출일 :요약 :부하의 영향을 파악하며 제한된 종류의 저항으로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분압기의 회로를 설계하고 확인해보았다.부하효과를 고려하지 않은 채 1 ㏀, 3 ㏀을 이용하여 회로를 설계하였고, 1.71V을 출력하였다. 이는 목표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3 ㏀, 2.7 ㏀, 6.2 ㏀을 직렬 연결하여 2.76V의 전압을 출력하는 회로를 다시 설계하였다. 이때 회로의 효율 또한 고려하여 설계하였으며, 이론값의1%미만의 오차율을 갖는 목표한 조...2021.02.18· 5페이지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8 8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실험요약R, L의 정확한 값을 측정한다.FG출력을 1V의 사각파(high = 1 V, low = 0 V, duty cycle = 50 %)로로 한 후 FG출력파형, 저항전압파형, 인덕터 전압파형, 시정수를 측정한 후 실험결과와 이론값을 비교 분석한다.FG출력을 1V의 사각파 (high = 0.5 V, low = -0.5 V, duty cycle = 50 %)로 한 후 FG출력파형, 저항전압파형을 측정하여 예상파형과 비교한다.시정수 가 주기인 주파수를 가진 사각파를 입력하여 저항전압파형, 인덕터 전압파형을 측...2023.09.07· 8페이지 -
전기회로설계실습 3장 결과보고서 3페이지
전기회로 설계 및 실습결과 REPORT3장. 분압기의 설계과 목전기회로 설계 및 실습교수님 성함제 출 일학 번조성 명4. 설계실습내용 및 분석4.1(a) 실험계획 3.1의 회로를 구성하여 출력전압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측정회로를 그리고 자신이 설계한 회로와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를 분석하라.출력전압은 3.0067V이 측정되었다.(b) (a)의 회로에 등가부하로서 1kΩ의 부하를 연결하고 부하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여 기록하라. 왜 이 회로가 비현실적이며 잘못된 회로인지 설명하라부하에 걸리는 전압은 1.719V가 측정되었다. 이 회로...2020.09.29· 3페이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 7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8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8. 인덕터 및 RL회로의 과도응답요약 : 먼저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RL회로의 파형들과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EXCEL을 이용하여 Simulation 계산결과와 비교하였다. 이때 6%의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함수발생기의 내부저항과 인덕터의 저항을 고려하여 또한 계산하면 -0.014%가 관측되었다. 이 작은 오차는 가변저항의 조절과 정확하지 않은 인덕터의 값 때문이다. RL회로는 RC회로와 다르게 입력파형의 offset값이 변했을 때 저항전압...2023.09.04· 7페이지 -
A+ 받을 수 있는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 11페이지
전기회로설계실습(13번 실습- 결과보고서)소 속담당 교수수업 시간편 성학 번성 명설계실습 13. 발전기 원리 실험요약 : Faraday's Law를 실험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발전기, 인덕터, 변압기를 실험적으로 이해한다. RL회로를 이용하여 10kΩ저항과 코일의 내부저항을 이용하여 인덕턴스를 측정하여 약 의 값을 얻었다. 자석을 넣다 뺄 때의 코일에 유도되는 전압 파형을 확인하였다. 또한 코일을 뒤집으면 넣을 때 뺄 때의 전압 파형의 부호가 이전과 바뀜을 확인하였다. 또한 N=2500과 이를 이용하여 자속의 변화율을 계산하였...2023.09.04· 11페이지